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

사건번호:

90도1198

선고일자:

199007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증거판단을 그르침으로써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위법을 저질렀다고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증거판단을 그르침으로써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위법을 저질렀다고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08조, 형법 제32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정근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0.5.3. 선고 89노71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피고인이 1989.7.1. 14:00경 판시 장소에 피해자 정안순의 목에 걸려있던 금목걸이 1개 시가 264,000원 상당을 절취하였다고 인정한 1심판결을 정당하다 하여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록을 살표보면 1심판결 채용증거 중 위 사실인정의 가장 주요한 증거는 목격자인 공소외 이수미와 피해자 정안순의 각 진술내용임을 알 수 있는바, 위 이수미는 경찰 및 검찰에서 피고인이 원심시판시 일시 및 장소에서 약45세 가량된 피해자의 금목걸이를 감아올려 앞니로 물어 끊어서 절취한 것을 보고 그 피해자에게 알려주었는데 그 후 공소외 채보경으로부터 위 피해자가 땅에 떨어진 금목걸이를 찾아갔다는 말을 들었다는 취지로 진술하고 있고, 위 채보경도 경찰에서 약 45세가량의 위 패해자가 잃어버린 금목걸이를 찾았다면서 좋아하는 것을 보았다고 진술하고 있으나, 원심판시 피해자인 정안순에 대한 사법경찰관사무취급 작성의 진술조서 기재에 의하면 위 피해자는 당시 만37세(1951.12.20.생)로서 위 이수미, 채보경 등이 목격한 피해자의 연령과 맞지않을 뿐 아니라, 위 피해자는 금목걸이를 절취당한 사실을 위 이수미로부터 들어서 안 것이 아니라 스스로 알아내어 경찰관파출소에 신고하였고 그 후 피해품을 찾은 일은 없는 것처럼 진술하고 있어서 위 이수미가 목격한 절도피해자는 위 정안순과 다른 사람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 밖에 1심채용 증거내용을 살펴보아도 피고인의 위 피해자 정안순에 대한 절도범행을 인정할 만한 자료를 찾아볼 수 없으므로 결국 위 범죄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음에 귀착된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원심판결에는 증거판단을 그르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있으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금은방에서 목걸이 들고 도망가면 절도죄?

금방에서 귀금속을 사는 척 하며 물건을 받아든 후, 화장실에 간다는 핑계로 도망간 행위는 절도죄에 해당한다. 물건을 건네받았더라도 도망치기 전까지는 주인의 점유 하에 있기 때문이다.

#절도죄#금방#귀금속#점유

형사판례

밤중 강도, 목격자 진술만 믿을 수 있을까?

밤에 짧은 시간 동안 강도를 당한 피해자가 범인을 지목했지만, 그 외 범인을 의심할 만한 다른 증거가 없다면 피해자 진술만으로 유죄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범인을 특정하는 다른 증거 없이, 경찰이 지목한 용의자를 피해자가 범인으로 확인했을 뿐이라면,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은 낮게 평가되어야 함.

#심야강도#피해자 진술#신빙성#증거 부족

형사판례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유죄 판결의 핵심 열쇠

피해자의 진술에 일관성이 없고 주변 상황과도 맞지 않아 신빙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피해자 진술에만 의존한 유죄 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한 사례.

#성폭행#유죄판결파기#피해자진술신빙성부족#증거재판주의

형사판례

범인식별 절차와 야간주거침입절도죄

새벽에 집에 침입하여 물건을 훔쳤더라도, 해가 뜨기 시작한 후였다면 '야간주거침입절도죄'가 아닌 '주거침입절도죄'로 처벌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용의자 사진 한 장만으로 범인을 지목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다른 증거가 뒷받침된다면 유죄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

#야간주거침입절도#주거침입절도#일출시간#목격자진술

형사판례

범인 얼굴, 목소리로만 범인을 지목했다면?

범인식별 절차에 하자가 있더라도, 다른 증거와 정황을 종합하여 신빙성을 인정할 수 있다.

#범인식별#절차적 하자#진술 신빙성#정황증거

형사판례

14세 미만의 절도는 처벌할 수 없다!

14세 미만 미성년자가 저지른 범죄 행위는 처벌할 수 없다는 형법 제9조에 따라, 원심에서 미성년자의 절도 행위를 유죄로 판단한 것을 대법원이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한 사례입니다.

#형사미성년자#14세 미만#절도#처벌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