건물철거등

사건번호:

89다카24094

선고일자:

199006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원고와 피고가 1필지의 대지를 구분 소유 적으로 공유하고 피고가 자기 몫의 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하여 점유하던 중 위 대지의 피고지분만을 원고가 경락 취득한 경우 피고의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취득여부(적극)

판결요지

원고와 피고가 1필지의 대지를 공동으로 매수하여 같은 평수로 사실상 분할한 다음 각자 자기의 돈으로 자기 몫의 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하여 점유하여 왔다면 비록 위 대지가 등기부상으로는 원·피고 사이의 공유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대지의 소유관계는 처음부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다 할 것이고, 따라서 피고 소유의 건물과 그 대지는 원고와의 내부관계에 있어서 피고의 단독소유로 되었다 할 것이므로 피고는 그 후 이 사건 대지의 피고지분만을 경락취득한 원고에 대하여 그 소유의 위 건물을 위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취득하였다고 할 것이다(이 사건 대지에 관하여 이미 위 경락 전에 소외 갑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위 경락은 가압류에 의한 강제경매에 의하여 이루어 졌고 위 갑 명의의 등기는 위 가압류 후에 이루어진 것이 분명하므로 위 경락에 의하여 말소될 운명에 있는 갑의 등기를 들어 피고의 소유권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경락 당시에 대지와 그 지상건물의 소유자가 동일인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366조, 제262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소재성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상희 【피고, 상고인】 송재오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기승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89.7.28. 선고 87나151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구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피고 사이에 이 사건 소송에 관한 부제소 특약이 있었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배척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옳게 수긍이 가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 이유불비 등의 위법이 없다.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원고와 피고가 1977.5.경 이 사건 대지 43평을 공동으로 매수하여 같은 해 7.경 그 위에 건립되어 있던 건물을 헐고 그 대지를 같은 평수로 특정하여 나눈 다음 각자가 자기 소유의 건물을 새로 건축하기로 하였고 그에 따라 판시와 같이 피고가 이 사건 점포와 방 등을 건축한 사실을 인정하고서도 이 사건 대지가 원·피고의 공유이고, 토지의 공유자의 1인이 공유토지 위에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가 토지지분만이 처분됨으로써 토지공유자의 1인에 대하여 법정지상권이 성립된 것처럼 보여지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토지에 관하여 건물의 소유를 위한 법정지상권이 성립될 수 없다고 판시하여 피고의 이에 관한 주장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원고와 피고가 이 사건 대지를 공동으로 매수하여 같은 평수로 사실상 분할한 다음 각자 자기의 돈으로 자기 몫의 대지 위에 건물을 신축하여 점유하여 왔다면 비록 위 분할 협의 당시 위 대지가 등기부상으로는 원·피고 사이의 공유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대지의 소유관계는 처음부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다 할 것이고, 따라서 이 사건 건물과 대지는 원고와의 내부관계에 있어서 피고의 단독소유로 되었다 할 것이므로 피고는 그후 이 사건 대지의 피고지분만을 경락취득한 원고에 대하여 그 소유의 이 사건 건물을 위한 관습상의 법정지상권을 취득하였다고 할 것이다. 또한 원심은 이 사건 건물을 피고의 구분소유로 본다 하더라도 그 대지는 그 경락 전에 이미 소외 김경한 명의로 등기가 되어 있어서 그 경락 당시에는 위 대지와 그 지상건물의 소유자가 동일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사건 법정지상권의 성립을 부정하고 있으나 원심이 든 증거에 의하더라도 위 경락은 이 사건 대지부분에 의한 가압류에 기한 강제경매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위 김경한 앞으로 된 위 등기는 그 가압류 후에 이루어진 것임이 분명하므로 위 경락에 의하여 말소될 운명에 있는 위 김경한 앞으로의 등기를 들어 피고의 소유권을 부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 토지부분이 위 김 경한 앞으로 양도 되었을때 그 지상건물을 위한 법정지상권이 성립되었다고도 보지 못할 바 아니다. 그런데도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관습에 의한 법정지상권의 성립을 부정한 것은 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주장은 이유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김덕주 윤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땅과 건물의 공유자가 달라졌을 때, 건물 소유자에게 땅 사용 권리가 생길까?

토지와 건물을 공동으로 소유하던 사람 중 한 명이 자신의 건물 지분만 다른 사람에게 넘겼다고 해서, 그 사람이 다른 공유자의 토지 지분에 대해서까지 법정지상권을 갖는 것은 아니다.

#법정지상권#공유지분#건물지분#토지지분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는데, 내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건물 소유주가 서류 위조 등 불법적인 이유로 달라진 경우, 건물주는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토지 건물 소유자#적법한 원인#원인 무효

민사판례

건물 강제경매와 관습상 법정지상권, 그리고 가집행 판결에 대한 상소

땅 주인 허락 없이 땅을 빌려 건물을 지은 사람이 그 건물을 팔게 되더라도 땅 주인에게 건물을 위한 법정지상권을 주장할 수 없다. 또한, 본 소송의 결과에 불복하는 항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가집행 판결도 바뀌지 않는다.

#법정지상권 불인정#토지임대#건물신축#경매

민사판례

건물만 샀는데 땅도 내 땅이라고? 관습법상 법정지상권, 포기했을 수도 있어요!

땅 주인과 건물 주인이 같다가 건물만 팔면서 땅은 임대하기로 계약하면, 건물 주인은 땅을 계속 쓸 수 있는 법정지상권을 포기한 것으로 본다는 판례입니다.

#법정지상권#포기#건물매매#토지임대

민사판례

땅 주인 허락받고 지은 건물, 내 땅이라고 우길 수 있을까?

토지 주인의 허락을 받고 땅을 사용하며 돈을 내고 건물을 지었다면, 관습법상 법정지상권은 생기지 않고, 따라서 건물을 땅 주인에게 팔라고 요구할 권리도 없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토지 사용 승낙#건물 신축#불인정

민사판례

내 땅인 듯 내 땅 아닌 땅, 구분소유적 공유와 법정지상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땅을 소유하더라도, 실제로는 각자 자기 땅처럼 사용하는 경우(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는 자기 땅이 아닌 부분에 건물을 지으면 법정지상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법정지상권#구분소유적 공유#건물 철거#토지 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