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89후193

선고일자:

1990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상표 "리도 코롱"과 인용상표 "주식회사 코오롱"의 유사 여부(적극)

판결요지

본원상표 "리도 코롱" 중 "코롱"을 방향제의 보통명칭으로 볼 수 없는 이상, 각각 별의미가 없는 조어인 "리도"와 "코롱"은 서로 분리하여 관찰하는 것이 부자연스럽다고 느껴질 정도로 불가분적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며, 또 그중 한 부분이 특히 현저하게 구성되어 그 부분에 의하여 간략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원상표는 "리도"라고 인식되거나 "코롱"이라고 인식될 것인 반면, 인용상표 "주식회사 코오롱"중 "주식회사"는 식별력이 없으므로 그 요부는 "코오롱"이라 할 것이므로 본원상표가 "코롱"이라고 인식되는 경우에는 인용상표와 그 요부가 외관 및 칭호에 있어서 유사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본원상표가 그 지정상품에 사용될 경우 일반수요자들로 하여금 그 상품이 마치 인용상표권자인 주식회사 코오롱이나 그와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에 의하여 생산, 판매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품의 품질을 오인케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태평양화학공업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후 외 2인 【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 【보조참가인】 주식회사 코오롱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일영 【원 심 결】 특허청 1988.12.29. 자 87항원749 심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기록에 의하면, 원심이 본원상표 "리도코롱"중 "코롱"이 방향제의 보통명칭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판단하면서, 방향제의 일종인 "eau de cologne"를 간략하게 호칭하거나 표기하는 경우에 "cologne"부분에 대한 우리나라 발음은 "콜로뉴"(불어식음) 또는 "컬론"이나 "콜론"(영어발음)이지 "코롱"이 될 수 없으며, 또 "코롱"이 우리나라의 거래계에서 방향제의 보통명칭으로서 일반적으로 또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원심의 조치에채증법칙 위반이나 심리미진의 위법은 없다. (2) "코롱"을 방향제의 보통명칭으로 볼 수 없는 이상, 본원상표 "리도 코롱"은 각각 별 의미가 없는 조어인 "리도"와 "코롱"을 결합한 표장으로 된 상표라 할 것이고, 양 부분은 서로 분리하여 관찰하는 것이 부자연스럽다고 느껴질 정도로 불가분적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며, 또 그 중 한 부분이 특히 현저하게 구성되어 그 부분에 의하여 간략화될 가능성도 있다 할 수 있으므로 본원상표는 "리도"라고 인식되거나 "코롱"이라고 인식될 것인 반면, 인용상표인 "주식회사 코오롱" 중 "주식회사"는 식별력이 없으므로 그 요부는 "코오롱"이라 할 것이므로 본원상표가 "코롱"이라고 인식되는 경우에는 인용상표와 그 요부가 외관 및 칭호에 있어서 유사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본원상표가 그 지정상품에 사용될 경우 일반수요자들로 하여금 그 상품이 마치 보조참가인(주식회사 코오롱)이나 그와 특수관계에 있는 사람에 의하여 생산, 판매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수요자로 하여금 그 상품의 품질을 오인케 하거나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다 할 것 이므로 원심이 상표법 제9조 제1항 제11호에 의하여 거절 사정한 조치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3) 본원상표의 지정상품의 범위를 감축하는 뜻의 1987.10.12.자 출원인의 보정은 "코롱"을 방향제의 보통명칭으로 보지 않는다 하더라도 최초 출원요지의 변경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당연히 허용되었어야 할 것이나,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코롱"은 방향제의 보통명칭이 아니고 인용상표인 "코오롱"과 유사하다고 하여 상표등록이 거절된 이 사건에서 그 보정의 허용여부는 결론에 영향을 미칠 바 아니라 할 것이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이재성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코롱? 콜론? 내 화장품 상표, 괜찮을까?

화장품에 '코롱'이라는 단어가 들어갔다고 해서 모두 코오롱 제품과 혼동되는 것은 아닙니다. '코롱'은 향수의 한 종류를 뜻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므로, 상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코롱' 외에 다른 요소들이 충분히 다르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코롱#상표#유사#코오롱

특허판례

'타이고'와 '타이곤', 너무 비슷한 거 아닌가요? 상표권 분쟁 이야기

'타이고'라는 상표와 '타이곤(또는 타이건)' 상표는 소리가 비슷해서 소비자들이 헷갈릴 수 있으므로 유사한 상표로 판단됨.

#타이고#타이곤#상표#유사

특허판례

'로에테'와 '롯데'…피임약과 호르몬제, 상표권 분쟁에서 유사하다고?

피임약 상표 'LOETTE'가 기존 'LOTTE'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발음의 유사성과 상품의 유사성이 주요 판단 근거였습니다.

#LOETTE#LOTTE#상표#유사

특허판례

태평양 돌핀스 vs. 돌핀, 상표권 분쟁! 누가 이겼을까?

"태평양 돌핀스" 상표와 "돌핀" 상표는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태평양 돌핀스"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상표#유사#태평양 돌핀스#돌핀

특허판례

'마리 프랑스' 상표, '마리끌레르'와 유사할까?

'Marie France'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MARIE-CLAIRE + 마리끌레르'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두 상표 모두 'Marie' 부분으로 불릴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상표#Marie France#MARIE-CLAIRE#마리끌레르

특허판례

로진호부제와 합성유기화학약품, 상표 유사성 논란 종결!

종이 만드는 데 쓰는 천연수지 '로진호부제'와 석유화학 제품에 첨가하는 합성유기화학약품은, 비슷한 상품 분류에 속하더라도 실제 용도와 거래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유사 상품으로 볼 수 없다.

#로진호부제#합성유기화학약품#상표#유사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