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6733

선고일자:

199209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이 시행된 1989.7.1.부터 공시지가의 공시가 있을 때까지 기준지가를 공시지가에 갈음하기 위하여는 건설부장관의 의사표시가 필요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부칙 제5조는 구 국토이용관리법 제29조(1989.4.1. 법률 제4120호로 삭제)에 의한 기준지가의 고시가 있는 토지에 대하여 1989.7.1.부터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에 의한 공시지가의 공시가 있을 때까지는 그 기준지가를 당연히 공시지가에 갈음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고, 건설부장관의 이에 상당한 의사표시를 기다려 비로소 기준지가를 공시지가에 갈음할 수 있는 것으로 볼 것이 아니다.

참조조문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 부칙 제5조, 구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1항, 제2항, 구 국토이용관리법 제29조(1989.4.1. 법률 제4120호로 삭제)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5.30. 선고 90구14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토지수용법(1991.12.31. 법률 제4483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 제46조 제1,2항은 “수용대상물건에 대한 손실액의 산정은 수용 또는 사용재결 당시의 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토지에 대한 보상은 지가공시및토지등의평가에관한법률(이하 지가공시법이라 한다)에 의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지가공시법 부칙 제1조, 제5조는 “지가공시법은 1989.7.1.부터 시행하되 건설부장관은 이 법에 의한 지가의 공시가 있을 때까지 이 법 시행당시의 국토이용관리법 제29조의 규정에 의한 기준지가를 이 법에 의한 공시지가로 갈음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위 각 규정과 지가공시법 제1조, 제3조, 토지수용법 제46조 제1,2항(1989.4.1. 법률 제41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과 개정된 후의 것), 국토이용관리법 제29조(1989.4.1. 지가공시법 부칙 제3조 제1항에 의하여 삭제된 것)등 관계법령의 규정 및 지가공시법의 제정과 토지수용법의 개정취지를 종합하여 보면, 지가공시법 부칙 제5조는 위 국토이용관리법 제29조에 의한 기준지가의 고시가 있는 토지에 대하여 1989.7.1.부터 지가공시법에 의한 공시지가의 공시가 있을 때까지는 그 기준지가를 당연히 공시지가에 갈음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고, 건설부장관의 이에 상당한 의사표시를 기다려 비로소 기준지가를 공시지가에 갈음할 수 있는 것으로 볼 것이 아니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종전의 기준지가를 공시지가에 갈음한다는 건설부장관의 의사표시유무에 관한 판단을 하지 아니한 채 이 사건 토지의 종전의 기준지가를 공시지가에 갈음된 것으로 보아 그 손실액평가의 기초로 삼은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토지수용법 제46조 제1,2항지가공시법 부칙 제5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땅값 계산, 언제 기준으로 할까요? (취득세 & 등록세)

토지 취득/등기 시점에 당해 연도 개별공시지가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면, 직전 연도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없다는 판결입니다. 설령 납부 기한 안에 당해 연도 공시지가가 나오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토지#취득세#등록세#과세표준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산정, 뭘 기준으로 할까?

1989년 지가공시법 시행 이후, 최초 공시지가 발표 전에 이루어진 토지수용 보상액 산정 시, 이전 법률(국토이용관리법)이 아닌 새로운 법률(토지수용법, 지가공시법)에 따라 평가해야 하며, 인근 유사 토지의 거래 가격, 보상 선례, 사업 시행으로 인한 가격 변동 등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

#토지수용#보상액#공시지가#지가공시법

일반행정판례

개별공시지가 결정, 토지가격비준표와 다르면 무조건 위법일까?

시장, 군수, 구청장이 정하는 개별공시지가가 토지가격비준표로 산정한 가격이나 감정평가사의 검증 의견과 다르더라도, 표준지 공시지가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면 위법하지 않다는 판결입니다.

#개별공시지가#표준지 공시지가#토지가격비준표#감정평가사

일반행정판례

땅값 계산, 미래 가능성은 빼고 현재 상태만 봐야죠!

토지의 공시지가를 정할 때는 미래에 어떻게 개발될 가능성이 있는지가 아니라 현재 실제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봐야 한다는 판결. 주변 땅들이 개발되었다고 해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땅의 가격을 주거지 가격으로 매길 수는 없다는 내용.

#토지#공시지가#현재 이용 상황#미래 가능성 배제

일반행정판례

땅값 산정, 용도지역이 다르면 무조건 다른 표준지 써야 할까?

토지 가격을 정할 때, 비슷한 토지(표준지)를 기준으로 삼는데, 반드시 용도지역이 꼭 같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용도지역은 여러 요소 중 하나일 뿐이고, 다른 조건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세분화된 용도지역 차이(예: 준주거지역 vs. 일반주거지역)가 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므로, 그 차이에 따른 조정률을 따로 정하지 않았더라도 위법하지 않습니다.

#토지가격#표준지#용도지역#조정률

일반행정판례

공시지가가 시세보다 낮다고 무조건 위법은 아닙니다!

개별공시지가가 시세보다 높거나 낮다고 해서 바로 위법한 것은 아니며, 과거 연도의 지가를 나중에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준지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다면 별도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개별공시지가#시세#과거 지가 사후 결정#표준지 공시지가 이의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