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법위반,주차장법위반

사건번호:

91도2536

선고일자:

1992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과태료의 부과처분이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의 “확정판결”의 범주에 속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에 의하면 확정판결이 있는 때에는 판결로써 면소의 선고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이는 확정판결의 일사부재리의 효력에 기하여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죄사실에 대한 재소를 금지하는 데에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확정판결에는 정식재판에서 선고된 유죄판결과 무죄의 판결 및 면소의 판결뿐만 아니라,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약식 명령이나 즉결심판 등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지만, 행정벌에 지나지 않는 과태료의 부과처분은 위 “확정판결” 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소동기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1.9.18. 선고 91노37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에 의하면 확정판결이 있은 때에는 판결로써 면소의 선고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이는 확정판결의 일사부재리(一事不再理)의 효력에 기하여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죄사실에 대한 재소를 금지하는 데에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확정판결에는 정식재판에서 선고된 유죄판결과 무죄의 판결 및 면소의 판결뿐만 아니라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약식명령이나 즉결심판 등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지만, 행정벌에 지나지 않는 과태료의 부과처분은 위 “확정판결”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피고인이 소론과 같이 이 사건 건물 중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지하층과 옥내주차장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다가 관할관청으로부터 일정한 기간 내에 이를 시정하라는 명령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간내에 시정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과태료의 부과처분을 받고 그 과태료를 납부함으로써 그 처분이 이미 확정된 사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과태료부과처분을 피고인이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지 아니한 채 이 사건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한 것이라는 요지의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한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므로, 이와 상반되는 견해에서 원심판결에 일사부재리의 원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최재호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범칙금 냈는데 왜 또 재판 받아야 하나요? - 일사부재리 원칙과 범칙금, 그리고 상해죄

시비 과정에서 소란을 피우다 상대방에게 상해를 입힌 경우, 소란 행위에 대해 이미 범칙금을 냈다면 상해죄로 다시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소란#상해#범칙금#면소

형사판례

교도소 징벌과 형사처벌, 이중처벌 아닌가요?

교도소에서 규칙을 어겨 징벌을 받았더라도, 같은 행위로 다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징벌과 형사처벌은 목적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징벌#형사처벌#일사부재리#이중처벌

형사판례

술자리 시비, 즉결심판 받았는데 더 큰 죄로 재판 받을 수 있을까?

술에 취해 소란을 피운 사건으로 즉결심판을 받은 피고인이, 같은 사건으로 폭력 혐의로 다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법원은 즉결심판과 폭력 혐의 사건이 사실상 같은 사건이므로, 다시 재판받을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일사부재리 원칙 적용)

#즉결심판#이중처벌#일사부재리#면소

형사판례

교도소 내 규칙 위반, 두 번 처벌받을 수 있을까?

교도소에서 규칙을 어겨 징벌을 받았더라도, 그 행위가 형법상 범죄에 해당하면 따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징벌과 형사처벌은 목적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중처벌이 아니다.

#교도소#규칙위반#징벌#형사처벌

특허판례

특허 무효심판과 일사부재리: 나도 특허 무효심판 청구할 수 있을까?

동일한 특허에 대해 여러 사람이 무효심판을 청구할 때, '일사부재리' 원칙을 적용하는 기준 시점은 **심판청구 시점**이다. 이전에 다른 사람이 청구한 무효심판 결과가 나중에 확정되더라도, 먼저 청구한 사람의 심판은 유효하다.

#특허#무효심판#일사부재리#심판청구시점

형사판례

게임장 불법 환전, 두 번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일사부재리 원칙

불법 게임장 운영으로 이미 처벌받은 피고인 1에게 같은 사건으로 다른 죄명(사행행위등규제법 위반)을 적용하여 다시 처벌하려 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하여 면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일사부재리#면소#불법게임장#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