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중뇌물수수,허위공문서작성,허위공문서작성행사,뇌물수수,업무상횡령

사건번호:

91도1438

선고일자:

199204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수개의 공소사실 중 일부에 대한 소추대상에서의 철회절차 나. 검사가 공소취소의 취지가 담긴 공소장변경신청을 한 경우 법원이 취할조치

판결요지

가. 공소장변경의 방식에 의한 공소사실의 철회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 내의 일부 공소사실에 한하여 가능한 것이므로, 공소장에 기재된 수개의 공소사실이 서로 동일성이 없고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경우에 그 일부를 소추대상에서 철회하려면 공소장변경의 방식에 의할 것이 아니라 공소의 일부취소절차에 의하여야 한다. 나.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수개의 공소사실 중 어느 한 공소사실을 전부 철회하는 검찰관의 공판정에서의 구두에 의한 공소장변경신청이 있는 경우 이것이 그 부분의 공소를 취소하는 취지가 명백하다면 비록 공소취소신청이라는형식을 갖추지 아니하였더라도 이를 공소취소로 보아 공소기각결정을 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가.나. 형사소송법 제255조, 제298조, 군사법원법 제297조, 제355조 / 나. 형사소송법 제328조, 군사법원법 38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23. 선고 86도1487 판결(공1986,3007), 1988.3.22. 선고 88도67 판결(공1988,73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백형구 외 1인 【원심판결】 육군고등군사법원 1991.4.30. 선고 91노5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변호인들의 각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적시의 각 증거에 의하면, 소론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의 위배나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잘못 내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다만 공소장변경의 방식에 의한 공소사실의 철회는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 내의 일부 공소사실에 한하여 가능한 것이므로, 공소장에 기재된 수개의 공소사실이 서로 동일성이 없고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경우에 그 일부를 소추대상에서 철회하려면 공소장변경의 방식에 의할 것이 아니라 공소의 일부 취소절차에 의하여야 하며, 또한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수개의 공소사실 중 어느 한 공소사실을 전부 철회하는 검찰관의 공판정에서의 구두에 의한 공소장변경신청이 있는 경우 이것이 그 부분의 공소를 취소하는 취지가 명백하다면 비록 공소취소신청이라는 형식을 갖추지 아니하였더라도 이를 공소취소로 보아 공소기각결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당원 1988.3.22. 선고 88도67 판결; 1986.9.23. 선고 86도1487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검찰관이 제1심 공판정에서 구두에 의하여 공소장변경신청을 하고, 법원의 공소장변경 허가에 따라 이 사건 공소장 기재 죄명 중 “뇌물공여”와 공소사실 내용 중 “5의 바항”을 철회한다고 진술하고 있으나, 공소장 기재에 의하면 공소사실의 내용 중 뇌물공여에 관한 부분은 “4항”에 기재된 단 하나의 범죄사실뿐이고, 공판조서에도 그 부분에 관하여만 피고인에 대한 직접신문이 행하여지지 아니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검찰관이 다른 나머지의 공소사실과 실체적 경합관계에 있는 위 뇌물공여의 공소사실을 전부 철회하는 내용의 위 공소장변경을 신청한 것은 그 부분의 공소를 전부 취소하는 취지인 것으로 보이므로, 법원으로서는 위 공소장변경신청을 공판정에서 구두로 한 공소취소로 보아 마땅히 위 뇌물공여부분에 대하여 공소기각의 결정을 하였어야 할 것인데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재판을 빠뜨린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피고인만이 불복상고한 이 사건에 있어 위와 같이 검찰관으로부터 공소취소의 의사표시가 있는 위 뇌물공여부분에 대하여 공소기각의 재판을 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위 뇌물공여부분에 관하여 별도의 공소기각결정을 함으로써 족하고, 이를 곧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원심판결을 파기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므로, 결국 이 점에 대한 논지도 이유 없음에 돌아간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검사가 공소사실 일부를 철회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할까요?

여러 개의 관련 없는 죄를 저질렀는데, 그 중 일부 죄에 대해서만 처벌을 면하고 싶다면, 단순히 공소장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검사가 공소 자체를 취소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공소취소#공소장변경#관련없는 죄#일부 면소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검사가 서면으로 공소장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 피고인의 동의는 필요하지 않으며, 공판조서의 내용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대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공소장변경#피고인동의#서면신청#공판조서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법원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검사가 항소심에서 피해자와 횡령액을 추가하는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으나, 법원이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재판을 진행하여 판결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례입니다.

#공소장 변경#법원 의무#공소사실 동일성#방어권

형사판례

재판 끝나고 검사가 공소장 변경하려면? 꼭 다시 재판해야 할까?

재판이 모두 끝난 후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려고 해도 법원은 꼭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소장 변경#재판 종결#불허#형사소송법 제298조

형사판례

검사의 공소장 변경, 법원이 강제할 수 있을까?

법원은 검사에게 공소장 변경을 요구할 의무가 없다. 공소장 변경 요구 여부는 법원의 재량이다.

#공소장 변경#법원 재량#석명권#상고기각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과 경합범에서의 파기 범위

아동 성범죄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범행 일시 특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검사가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으나 법원이 이를 기각하고 무죄를 선고한 것에 대해 대법원은 공소장 변경을 허용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원심을 파기 환송했습니다. 또한, 경합범 관계에 있는 범죄 일부에 대해 무죄가 선고되고 검사의 상고가 인정된 경우, 유죄 부분도 함께 파기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공소장변경#경합범#파기환송#아동성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