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91다21800

선고일자:

1992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상법 제15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임치의 성립요건 나. 여관 부설주차장에 차를 주차시킨 투숙객과 여관업자 사이에 위 ‘가’항의 임치의 성립 여부

판결요지

가. 상법 제15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임치가 성립하려면 우선 공중접객업자와 객 사이에 공중접객업자가 자기의 지배령역 내에서 목적물 보관의 채무를 부담하기로 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있음을 필요로 한다. 나. 여관 부설주차장에 시정장치가 된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거나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인이 배치되어 있거나 기타 여관측에서 그 주차장에의 출입과 주차사실을 통제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조치가 되어 있다면, 그러한 주차장에 여관 투숙객이 주차한 차량에 관하여는 명시적인 위탁의 의사표시가 없어도 여관업자와 투숙객 사이에 임치의 합의가 있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주차장 출입과 주차사실을 통제하거나 확인하는 시설이나 조치가 되어 있지 않은 채 단지 주차의 장소만을 제공하는 데에 불과하여 그 주차장 출입과 주차사실을 여관측에서 통제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면, 부설주차장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위배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그러한 주차장에 주차한 것만으로 여관업자와 투숙객 사이에 임치의 합의가 있은 것으로 볼 수 없고, 투숙객이 여관측에 주차사실을 고지하거나 차량열쇠를 맡겨 차량의 보관을 위탁한 경우에만 임치의 성립을 인정할 수 있다.

참조조문

가.나. 상법 제152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대한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재식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5.24. 선고 90나52816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상고이유서에 대한 보충서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되었으므로 상고이유서 기재이유를 보충하는 한도 내에서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은 1990. 2. 5. 23:40부터 그 다음날 08:40경까지 피고가 경영하는 ○○○여관에 투숙하면서 위 여관건물 정면 길(노폭 6미터)건너편에 있는 주차장에 그 소유의 소나타 승용차를 주차시켜 놓았다가 도난당하였는데 투숙할 때에 여관 종업원에게 주차사실을 고지하지 않았던 사실, 위 주차장은 피고가 위 여관의 부대시설의 하나로 설치한 것으로서 그 출입구가 위 여관의 계산대에서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있기는 하나 시정장치가 부착된 출입문을 설치하거나 도난방지를 위한특별한 시설을 하지 아니한 채 그 입구에 ○○○주차장이라는 간판을 세우고, 그 외곽은 천으로 된 망을 쳐 놓고, 차를 세울 부분에 비와 눈에 대비한 지붕을 설치하여 만든 것에 불과한 것이고, 또한 위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경비하는 일을 하는 종업원이 따로 있지도 아니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인정사실에 의하면 소외 1이 피고 경영의 위 여관에 투숙하기 위하여 위 여관 주차장에 그가 타고 온 승용차를 주차시킨 후 위 여관에 투숙함으로써 공중접객업자인 피고는 객인 위 소외 1로부터 위 승용차를 임치받았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로서는 상법 제152조 제1항에 따라 위 도난사고가 불가항력으로 인한 것임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는 이 사건에 있어서 위 승용차의 소유자인 위 소외 1에게 그로 말미암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상법 제15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임치가 성립하려면 우선 공중접객업자와 객사이에 공중접객업자가 자기의 지배영역 내에서 목적물 보관의 채무를 부담하기로 하는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있음을 필요로 하는바, 여관 부설주차장에 시정장치가 된 출입문이 설치 되어 있거나 출입을 통제하는 관리인이 배치되어 있거나 기타 여관측에서 그 주차장에의 출입과 주차사실을 통제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조치가 되어 있다면, 그러한 주차장에 여관 투숙객이 주차한 차량에 관하여는 명시적인 위탁의 의사표시가 없어도 여관업자와 투숙객사이에 임치의 합의가 있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위와 같은 주차장 출입과 주차사실을 통제하거나 확인하는 시설이나 조치가 되어 있지 않은 채 단지 주차의 장소만을 제공하는 데에 불과하여 그 주차장 출입과 주차사실을 여관측에서 통제하거나 확인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면, 부설주차장 관리자로서의 주의의무 위배 여부는 별론으로 하고 그러한 주차장에 주차한 것만으로 여관업자와 투숙객 사이에 임치의 합의가 있은 것으로 볼 수 없고, 투숙객이 여관측에 주차사실을 고지하거나 차량열쇠를 맡겨 차량의 보관을 위탁한 경우에만 임치의 성립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원심확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주차장에 시정장치가 된 출입문을 설치하거나 주차된 차량을 경비하는 종업원이 배치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또 주차장의 출입구가 위 여관의 계산대에서 마주볼 수 있는 위치에 있기는 하나 이 곳에서 주차장 출입차량을 일일이 통제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닌 사실이 엿보이므로, 위 원심확정사실만으로는 주차사실을 전혀 고지하지 아니한 소외 1과 피고 사이에 주차차량에 관한 임치의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피고와 위 소외 1 사이에 주차차량에 관한 임치가 성립된 것으로 판단하였음은 상법 제152조 제1항 소정의 임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지른 것으로서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다른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하고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관 부설주차장에서 차량 도난당했는데, 여관 주인 책임일까요?

출입 통제 시설이나 인원이 없는 여관 부설주차장에서 차량이 도난당한 경우, 여관 주인에게 차량 관리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여관#부설주차장#차량도난#책임 없음

상담사례

여관 주차장에 차 댔는데 도난당했어요! 배상받을 수 있을까요? 🚗🚨

여관 주차장 차량 도난 시 배상 여부는 주차장 관리 (잠금장치, 관리인 유무), 차 키 보관 여부, 주차 사실 고지 여부 등에 따라 '임치' 관계 성립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된다.

#여관 주차장#차량 도난#배상#임치

상담사례

유료주차장에 차 맡겼는데 도난당했어요! 주차장 책임 물을 수 있을까요? 🚗🚨

유료주차장에 맡긴 차량 도난 시, 주차장 측의 관리 소홀이 입증되어야 배상 책임이 인정되며, 단순히 예비 열쇠 보관 및 야간 도난 사실만으로는 책임을 묻기 어렵다.

#유료주차장#도난#주차장 책임#선량한 관리자의 주의

민사판례

주차장에 맡긴 내 차, 도난당했는데 주차장 책임은 없다고?

주차장 이용시간 외 야간에 도둑이 사무실에 침입하여 예비열쇠를 훔쳐 차량을 훔쳐간 사건에서, 주차장 관리인이 예비열쇠 보관에 대한 주의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주차장 관리인이 충분한 주의 의무를 다했으므로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주차장#예비열쇠 도난#차량 도난#관리인 책임

민사판례

야간에 주차장에서 차량 도난 사고 발생! 주차장 관리인의 책임은 어디까지?

유료 노외주차장에서 정해진 운영시간 외에 발생한 차량 도난 사고에 대해서는 주차장 관리자에게 배상 책임이 없다. 월정액 주차 계약을 했다 하더라도 운영시간 외에는 주차장 이용계약의 효력이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주차장#운영시간 외#도난#책임 없음

민사판례

여관 주인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투숙객 안전사고, 배상받을 수 있을까?

여관 주인은 투숙객에게 단순히 객실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투숙객의 안전을 보호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반하여 투숙객에게 손해가 발생하면 배상 책임을 진다.

#여관#투숙객#보호의무#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