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7716

선고일자:

199305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공익사업 출연재산에 대한 과세가액 산입 여부를 규정한 구 상속세법(1990.12.31. 법률 제42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의2 제4항의 규정취지 나. 같은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의2 제7항 제2호가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구 상속세법(1990.12.31. 법률 제42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의2제4항은 공익사업을 앞세우고 변칙적인 재산출연행위를 하여 탈세나 부의 증식수단으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익사업에 출연된 재산에 대하여는 당해 재산을 출연받은 자가 출연목적에 사용할 것을 조건으로 상속세 과세가액에 정책적으로 산입하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나. 같은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의2 제7항 제2호는 위 "가"항 법규정의 위임을 받아 출연재산을 수익사업용 또는 수익용으로 사용한 경우에 당해 출연재산 운용소득 중 어느 정도를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를 출연목적에 사용하지 아니한 때라고 할 것인가 하는 과세대상의 구체적인 범위를 정한 것으로서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상속세법 제8조의2 제4항1990.12.31. 법률 제42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같은법시행령 제3조의2 제7항 제2호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7.2.24. 선고 85누355 판결(공1987,549) / 가. 1992.2.14. 선고 91누9046 판결(공1992,106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재단법인 어진장학회 소송대리인 청조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김종성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수원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10.20. 선고 91구91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구 상속세법(1990.12.31. 법률 제42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의2 제4항은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상속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재산을 출연받은 자가 그 출연받은 재산을 출연목적 이외에 사용하거나 그 출연목적에 사용하지 아니한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당해 재산을 그 출연받은 자에게 증여한 것으로 보고 즉시 증여세를 부과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는 공익사업을 앞세우고 변칙적인 재산출연행위를 하여 탈세나 부의 증식수단으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공익사업에 출연된 재산에 대하여는 당해 재산을 출연받은 자가 그 출연목적에 사용할 것을 조건으로 상속세 과세가액에 정책적으로 산입하지 아니한다는 것이고, 구 상속세법시행령(1990.12.31. 대통령령 제1319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의 2 제7항 제2호는 위 법 규정의 위임을 받아 출연재산을 수익사업용 또는 수익용으로 사용한 경우에 당해 출연재산운용소득 중 어느 정도를 직접 공익목적사업에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 이를 출연목적에 사용하지 아니한 때라고 할 것인가 하는 과세대상의 구체적인 범위를 정한 것으로서 위 규정이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이와 견해를 달리하여 위 상속세법시행령 제3조의 2 제7항 제2호의 규정이 무효라는 논지는 채용할 수 없다. 이상의 이유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주심) 김상원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

공익사업에 상속인이 출연한 재산은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제외되지 않으며, 상속재산의 시가 평가는 소급감정가격도 인정되지만 상속개시 이후 매매가격을 시가로 보기 위해서는 가격변동이 없었음을 과세관청이 입증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법원은 세무서가 주장하지 않은 내용을 직권으로 판단하여 세금을 더 부과할 수 없습니다.

#상속세#과세가액#공익사업 출연재산#상속재산 평가

세무판례

공익법인 출연재산에 대한 증여세, 어떻게 계산할까요?

공익법인이 출연받은 재산을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증여세를 부과하는데, 이때 출연재산 평가는 대차대조표상 총자산에서 부채와 당기순이익을 뺀 금액으로 계산해야 한다. 단, 이연자산과 해당 사업연도에 출연받은 자산은 제외한다.

#공익법인#출연재산#증여세#평가

세무판례

상속재산 공익법인 출연과 상속세 면제: 조건과 함정

상속받은 재산을 공익법인에 출연하여 상속세를 면제받으려면, 상속인이 그 법인의 운영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입니다. 공동상속인 중 한 명이라도 운영에 관여하면 출연재산 전체가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상속세#공익법인#출연재산#운영관여

세무판례

공익법인 출연재산과 증여세,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공익법인이 기부받은 재산을 정해진 기한 내에 사용하지 못했더라도, 주무 부처 장관이 사용기한 연장을 승인했다면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 기한 연장 승인 신청이 기존 기한 만료 후에 이루어졌더라도, 승인 자체가 소급 적용된다면 문제없음.

#공익법인#출연재산#사용기한 연장#증여세

세무판례

상속세 절세 팁: 공익사업 출연 재산, 상속세 안 내도 될 수 있다?!

고인이 생전에 교회에 기부하기로 약속하고 사망한 후, 상속인들이 그 약속을 이행하여 기부금을 지급한 경우, 해당 기부금은 상속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상속세#기부약정#이행#공익사업

세무판례

유치원 운영과 증여세 면제: 공익법인에 재산 출연 후 위탁 운영 사례

설립자가 공익법인에 재산을 출연하여 유치원을 운영하는 경우, 출연된 재산이 유치원 운영에 사용되었다면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공익법인#유치원#증여세#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