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감호,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1감도57

선고일자:

199108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유죄판결이 확정되고 보호감호사건만이 상고된 경우에는 그 범죄사실에 대하여 다툴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감호요건인 범죄사실에 대하여 이미 유죄판결이 확정되고 보호감호사건만이 상고된 경우에는 그 범죄사실에 대하여는 다툴 수 없다.

참조조문

사회보호법 제5조, 제20조, 형사소송법 제384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12.23. 선고 86감도236 판결(공1987,269), 1987.12.22. 선고 87감도185 판결(공1988,375)

판례내용

【피감호청구인】 【상 고 인】 피감호청구인 【변 호 인】 변호사 박영서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4.19. 선고 90노621,91감노3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감호청구인과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감호요건인 범죄사실에 대하여 이미 유죄판결이 확정되고 보호감호사건만이 상고된 경우에는 그 범죄사실에 대하여는 다툴 수 없다( 당원 1987.12.22. 선고 87감도185 판결 참조). 원심판결이 그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피감호청구인의 전과내용과 이 사건 범행의 동기, 수단, 결과, 횟수 및 피감호청구인의 성행, 환경 등을 종합하여 피감호청구인에 대한 이 사건 범행의 상습성과 재범의 위험성을 인정한 것은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보호감호요건이 갖추어진 이상 법원은 그 감호기간을 달리 정할 수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보호감호를 선고할 때, 이전 판결에 대한 불만을 어떻게 다룰까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재범 위험성 때문에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불복하여 상고할 경우, 유죄 판결 자체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보호감호#상고#유죄판결#별개

형사판례

죄 인정하고 감호만 다투면, 사실관계는 못 따른다!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보호감호 처분을 받은 사람이 유죄 판결은 받아들이고 보호감호 처분에 대해서만 상고하는 경우, 유죄 판결의 사실관계에 대한 이의는 제기할 수 없다.

#유죄판결#보호감호#상고#사실관계

형사판례

보호감호, 또 받을 수 있을까? - 이전 전과 기록도 포함될까?

이전에 보호감호 처분을 받고 그 일부를 마친 사람이 다시 범죄를 저지르면, 이전 보호감호 처분의 근거가 되었던 범죄 이력을 포함하여 다시 보호감호 처분을 할 수 있다. 이는 이중처벌 금지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보호감호#재범#이중처벌 금지#과거 범죄이력

형사판례

보호감호 대상이 아닌 범죄로 보호감호 청구가 기각된 사례

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이 확정된 후, 사회에서 격리하기 위해 보호감호를 청구했지만, 확정된 범죄 내용이 보호감호 요건에 해당하지 않아 기각된 사례.

#보호감호#기각#확정판결#요건불충족

형사판례

옛날 보호감호법으로 처벌받았는데, 법이 바뀌어도 계속 감호되는 게 맞을까?

옛날 사회보호법으로 보호감호를 선고받은 사람이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재심을 받게 되었는데, 재심에서 새 사회보호법을 적용해 다시 보호감호 처분을 받았습니다. 이는 헌법에 어긋나지 않으며, 법이 바뀌었다고 해서 보호감호 처분이 없어지거나 면제되지도 않습니다.

#사회보호법#보호감호#재심#위헌

형사판례

절도죄와 보호감호, 재범 위험성 판단은 어떻게?

단순히 전과가 있다거나 상습적인 범행을 저질렀다고 해서 무조건 보호감호 처분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장래에 다시 죄를 범할 '고도의 개연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기소유예된 절도와 다른 절도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후자의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재범 위험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보호감호#재범위험성#고도의 개연성#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