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위조사문서행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행사

사건번호:

91도1524

선고일자:

199108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원고인 피고인과 피고 갑이 공모하여 민사소송에서 법원에 대하여 위조된 문서를 증거로 제출하면서 피고인이 동일한 전 소송에서 모두 패소확정된 사실을 감추고, 다른 피고들의 적극적인 방어행위를 방해하는 등 하여 법원을 기망하였다면 소송사기가 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원고인 피고인과 피고 갑이 공모하여 민사소송에서 법원에 대하여 위조된 문서를 증거로 제출하면서 피고인이 동일한 전 소송에서 모두 패소확정된 사실을 감춘 가운데, 피고인은 다른 피고들에게 피고인이 승소하더라도 피고 갑에 대하여서만 권리행사를 하고 다른 피고들에게는 집행을 하지 아니하겠다는 등으로 이들을 회유하여 이들의 적극적인 방어행위를 방해하고, 피고 갑은 원고인 피고인의 주장 사실을 단순히 부인하였을 뿐 동일한 전소에서의 피고인의 패소판결내용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주장 입증하지 아니하는 등 불성실하게 소송을 진행하여 이러한 사정 등을 모르는 법원을 기망하였다면 소송사기가 된다.

참조조문

형법 제30조, 제34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9.22. 선고 87도1090 판결(공1987,167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1.6.5. 선고 90노276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4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채용증거들을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때 피고인에 대한 판시 사기, 위조사문서행사,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 동 행사 등 범행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으며, 원심공동 피고인 이 소론 부산지방법원 83가합4388 사건에 대한 재심사건에서 피고인이나 원심공동피고인이 고소인들에게 이 사건 계쟁토지에 관한 여러 건의 소송에서 피고인이 패소한 사실을 말한 사실이 없어 고소인들이 이를 몰랐다고 증언한 것이 유죄로 확정되었고 또 고소인들의 검찰에서의 진술기재 가운데 위 83가합4388 사건 소송중에 피고인이 과거에 이 사건 계쟁토지에 관한 소송에서 패소한 일이 있다는 사실을 들었다는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기록에 의하면 고소인들은 막연히 피고인이 위와 같이 패소한 사실을 들었다는 것일 뿐 이 사건 계쟁부동산과 관련하여 피고인이 과거에 공소외 망 윤영봉, 원심공동피고인 등 여러사람을 상대로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하여 제기한 사건 등 이 사건 계쟁토지에 관한 여러 건의 민사소송 중어느 사건에서 무슨 이유로 패소하였으며 그것이 위 83가합4388 사건의 승패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하여서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고 보기도 어렵거니와 피고인과 윤기오가 공모하여 위 83가합4388 사건의 소송에서 법원에 대하여 판시 위조된 문서를 증거로 제출하면서 피고인과 위 윤영봉 등이 판시와 같은 동일 소송에서 모두 패소확정된 사실을 감춘 가운데 피고인은 위 고소인들에게 피고인이 승소하더라도 윤기오에 대하여서만 권리행사를 하고 고소인들에게는 집행을 하지 아니하겠다는 등으로 이들을 회유하여 이들의 적극적인 방어행위를 방해하고 윤기오는 그 사건의 원고인 피고인의 주장사실을 단순히 부인하였을 뿐 동일한 소송물인 이 사건 토지에 대하여 피고인 및 위 윤영봉의 패소판결내용을 구체적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주장 입증하지 아니하는 등 불성실하게 소송을 진행하여 이러한 사정 등을 모르는 법원을 기망하였다는 등의 판시사실이 인정되는 이 사건에 있어서는 위 위증판결사실이나 위 고소인들의 위와 같은 검찰진술이 있다 하여 피고인에 대한 판시 사기 범행 등을 인정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결국 원심판결에는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반, 심리미진, 판단유탈, 이유모순, 재산권보장에 관한 헌법 제23조 위반 및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40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땅이라고 믿고 소송했는데 사기죄라고요? 소송사기죄, 알고 보면 이렇습니다!

소송을 통해 부당 이득을 취하려는 '소송 사기죄'는 단순히 권리가 없는데 소송을 제기한 것만으로는 성립하지 않고, 권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법원을 속이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소송 사기죄#고의#기망행위#권리 없음 인식

형사판례

소송에서 거짓말하면 사기죄? 소송사기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소송에서 이기려고 거짓말을 하거나 가짜 증거를 내는 것은 사기죄가 될 수 있습니다. 원고든 피고든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법원을 속이려 했다면 처벌받습니다. 단, 소송사기죄는 민사재판 제도를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명백한 거짓말이나 증거 조작 정황 등이 없다면 함부로 유죄로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소송사기죄#사기#거짓말#증거조작

형사판례

소송에서 거짓말하면 무조건 사기죄일까? - 소송사기죄 성립요건

소송 중에 거짓 주장을 하고 가짜 증거를 제출했더라도, 그것이 명백한 거짓임을 알면서 법원을 속이려는 고의가 있어야만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법률적 판단을 잘못했거나 사실을 오해한 경우에는 사기죄가 아닙니다.

#소송#허위주장#사기죄#고의

형사판례

소송에서 거짓말하면 사기죄? 피고도 소송사기죄로 처벌될 수 있을까?

소송에서 이기기 위해 거짓 증언을 시킨 피고에게 사기죄가 성립하는지, 소송사기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은 무엇인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거짓말을 시켰다고 사기죄가 되는 것이 아니라, 피고가 자신의 채무 존재 여부를 정확히 알고 거짓말을 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소송사기죄#피고#거짓증언#채무인식

형사판례

소송 중 거짓 증거 제출, 소송사기죄 될까?

소송에서 거짓 주장을 하거나 위조된 증거를 제출하는 행위가 소송사기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여러 죄를 저질렀을 때 어떻게 처벌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소송에서 이기기 위해 거짓 증거를 제출하는 행위는 다른 주장이 인정되어 승소하더라도 소송사기죄가 될 수 있고, 처벌할 때는 피고인에게 유리한 최신 법률을 적용해야 합니다.

#소송사기죄#성립요건#거짓증거#경합범

형사판례

소송 걸었다고 무조건 사기죄? 소송사기죄 성립요건 알아보기

소송을 제기할 때, 주장하는 권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허위 주장과 입증으로 법원을 속일 의도가 있어야 소송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사실 인식이나 법률적 판단을 잘못하여 존재하지 않는 권리를 주장했다면 소송사기죄가 아닙니다.

#소송사기죄#성립요건#사기의 범의#허위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