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

사건번호:

91므153

선고일자:

19911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입양 합의 후 입양신고 대신 한 친생자 출생신고의 입양으로서의 효력유무(적극) 및 이 경우 친생자관계의 부존재확인을 구할 이익유무 나.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75조에 위반한 입양의 당연무효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계부가 재혼한 처의 자를 입양하기로 그 대낙권자인 생모(처)와 합의하여 그 입양신고의 방편으로 친생자로서의 출생신고를 한 경우에는 출생신고에 의하여 입양의 효력이 있게 되고, 그 양친자관계를 해소하여야 하는 등의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친생자관계의 부존재확인을 구할 이익이 없다. 나.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75조에 의하면 호주의 직계비속 장남자는 본가의 가통을 계승하기 위한 경우가 아니면 양자가 될 수 없다는 금지규정을 위반한 입양은 당연무효가 아니고 단지 취소할 수 있음에 그치는 것이다.

참조조문

가. 민법 제138조, 제878조, 가사소송법 제24조, 제28조, 민사소송법 제228조 / 나. 구 민법 (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75조, 제884조 제1호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7.7.26. 선고 77다492 전원합의체판결(공1977,10219), 1988.2.23. 선고 85므86 판결(공1988,593), 1990.7.27. 선고 89므1108 판결(공1990,1791)

판례내용

【청구인, 상고인】 【피청구인,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3.7. 선고 90르291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청구인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의 증거들을 종합하여 청구외 장입분가 38도선 이북에 거주하다가 6.25사변무렵 월남하여 청구외 망 이종호를 만나 결혼하여 살면서 그 사이에서 피청구인들을 출산하였는데 위 이종호가 1957. 사망한 후 역시 월남한 청구외 망 백낙희를 만나 재혼하였는바 위 백낙희는 가호적 취적시에 위 장입분와 이미 1945.2.22. 본적지에서 혼인신고한 부부인 양 가호적을 만들어 놓고 1961.3.16. 위 장입분와 합의하여 그가 데리고 들어온 아이들인 피청구인들을 자신의 친생자인 양 출생신고를 하였고 이후 자기의 자식들과 똑같이 양육하여온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출생신고시에 망 E는 피청구인들을 입양할 의사가 있었다고 보아야 하고 어머니인 C는 그 입양을 승낙하였다고 볼 것이므로 위 출생신고는 입양신고로서의 효력이 있다고 할 것이어서 위 망 E와 피청구인들 사이에 양친자관계가 성립하였고 그 양친자관계가 해소되어야 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친생자로서 출생신고가 됨으로써 형성된 부자관계는 유지되어야 하므로 그 호적기재 자체를 말소하여 법률상 친자관계의 존재를 부정하게 되는 이 사건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청구는 확인의 이익이 없어서 부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설시는 다소 미흡하기는 하나 결국 위 망 백낙희가 피청구인들을 입양하기로 그 대낙권자인 장입분와 합의하여 그 입양신고의 방편으로 친생자로서의 출생신고를 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인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위와 같은 사실을 인정함에 있어 거친 증거의 취사과정은 수긍되고 거기에 소론의 채증법칙 위반 등의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출생신고에 의하여 입양의 효력이 있게 되고 그 양친자관계를 해소하여야 하는 등의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친생자관계의 부존재확인을 구할 이익이 없다 함은 당원의 판례 ( 당원 1988.2.23. 선고 85므86 판결 참조)이고 이 사건 환송판결이 밝힌 법리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옳고 소론의 당원1982.11.9. 선고 82므45 판결은 출생신고시에 입양의 의사가 있었다거나 대낙권자의 입양승낙이 있었다고 볼 자료가 없는 사건에 관한 것이므로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못된다. 한편 이 사건 출생신고 당시의 구 민법(1990.1.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875조에 의하면 호주의 직계비속장남자는 본가의 가통을 계승하기 위한 경우가 아니면 양자가 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었음 은 소론과 같으나 피청구인 B의 생부 소외 망 D가 호주였다고 볼 자료도 없을 뿐만 아니라 설사 그 금지규정을 위반하여 입양을 하였다 하더라도 이 입양은 당연무효가 아니고 단지 취소할 수 있음에 그치는 것이므로( 구 민법 제884조 제1호) 피청구인 B에 대한 입양이 위 규정에 위배되어 무효라는 주장도 이유 없다. 또 원심의 사실 인정과 달리 위 출생신고 당시 입양의 합의가 없었다고 하면서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의 이익이 있다고 주장하는 논지도 받아들일 것이 못된다. 논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청구인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사실은 입양? 그 효력은?

부부의 한쪽이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를 친자로 출생신고 했더라도, 입양의 의사가 있었고 실질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후 친생자 관계 부존재 확인 판결이 확정되면 더 이상 양친자 관계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출생신고#입양#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양친자관계

가사판례

친자관계 확인소송과 입양의 효력에 관하여

친생자관계 부존재확인 소송 중 피고가 사망하면 해당 피고에 대한 소송은 종료되며,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한 경우 실질적인 입양 요건을 갖췄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피고사망#소송종료#입양의사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 또 양부모가 이혼하면 양모자 관계는 어떻게 될까?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고 입양의 실질적 요건을 갖춘 경우, 이는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또한, 양부모가 이혼하더라도 양모자 관계는 자동으로 소멸하지 않습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부모 이혼#양모자 관계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의 효력을 가지는 경우, 친자관계 해소는 어떻게?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한 경우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양부가 사망한 후에는 양모가 망인과 양자 사이의 관계를 해소할 수 없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친자 관계 해소#사망한 양부

가사판례

계부가 친자로 출생신고한 아이, 진짜 가족이 될 수 있을까? - 출생신고와 입양의 효력

이미 사망한 전남편의 자녀를 계부가 친자식으로 출생신고한 경우, 실제로는 입양으로 볼 수 있으며, 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은 부적법합니다.

#계부#친생자 출생신고#입양#친자관계 부존재 확인 소송

가사판례

친생자 출생신고가 입양으로 인정된 사례

남자가 아내와 혼인 중 내연녀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을 자기와 아내의 친자로 출생신고한 경우에도, 실제로 양육하고 부양하는 등 입양의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수 있다.

#친생자 출생신고#입양#양육#부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