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철거대집행계고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6690

선고일자:

199309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건물철거대집행계고처분의 요건 및 그 주장입증책임

판결요지

건축법에 위반하여 건축한 것이어서 철거의무가 있는 건물이라 하더라도 그 철거의무를 대집행하기 위한 계고처분을 하려면 다른 방법으로는 이행의 확보가 어렵고 불이행을 방치함이 심히 공익을 해하는 것으로 인정될 때에 한하여 허용되고 이러한 요건의 주장입증책임은 처분 행정청에 있다.

참조조문

행정대집행법 제2조, 제3조, 민사소송법 제12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2.5.11. 선고 81누232 판결(공1982,576), 1983.7.12. 선고 83누150 판결(공1983,1289), 1989.7.11. 선고 88누11193 판결(공1989,125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의정부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백호 【환송판결】 대법원 1992.3.13. 선고 91누537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취사한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원심판결의 제2목록기재 건물에 대하여 원고가 본체 주위에 새로 높이 2.3m의 블럭담장을 쌓고 이 담장과 본체 및 그 부속건물의 외벽 사이에 슬레이드 지붕을 얹고 새로 쌓은 담장과 외벽 사이에 출입문을 달아 헛간과 창고로 사용하였다는 원심의 사실인정도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사실관계가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관할관청의 허가 없이 이를 설치할 수 없다는 원심의 판단도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 없다. 제2점에 대하여 건축법에 위반하여 건축한 것이어서 철거할 의무가 있는 건물이라 하더라도, 그 철거의무를 대집행하기 위한 계고처분을 하려면 다른 방법으로는 그 이행의 확보가 어렵고, 그 불이행을 방치함이 심히 공익을 해하는 것으로 인정될 때에 한하여 허용되고 이러한 요건의 주장과 입증책임은 처분 행정청에 있다고 할 것임은 소론과 같다고 할 것이나(당원 1983.7.12. 선고 83누150 판결; 1989.7.11. 선고 88누11193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허가 없이 증축한 건축물의 면적과 그 사용용도, 위치, 규모 등을 감안하고, 무허가로 축조된 불법건축물을 소론과 같은 사정만으로 그대로 방치한다면 불법건축물을 단속하는 당국의 권능을 무력화하여 건축행정의 원할한 수행을 위태롭게 하고 건축허가와 준공검사시에 적용될 여러 제한규정을 회피하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게 된다는 사정과,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도시주변의 건전한 생활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취지에 비추어 볼때, 개발제한구역내의 이 사건 불법건축물의 철거 불이행을 방치함은 심히 공익을 해한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사건 계고처분은 행정대집행법이 정한 요건을 구비한 것으로서 적법하다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옳고 거기에 행정대집행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소론의 판례는 이 사건에서 적절한 것이 아니다. 논지도 이유 없다. 제3점에 대하여 이 사건과 같이 불법건축물에 대한 계고처분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에서 허가 없이 건축물을 축조한 사실을 관할행정청이 묵인 내지 용인하였다는 점에 대한 입증책임은 이를 주장하는 원고에게 있는 것이고, 소론과 같이 행정청인 피고가 이를 묵인 내지 용인한 바 없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반대의 입장에서 원심판결에 신뢰보호의 원칙, 신의성실의 원칙 및 그에 따른 입증책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주장하는 논지도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종영(재판장) 최재호 배만운(주심)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건물 철거 대집행, 알아둬야 할 핵심 포인트!

무허가 건물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처분의 요건과 적법성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집행 대상의 명확성, 공장 등록 및 재산세 납부의 효력, 대집행의 필요성, 그리고 재량권 일탈 여부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대집행#계고처분#적법성#무허가건물

일반행정판례

건축물 철거, 무조건 해야 할까요? - 대집행 계고처분의 위법성

건축법을 위반한 건물이라도 철거 명령을 내리려면 위반 내용이 명확해야 하고, 그 위반이 공익을 크게 해칠 때만 가능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건물의 일부가 이웃 땅을 침범했지만, 그 면적이 정확하지 않아 철거 범위를 특정하기 어려웠고, 위반 정도가 경미하여 공익을 크게 해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철거 명령이 위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건축법 위반#철거 명령#적법성#공익

일반행정판례

공유재산 불법점유, 철거 위한 대집행 요건?

국가나 지자체 소유의 땅(공유재산)을 허락 없이 사용하고 그 위에 건물 등을 지었을 경우, 철거를 위한 행정대집행에는 일반적인 대집행 요건이 필요 없다는 판결.

#공유재산#불법점유#철거#행정대집행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철거, 언제 대집행할 수 있을까요?

허가 없이 소하천에 교량을 설치한 경우, 행정청은 교량 철거를 위한 대집행 계고 처분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불이행 시 심히 공익을 해치는지'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본 판례는 교량의 불법성과 소하천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대집행 계고가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불법 교량#철거 대집행#공익 침해#대집행 요건

형사판례

강제철거 전에 꼭 알아야 할 대집행의 조건! 내 건물, 함부로 철거당해도 될까요?

국가 사업으로 토지를 수용할 때, 건물주가 이전 기한까지 건물을 비워주지 않으면 국가가 강제로 철거할 수 있는 '대집행'이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 판례는 대집행의 요건을 명확히 하고, 건물주에게 건물 철거 의무가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대집행 요건을 갖추지 않고 건물을 철거하고 건물주를 폭행한 담당 공무원들에게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토지수용#대집행#요건#지장물

일반행정판례

건물 철거, 어디까지 해야 하나요? - 대집행 범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건축법 위반 건축물에 대한 철거 명령과 대집행 계고 시, 철거해야 할 부분이 명확하게 특정되어야 하지만, 그 특정은 반드시 문서로만 할 필요는 없고, 건물의 위치, 구조, 크기, 허가 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상자가 철거 범위를 알 수 있으면 충분하다는 판례입니다.

#건축법 위반#철거 명령#대집행#특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