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

사건번호:

91누8432

선고일자:

1991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동산으로 대물변제하는 경우의 부동산의 양도시기(=소유권이전등기시)

판결요지

대물변제는 본래의 채무에 갈음하여 다른 급부를 현실적으로 하는 때에 성립하는 요물계약으로서 다른 급부가 부동산의 소유권이전일 때에는 그 소유권이전등기를 완료하여야만 대물변제가 성립되어 기존채무가 소멸하는 것이므로 그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때에 부동산이 양도되고 그 대가의 지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소득세법 제27조,같은법시행령 (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0.10.26. 선고 90누5801 판결(공1990,2464)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반포세무서장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91.7.5. 선고 90구157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심판결의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득세법 제27조 및 동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면 자산의 양도차익을 산정함에 있어서 당해 자산의 대금을 청산한 날을 그 양도시기로 정하고 있음은 원고의 주장과 같으나, 대물변제는 본래의 채무에 갈음하여 다른 급부를 현실적으로 하는 때에 성립하는 요물계약으로서 여기서의 다른 급부가 부동산의 소유권이전일 때에는 그 소유권이전등기를 완료하여야만 대물변제가 성립되어 기존채무가 소멸하는 것이므로 그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때에 부동산이 양도되고 그 대가의 지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면서(당원 1990.10.26. 선고 90누5801 판결 참조), 원고의 주장사실을 모두 인정한다 하더라도 원고의 남편인 소외 1이 1985.10.25.까지 3회에 걸쳐 합계 금 30,000,000원을 소외 2로부터 차용하고 그 변제에 갈음하여 같은 날 이 사건 부동산을 양도하기로 약정하고 이전등기는 여러가지 사정 때문에 차일피일하다가 1989.4.22.에야 경료하여 주었다는 것이니 이 사건 부동산의 양도시기 즉 대금청산일은 대물변제의 약정하에 마지막으로 채무를 부담한 날인 1985.10.25.이 아니고 실제로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주어 채무를 소멸시킨 1989.4.22.이라고 하고 있는바, 원심판결의 이유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 설시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나 경험칙과 논리칙에 어긋나는 판단으로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할 수 없다. 소론은 실지양도가액 즉, 소멸된 채무액에 비하여 양도소득세액이 과중함을 호소하면서 이를 경험칙위반이라고 다투고 있으나 이는 양도차익을 계산함에 있어서 기준시가를 표준으로 하느냐 또는 실지거래가액을 표준으로 하느냐 하는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원고가 원심에서 주장하지 아니한 사항이므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없다 할 것이다. 상고논지는 모두 채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에게 부담시키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빚 대신 부동산으로 갚았다면, 세금은 언제 계산해야 할까요? (대물변제와 양도소득세)

빚 대신 부동산을 넘겨주는 대물변제는 등기가 완료되어 소유권이 넘어가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세금 계산도 등기 완료 시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대물변제#부동산#양도시기#등기완료

민사판례

빚 대신 부동산을 받기로 했는데, 이게 빚 갚는 건가요, 담보인가요?

빚과 관련하여 빚진 사람의 부동산 소유권을 빚 준 사람에게 넘겨주기로 약속했을 때, 그 약속이 빚 대신 물건으로 갚는 대물변제인지, 아니면 빚을 갚지 못할 경우를 대비한 담보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부동산 소유권 이전#대물변제#담보#양도담보

민사판례

땅 소유권 이전, 빚 갚은 걸까? 담보로 맡긴 걸까?

빚 때문에 채무자의 땅이 채권자 명의로 넘어갔을 때, 이것이 빚 대신 땅을 완전히 넘긴 것(대물변제)인지, 아니면 빚 담보로 땅을 맡긴 것(양도담보)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원심에서는 대물변제라고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여러 정황상 양도담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대물변제#양도담보#판단기준#

민사판례

빚 대신 부동산을 넘겨주기로 했는데, 등기 전이라면?

빚을 갚는 대신 부동산 소유권을 넘겨주기로 약속했지만, 등기 전이라면 이는 '양도담보'로 해석되어 채권자는 소유권 이전 등기를 요구할 수 있다. 단, 가등기담보법에 따른 청산 절차는 필요 없다.

#양도담보#대물변제#소유권이전등기#가등기담보법

세무판례

빚 대신 부동산 받을 때, 취득세는 언제 내야 할까요? (대물변제와 취득세)

빚 대신 부동산을 받는 대물변제의 경우, 단순히 부동산을 받기로 약속한 시점이 아니라 실제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시점에 취득세 납세 의무가 발생합니다.

#대물변제#취득세#납세의무#소유권이전등기

세무판례

부동산 대물변제, 언제 취득한 걸로 볼까요?

빚 대신 부동산을 받기로 했을 때(대물변제), 부동산의 소유권 등기가 완료된 날짜가 바로 부동산을 취득한 날짜로 인정된다. 약속한 부동산의 일부만 받았더라도, 받은 부분에 대해서는 빚을 갚은 것으로 효력이 발생한다.

#대물변제#부동산#취득시기#등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