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89다카26809

선고일자:

19900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원고의 항소가 없는데도 항소심이 1심보다 위자료를 인상하여 지급을 명한 위법이 있는 사례 나. 뇌부분 등에 상해를 입어 94퍼센트의 노동능력감퇴가 예상되는데도 정상인의 평균여명기간 동안의 개호비청구를 인용한 경우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원고는 항소를 제기하지 아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항소심법원이 1심법원보다 위자료를 인상하여 피고에게 그 지급을 명한 것은 당사자의 불복이 없어서 심판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한 청구를 인용한 위법을 저지른 것이다. 나. 두뇌 등에 대한 상처가 중증이고 보행장애, 양측 손운동의 장애, 복합적 통합뇌기능장애 등이 있어 약 94퍼센트의 노동능력감퇴가 예상되는 경우 노동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과 같아 과연 정상인의 평균여명기간을 생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할 것인데도 원심이 정상인의 평균여명기간 생존할 것을 전제로 그 동안의 개호비청구를 인용한 것은 심리미진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385조 / 나. 민법 제763조,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67.2.28. 선고 66다2633 판결(집15①민204), 1980.7.8. 선고 80다1192 판결(공1980,13012), 1989.6.27. 선고 89다카5406 판결(공1989,1163) / 나. 대법원 1971.2.9. 선고 70다2866 판결(집19①민79), 1982.11.23. 선고 82다카1079 판결(공1983,20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최승동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석조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9.7. 선고 89나1351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1.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기록에 의하면, 1심판결은 원고에 대한 위자료를 2,000,000원으로 정하여 피고에게 그 지급을 명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원고는 항소를 제기하지 아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원고의 위자료를 5,000,000원으로 인상하여 피고에게 그 지급을 명하고 있음이 인정된다. 결국 원심은 당사자의 불복이 없어 심판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한 청구를 인용한 위법을 저지른 것으로서 이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12조 제2항 소정의 파기사유에 해당하므로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있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을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이 사건 사고로 뇌좌상등 상해를 입고 입원치료를 받았으나 그 장애가 남아 있어 그 노동능력이 94퍼센트 감퇴된 사실을 인정하고도 원고가 평균여명기간인 58.46년을 생존할 것을 전제로 그 동안의 개호비청구를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원심이 채용한 1심감정인 조 병규의 신체감정결과에 의하면, 상처부위는 두뇌, 좌측대퇴골,우측요골 및 척골, 좌측족관절로서 부상 정도는 중증이고 보행장애, 양측 손운동의 장애, 복합적 통합뇌기능장애 등이 있어 약 94퍼센트의 노동능력감퇴가 예상된다는 것인 바, 94퍼센트의 노동능력상실이라면 노동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과 같고 이러한 상태에 있는 원고가 과연 정상인의 평균여명기간을 생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할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그 여명기간에 관하여 좀더 심리해 보았어야 할 것이다. 결국 원심판결에는 심리미진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는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12조 제2항 소정의 파기사유에 해당하므로 이 점에 관한 논지도 이유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항소 안 했는데 위자료가 더 늘어난다고? 🙅‍♀️

누군가에게 손해를 입혀 재판에서 배상 판결을 받았는데, 피해자가 일부 금액에 대해서만 항소했다면, 항소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특히 위자료)은 판결이 확정되어 더 많은 돈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위자료#항소#불복#확정

민사판례

간병비 계산, 일실수입 산정, 자연재해와 손해배상, 여명 단축 판단, 그리고 정기금 지급에 대한 법원의 판단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당한 원고가 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법원은 개호비 계산 방법, 일실수입 산정 기준, 자연재해와 사고의 관계, 여명 단축 판단 기준, 그리고 정기금 지급 여부에 대한 법리를 제시하며 원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건설현장 사고#손해배상#개호비#일실수입

민사판례

재산 손해배상 소송에서 일부만 승소했을 때 항소심에서 청구 금액을 늘릴 수 있을까?

교통사고 손해배상 소송에서 재산상 손해는 전부 인정되었지만 위자료는 일부만 인정된 경우, 피해자가 위자료 부분에 불복하여 항소하면서 재산상 손해에 대한 청구도 늘릴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항소심에서 재산상 손해 청구 확장을 허용했습니다.

#교통사고#손해배상#위자료#재산상 손해

민사판례

식물인간 환자, 예상보다 오래 살면 추가 배상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식물인간이 된 환자의 예상 수명이 처음 예상보다 길어져 추가적인 치료비와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 이 추가 비용은 이전 소송에서 판결한 손해배상과는 별개로 청구할 수 있다.

#식물인간#추가 손해배상#생존기간 연장#예측 불가능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쟁점 정리!

교통사고로 다리를 잃은 피해자에게 필요한 간병비(개호비), 의족(의지) 구입비, 보험사로부터 받은 치료비 공제, 지연이자 계산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교통사고#개호비#의족#보험금 공제

민사판례

교통사고 손해배상, 항소심에서 위자료 더 받았는데 이자는 왜 덜 받았을까?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항소심에서 1심 판결 금액이 변경될 경우, 변경된 금액과 유지된 금액에 대해 지연이자를 다르게 계산해야 합니다. 1심에서 인정된 금액이 항소심에서도 유지되었다면, 1심 판결 다음 날부터는 가해자가 이를 다툴 수 없으므로 더 낮은 이율의 지연이자가 적용됩니다.

#손해배상#항소심#지연이자#이율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