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9312

선고일자:

1992081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수용재결에 불복하여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이의를 신청하고, 그 이의신청에 대한 재결에 불복하여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행정심판법 제18조 및 행정소송법 제20조의 적용 가부(소극) 나. 위 “가”항의 이의신청기간과 행정소송제기기간을 일반법인 행정심판법및 행정소송법상의 기간보다 짧게 규정한 것이 위헌 또는 위법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관할토지수용위원회의 원재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의 송달이 있은 날로부터 1월 이내에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이의를 신청하여야 하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신청에 대한 재결에도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의 송달이 있은 날로부터 1월 이내에 그 이의재결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행정심판법 제18조, 행정소송법 제20조의 규정은 적용될 수 없다. 나. 수용재결(원재결)에 대한 이의신청기간과 이의재결에 대한 행정소송제기기간을 그 일반법인 행정심판법 제18조 제1항의 행정심판청구기간(60일)과 행정소송법 제20조 제1항의 행정소송의 제소기간(60일)보다 짧게 규정한 것은 토지수용과 관련한 공공사업을 신속히 수행하여야 할 그 특수성과 전문성을 살리기 위한 필요에서 된 것으로 이해되므로 이를 행정심판법 제43조, 제42조에 어긋나거나 헌법 제27조에 어긋나는 위헌규정이라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가.나. 토지수용법 제75조의2 제1항, 행정소송법 제20조 제1항, 행정심판법 제18조 제1항 / 나. 같은 법 제43조, 제42조, 헌법 제27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9.3.28. 선고 88누5198 판결(공1989,694), 1990.6.22. 선고 90누1755 판결(공1990,1585), 1992.6.9. 선고 92누565 판결(공1992,215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7.25. 선고 91구61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토지수용법 제73조, 제74조, 제75조의2의 각 규정에 의하면, 중앙토지수용위원회나 지방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 정본의 송달을 받은 날로부터 1월이내에 이의신청을 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재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이의재결서)가 송달된 날로부터 1월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용재결(원재결)에 대한 이의신청기간과 이의재결에 대한 행정소송 제기기간을 그 일반법인 행정심판법 제18조 제1항의 행정심판청구기간(60일)과 행정소송법 제20조 제1항의 행정소송의 제소기간(60일)보다 짧게 규정한 것은 토지수용과 관련한 공공사업을 신속히 수행하여야 할 그 특수성과 전문성을 살리기 위한 필요에서 된 것으로 이해되므로 이를 행정심판법 제43조에 어긋나거나 헌법 제27조에 어긋나는 위헌규정이라 할 수 없다. 당원은 관할토지수용위원회의 원재결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의송달이 있은 날로부터 1월 이내에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이의를 신청하여야 하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이의신청에 대한 재결에도 불복이 있으면 그 재결서의 송달이 있은 날로부터 1월이내에 그 이의재결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는 행정심판법 제18조, 행정소송법 제20조의규정은 적용될 수 없다고 누차 그 견해를 밝힌바 있다(당원 1989.3.28. 선고 88누5198 판결; 1990.6.22. 선고 90누1755 판결 등). 또, 행정심판법 제42조의 규정은 행정심판 안내의 고지의무를 규정한 것이지 행정소송의 안내의무를 규정한 것은 아닌 것이다. 행정심판청구가 아닌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경우에 제소기간에 관한 안내고지가 없으면 그 제소기간을 행정소송법 제20조 제1항의 60일로 보아야 할 아무런 법적근거도 없다. 이 사건 이의재결서 정본송달을 함에 있어 행정소송제기에 관한 안내고지가 없었다 하여 그 제소기간을 토지수용법상의 1월이 아닌 행정소송법상의 60일로 보아야 한다는 소론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그렇다면, 원심이 이 사건 소는 그 제소기간을 도과한 부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을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재결에 불복할 때, 이의신청 기간 제대로 알고 계셨나요?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 재결에 불복할 때 이의신청 기간을 알려주지 않으면 일반 행정심판처럼 180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토지수용#재결#이의신청#기간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이의재결 불복 소송, 기간 놓치면 안 돼요!

토지수용에 불복하여 이의신청을 했는데 기각된 경우, 재결서를 받은 날로부터 1달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이 기간은 엄격하게 지켜야 하며, 단순히 집에 없어서 재결서를 늦게 확인했다는 사유로는 기간을 연장받을 수 없습니다.

#토지수용#이의재결#불복소송#제소기간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재결에 불만이 있다면? 바로 소송은 안 돼요!

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 결정에 바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고, 먼저 이의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의신청 결과에도 불복하면 그때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재결#행정소송#이의신청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어디까지 다툴 수 있을까?

토지수용과 관련된 소송은 수용재결 자체가 아니라, 그에 대한 이의신청 후 나오는 이의재결에 대해서만 제기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재결#이의신청#이의재결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증액 소송, 제소기간 놓치면 안 돼요!

토지수용 보상금 증액 소송에서, 처음에는 수용재결 취소를 구하다가 이의재결 후 소송 내용을 이의재결 취소로 변경했더라도, 변경 전에 이의재결 취소를 명확히 주장하지 않았다면 제소기간이 도과되어 소송이 각하된다는 판례입니다.

#토지수용#보상금증액#청구취지변경#제소기간도과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 불복, 누굴 상대로 소송해야 할까?

토지수용에 불만이 있어 소송을 제기할 때, 이의신청을 했더라도 원칙적으로 처음 수용재결을 내린 기관을 상대로 소송해야 합니다. 단, 이의신청 과정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이의신청 결과를 내린 기관을 상대로 소송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재결#소송#이의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