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해고구제재심판정취소

사건번호:

92누15765

선고일자:

1993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성별 작업구분이나 근로조건의 구분을 명확히 하지 아니한 채 남녀를 차별하여 정년을 규정한 단체협약서 및 취업규칙의 조항이 근로기준법 제5조와 남녀고용평등법 제8조 제1항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본 사례

판결요지

성별 작업구분이나 근로조건의 구분을 명확히 하지 아니한 채 남녀를 차별하여 정년을 규정한 단체협약서 및 취업규칙의 조항이 근로기준법 제5조와 남녀고용평등법 제8조 제1항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본 사례.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5조, 남녀고용평등법 제8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9.17. 선고 91구1943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경영하는 ○○산업사의 단체협약서 제21조는 “조합원의 정년은 남자 55세, 여자 53세로 하되 일반직 부서에 해당되는 조합원은 제외된다. 일반직 부서는 3검, 최종검사, 기계부서를 제외한 부서를 말한다”라고 정하고 있고, 취업규칙 제12조 제1항은 “종업원의정년퇴직 연령은 남자 만 55세, 여자 만 53세가 되는 다음날로 한다”고 정하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위 각 규정의 해석상 위 우림산업사는 그 소속 근로자의 정년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남녀를 달리 취급하여 남자는 55세, 여자는 53세로 하되, 3차 검사부, 최종검사부, 기계부를 제외한 7개 일반부서의 근로자의 경우에는 그 적용을 배제하여 남녀 모두 55세로 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위 3개 부서에 관하여 성별 작업구분이나 근로조건의 구분을 명확히 하지 아니한 채 남녀를 차별하여 정년을 규정한 것은 합리적인 이유 없이 남녀의 차별적 대우를 하지 못하도록 한 근로기준법 제5조와 근로자의 정년에 관하여 여성인 것을 이유로 남성과 차별해서는 아니 된다고 한 남녀고용평등법 제8조 등 강행법규에 위배되어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기록과 관계증거에 의하면, 위 업체의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이 위 3개 부서에 관한 위 인정과 같이 남녀를 차별하여 정년을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본 원심의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이유모순이나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위 단체협약서나 취업규칙의 규정에 불구하고 위 업체의 실제 정년은 남녀의 구별없이 일반부서는 55세, 위 3개 부서는 53세라는 취지이나, 이는 처분문서인 위 단체협약서 및 취업규칙의 증명력에 비추어 받아들일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주심)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교환직 정년, 남녀차별일까? - 53세 정년퇴직, 그 합리적인 이유

한국전기통신공사(KT)가 전화교환원의 정년을 다른 일반직 직원보다 5년 낮게 정한 것에 대해, 대법원은 사회 통념상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고 판단하여 KT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KT#전화교환원#정년차별#대법원

일반행정판례

회사 정년 변경, 누구 동의 받아야 할까요?

회사에서 정년을 변경할 때, 변경으로 불이익을 받는 직원뿐만 아니라 장래에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직원들까지 포함하여 과반수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정년 변경#취업규칙#과반수 동의#불이익

민사판례

법원이 정정한 생년월일, 회사도 인정해야 할까요? 정년 계산 기준은 무엇일까요?

회사 규정이 입사 당시 서류상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을 계산하도록 정했다 하더라도, 법원에서 생년월일 정정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정정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정년을 다시 계산해야 합니다. 회사 규정이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면 그 규정은 무효입니다.

#정년#생년월일 정정#실제 생년월일#회사 규정 무효

일반행정판례

국가정보원 여성 계약직 직원의 정년 차별, 대법원 판결 파기 환송!

국가정보원의 여성 계약직 직원에게 적용된 낮은 근무상한연령은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으로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국가정보원#여성#계약직#근무상한연령

생활법률

우리 회사 정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정년제도 완벽 정리!)

법적으로 정년은 최소 60세 이상 보장되며, 정년 연장 시 임금체계 개편 등 필요 조치를 해야 하고, 300인 이상 사업장은 정년 제도 운영현황을 매년 제출해야 하며, 정년퇴직자 재고용 노력 및 재취업지원서비스 제공 의무(1000인 이상 사업장은 의무적)가 있으며 정부 지원도 가능하다.

#정년#60세#정년 연장#임금체계 개편

민사판례

회사가 정년을 바꿀 수 있을까? 노동조합 동의와 당연퇴직에 대한 이야기

회사가 정년퇴직 연령을 단축하는 취업규칙 변경에 대해 근로자 과반수로 구성된 노동조합의 동의를 얻었다면, 노조 미가입자에게도 효력이 있으며, 근로자는 정년 연장을 요구할 권리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정년퇴직#연령단축#노동조합 동의#취업규칙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