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10209

선고일자:

199104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자와 부가가치세법 제15조

판결요지

부가가치세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가 있고, 같은 법 제15조에서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때에는 그 공급을 받는 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여 공급을 받는 자가 거래의 상대방이나 국가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를 지급하거나 납부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업자가 공급을 받는 자로부터 실제로 거래징수를 하였는지 여부나 그 거래징수를 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의 유무, 징수 가능성 등을 따져 납세의무의 유무를 가릴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참조조문

부가가치세법 제2조, 제1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3. 27. 선고 82다카500 판결(공1984,691), 1991.2.22. 선고 90누6958 판결(공1991,110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심문섭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영득 【피고, 피상고인】 도봉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11.8. 선고 89구1179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부가가치세법 제2조 제1항에 의하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의 납세의무가 있고, 같은 법 제15조에서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때에는 그 공급을 받는 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하여 공급을 받는 자가 거래의 상대방이나 국가에 대하여 부가가치세를 지급하거나 납부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당원 1984. 3. 27. 선고 82다카500 판결 참조), 사업자가 공급을 받는 자로부터 실제로 거래징수를 하였는지의 여부나 그 거래징수를 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의 유무, 징수 가능성 등을 따져 납세의무의 유무를 가릴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 당원 1991.2.22. 선고 90누6958 판결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그 판시의 자동차부품을 자동차보험회사 등에 공급하였음에도 부가가치세 확정신고시에 그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하지 아니하여 피고가 그 누락분에 대한 세액만큼을 경정, 이 사건 부과처분에 이른 사실을 인정한 다음, 보험사업자에 대한 재화나 용역의 공급은 부가가치세법 제12조 제1항 제10호, 그 시행령 제33조 제1항 제10호 소정의 면세대상이 아니고 또 원고가 사실상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원고에 대한 부과처분이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피고의 이 사건 부과처분을 옳게 받아 들이고 있다. 다만 원고로부터 이 사건 차량부품의 공급을 받은 자는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라고 할 것이므로 원심이 이를 그 판시의 보험회사들로 인정한 것은 잘못이라 하겠으나 그로 인하여 원고의 납세의무의 존부나 범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 하겠으므로 결국 이 사건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결론에 있어서 정당하다. 결국 원심판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공사대금 완납 전에도 부가가치세와 소득세 납부 의무 있어요!

건설공사 하도급자가 발주자로부터 공사대금을 전부 받지 못했더라도, 공사가 완료되면 부가가치세와 소득세 납부 의무가 발생한다.

#공사대금#완납전#부가가치세#소득세

세무판례

사업자의 경매 재화 양도, 부가세 납부해야 할까?

사업자가 자신의 재산이 경매로 넘어가는 경우, 실제로 돈을 받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경매#재화 양도#부가가치세#납부 의무

세무판례

부가가치세 납세 의무, 누구에게 있을까요?

단순히 부동산을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건물을 신축하여 파는 등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계속적,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되는 사업으로 볼 수 있다.

#부동산#부가가치세#사업#계속적·반복적

형사판례

사업자등록 안 했어도 세금계산서 발급해야 할까? 대법원 판결 분석

2013년 7월 1일 이후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사업자라도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할 때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처벌받습니다.

#세금계산서#미발급#처벌#사업자등록

세무판례

사업과 관련된 재화 공급, 부가가치세는 어떻게 될까?

사업과 관련된 일시적인 재화 공급도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며, 폐업 전후 중간지급조건부 재화 공급은 잔존재화로 보지 않아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부가가치세#일시적 재화 공급#폐업#중간지급조건부

민사판례

부가세, 누가 내야 할까요? 숨겨진 약속의 효력!

부가가치세는 원칙적으로 최종소비자가 부담하지만, 거래 당사자 간에 별도의 약정이 있다면 공급받는 자가 부담하기로 약속할 수 있습니다. 이 약정은 반드시 처음부터 명시적으로 할 필요는 없고, 나중에라도 암묵적으로도 가능합니다.

#부가가치세#부담약정#암묵적 합의#사법상 징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