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1886

선고일자:

199210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기준시가에 의하여 산정한 양도차익이 실지양도가액을 넘는 경우 실지양도가액을 한도로 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나.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2호에 의한 장기보유특별공제는 납세의무자의 공제주장이 없어도 법률상 당연히 공제되어야 할 것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가. 기준시가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결정함에 있어서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등 필요경비를 공제하여 산정한 양도차익이 실지양도가액을 넘는 경우에는 실질과세의 원칙상 실지양도가액을 그 한도로 하여야 한다. 나.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2호에 의한 장기보유특별공제는 특별히 납세의무자의 공제주장이 없다 하더라도 법률상 당연히 공제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가.나. 소득세법 제23조 / 가. 같은 법 제7조 제2항, 제45조 제1항,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7.12.22. 선고 87누483,484 판결(공1988,359), 1991.5.28. 선고 91누360 판결(공1991,1812), 1991.12.13. 선고 91누3482 판결(공1992,547) / 나. 대법원 1992.2.28. 선고 91누6597 판결(공1992,120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마산세무서장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6.26. 선고 91구348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1.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과 관계법령에 대조하여 살펴본바, 원심이 이 사건 토지의 양도시기를 당해 매매계약서에 기재된 잔금지급약정일인 1989.6.27.로 보고, 그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의 기준시가를 결정함에 있어서 위 양도일이 이 사건 토지의 소재지가 특정지역으로 지정고시된 1989.6.24. 이후라는 이유로 특정지역에 있어서의 기준시가 평가방법을 적용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특정지역에 대한 기준시가의 적용시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소론이 들고 있는 판례는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선례로 삼을 수 없는 것이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을 본다.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이 사건 토지의 취득 및 양도가액을 기준시가에 의하여 결정하여 그 양도차익을 금 37,900,846원으로 산정하고, 여기서 양도소득특별공제와 양도소득공제를 한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세액을 산출하여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양도소득세 등을 부과처분한 것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나. 그러나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4항 및 제45조 제1항의 각 규정에 따라 기준시가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결정함에 있어서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등 필요경비를 공제하여 산정한 양도차익이 실지양도가액을 넘는 경우에는 실질과세의 원칙상 실지양도가액을 그 한도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 당원의 확립된 견해인바(당원 1991.5.28. 선고 91누360 판결; 1987.12.22. 선고 87누483,484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원고는 이 사건 토지의 실지양도가액이 금18,900,000원 또는 17,000,000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터이므로, 원심으로서는 마땅히 그 실지양도가액을 심리확정하고 기준시가에 의한 양도차익이 위 실지양도가액을 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았어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이르지 아니하였음은 소득세법상의 양도차익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을 저질렀다고 아니할 수 없다. 이 점 논지는 이유 있다. 다. 또한 소득세법 제23조 제2항 제2호에 의하면, 자산의 취득일로부터 양도일까지의 보유기간에 따라 5년 이상 10년 미만인 경우에는 양도차익의 100분의 10, 10년 이상인 경우에는 양도차익의 100분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장기보유특별공제액으로서 양도차익에서 공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위 장기보유특별공제는 특별히 납세의무자의 공제주장이 없다 하더라도 법률상 당연히 공제되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당원 1992.2.28. 선고 91누6597 판결 참조). 이 사건의 경우, 피고는 위와 같이 이 사건 양도소득세 과세표준을 계산함에 있어 양도소득특별공제액과 양도소득공제액만을 공제하고 위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은 이를 공제함이 없이 과세표준을 산정하여 이 사건 부과처분을 하였으나,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토지를 그 취득일로부터 적어도 5년 이상 보유하다가 양도하였음이 명백하므로, 원심으로서는 원고의 주장을 기다릴 필요 없이 위와 같이 확정한 보유기간에 따라 위 법 소정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하여 정당한 세액을 산출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를 간과한 채 이 사건 부과처분이 적법하다고 하여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으니 이는 소득세법상의 장기보유특별공제 및 행정소송의 직권심리사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도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제 판매가보다 큰 경우, 세금은 어떻게 될까요?

땅을 팔 때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판매이익)이 실제 판매가보다 크면, 실제 판매가를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한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실제판매가#실질과세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기준시가와 실거래가 사이에서 꼭 알아야 할 것들

타인의 빚 보증을 위해 제공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보증인은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세금 계산 방식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제 판매가보다 높을 경우, 실제 판매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지만, 양도소득 공제와 특별공제는 여전히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물상보증인#부동산경매#양도소득세#기준시가

세무판례

기준시가와 실제 양도가액, 그리고 양도소득세 계산

땅을 팔았는데, 세금 계산 기준인 기준시가가 실제 판매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도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때 특별공제 계산은 기준시가를 기반으로 한다는 판례입니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양도차익#양도소득특별공제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실제 거래가보다 많이 낼 수는 없다!

부동산을 팔 때 실제 거래가격이 확인된다면, 세금 계산을 위해 기준시가를 사용하더라도 실제 거래가격으로 계산한 양도소득세보다 더 많은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실거래가#위법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를 우선 적용해야 할까?

부동산을 두 번 거래했을 때, 한 번은 기업과, 다른 한 번은 개인과 거래했다면, 개인과의 거래 가격이 확인되면 기업과의 거래 가격도 실제 거래가격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부동산#양도차익#실지거래가액#기준시가

세무판례

양도소득세, 실제보다 더 많이 낼 수 있을까?

국세청이 기준시가를 이용해 계산한 양도소득세가 실제 거래가격으로 계산한 양도차익보다 클 수 없으며, 만약 크다면 납세자가 실제로는 이익이 적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여러 자산을 동시에 양도했을 경우, 모든 자산의 실제 거래가격을 알아야만 정확한 양도차익을 계산할 수 있고, 만약 일부 자산의 실제 거래가격을 알 수 없다면 기준시가 계산에 대한 오류 주장이 어려워집니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실거래가#양도차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