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급여금청구기각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2024

선고일자:

199008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파면처분무효확인청구의 소의 제기가 파면된 공무원의 퇴직급여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파면처분무효확인청구의 소는 퇴직급여금청구권의 전제가 되는 공무원신분의 소멸과는 정반대로 그 신분의 존속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퇴직급여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한 전제가 되거나 이를 실현하는 수단이 될 수는 없는 것이므로, 파면처분을 받은. 자가 그 파면처분에 대하여 무효확인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위 퇴직급여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 중단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참조조문

공무원연금법 제81조, 공무원연금법시행령 제9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2.7. 선고 89구1011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파면처분무효확인청구의 소는 퇴직급여금청구권의 전제가 되는 공무원신분의 소멸과는 정반대로 그 신분의 존속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퇴직급여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한 전제가 되거나 이를 실현하는 수단이 될 수는 없는 것이므로, 파면처분을 받은. 자가 그 파면처분에 대하여 무효확인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위 퇴직급여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 중단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원고가 공무원으로 근무하던 중 1983.11.15. 파면처분을 받고도 퇴직급여청구를 하지 아니하고 있다가 1989.5.22. 비로소 그 청구를 한 이 사건에 대하여 비록 원고가 1987.3.25 그 파면처분무효확인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로써 위 퇴직급여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는 중단되지 아니하므로 위 청구당시에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으며, 소론이 들고 있는 당원판례( 1978.4.11. 선고 77다2509 판결)는 파면처분의 무효가 확정되기까지의 보수금(월급)청구를 한 사안에 관한 것으로서 퇴직금청구에 관한 이 사건과는 사안이 다르므로 이 사건에 적절한 선례가 되지 못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당연퇴직과 퇴직급여 소멸시효, 권리남용은?

공무원이 형사처벌로 당연퇴직 사유가 발생했더라도 실제 퇴직 발령 전까지 계속 근무한 경우, 당연퇴직 사유 발생 시점부터 퇴직급여 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시작된다. 단순히 당연퇴직 사실을 몰랐거나, 기관의 불문경고 등으로 계속 근무했더라도 소멸시효 완성을 막을 수는 없다.

#당연퇴직#공무원#퇴직급여#소멸시효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당연퇴직과 퇴직급여 청구 가능성

공무원이 당연퇴직 사유에 해당되면 별도의 통보 없이도 자동으로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되며, 이후 사실상 공무원처럼 일했더라도 퇴직급여를 받을 수 없다. 또한, 형벌 등으로 인해 퇴직급여를 제한하는 법률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당연퇴직#퇴직급여#임용결격사유#공무원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의 효력은?

정년퇴직한 공무원은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으며,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은 위헌결정 이후 제소된 사건에도 효력이 있다.

#면직처분 무효확인#확인의 이익#헌법재판소#위헌결정 효력

생활법률

퇴직금, 3년 안에 꼭 챙기세요! 소멸시효 완전 정복!

퇴직 후 3년 안에 퇴직금을 청구해야 하며, 기간 만료 시 소멸시효로 받을 수 없으므로 청구, 압류, 승인 등으로 시효를 중단시켜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퇴직금#소멸시효#3년#퇴직일 다음날

민사판례

파산 신청과 소멸시효 중단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려간 사람(채무자)에게 돈을 받지 못했을 때, 채무자가 파산할 것 같으면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파산 신청은 돈을 받을 권리(채권)의 소멸시효를 중단시키는 효력이 있습니다. 즉, 채권자가 파산 신청을 함으로써 채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다시 연장되는 것입니다.

#파산신청#소멸시효 중단#채권#채무자

일반행정판례

23년 만에 퇴직급여를 청구한 번역군무원, 결과는?

주한미군에서 번역군무원으로 일하다 퇴직한 후 23년 만에 공무원연금을 청구한 사례에서, 공단은 5년의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거부했고, 대법원은 공단의 시효 완성 주장이 권리남용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공무원연금#소멸시효#권리남용#퇴직군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