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조건위반에인한손해배상청구재심신청기각결정무효확인

사건번호:

90재누34

선고일자:

1990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재심대상판결의 재심대상판결이나 또는 그 이전의 재심대상판결의 위법을 재심사유로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재심대상판결의 재심대상판결이나 또는 그 이전의 재심대상판결에 위법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유는 재심대상판결에 대한 적법한 재심사유가 될 수 없는 것이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재심원고】 이봉진 【피고, 재심피고】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 【피고보조참가인】 잠사아파트입주자 대표회의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1990. 2. 13. 선고 89재누120 판결 【주 문】 재심청구를 기각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재심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재심원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는 대법원 1989.10.13. 선고 89재누52 판결을 그 재심대상판결로 하여 한 재심청구를 기각한 당원 1990.2.13. 선고 89재누120 판결을 재심대상 판결로 표시하여 이 사건 재심청구를 하고 있으므로 그 재심사유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본다.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재심청구는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소정의 재심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기할 수 있는 것이다. 기록을 통하여 살펴보면 재심대상판결은 그 재심대상판결인 대법원 1989.10.13. 선고 89재누52 판결이 원고가 주장하는 판단유탈주장에 대하여 원고주장과 같은 판단유탈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원고의 재심사유에 대한 판단을 유탈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그 재심대상판결에 판단유탈이 있음을 전제로 하는 재심청구는 이유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므로 재심대상판결에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때"에 해당하는 판단유탈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재심대상판결의 재심대상판결이나 또는 그 이전의 재심대상판결에 위법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유는 재심대상판결에 대한 적법한 재심사유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사건 재심청구는 이유없으므로 기각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재항고 기각 결정에 대한 재심청구는 할 수 없다!

유죄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만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재항고 기각 결정은 유죄 판결이 아니므로 재심 청구 대상이 아닙니다.

#재심#재항고 기각#유죄판결#불가능

민사판례

대법원 판결로 알아보는 재심, 언제 가능할까?

대법원 판결에 대해 재심을 청구하려면 대법원의 판결 절차나 판결 자체에 법적인 문제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사실관계가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대법원#재심#사실관계#절차적 문제

상담사례

확정 안 된 판결에 재심 청구? 안 돼요! 🙅‍♀️

판결 확정 전에는 재심 청구가 불가능하며, 확정 후에 청구해야 한다.

#재심#확정판결#항소#부적법

민사판례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재심을 청구할 수 있을까? 재심의 재심!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재심사유가 있다면 다시 재심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재심에서 첫 번째 재심의 판단이 잘못되었다고 밝혀져 원래 판결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나면, 원래 판결을 다시 뒤집을 수는 없습니다.

#재심#확정판결#재심사유#문서위조

민사판례

재심의 재심?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다시 재심을 청구할 수 있을까?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또다시 재심을 청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재심판결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 이전 재심청구를 다시 심리해야 합니다. 만약 이전 재심청구가 기각되면 원래의 확정판결에 대해서는 더 이상 다툴 수 없습니다.

#재심의 재심#재심절차#재심 기각 효과#확정판결

상담사례

재심의 재심?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또 재심 가능할까요?

확정된 재심판결에도 새로운 재심사유가 있다면 '재심의 재심'이 가능하며, 이 경우 법원은 재심판결의 문제점을 검토 후 원래 사건을 재심리한다.

#재심#재심판결#확정판결#재심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