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

사건번호:

92도2079

선고일자:

1992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형법 제355조 제1항 소정의 ‘반환의 거부’의 의미와 판단기준

판결요지

형법 제355조 제1항에서 정하는 ‘반환의 거부’라고 함은 보관물에 대하여 소유자의 권리를 배제하는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를 뜻하므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단순히 반환을 거부한 사실만으로는 횡령죄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며, 반환거부의 이유 및 주관적인 의사 등을 종합하여 반환거부행위가 횡령행위와 같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이어야만 횡령죄가 성립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55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6.10.28. 선고 86도1516 판결(공1986,3153), 1988.8.23. 선고 88도1213 판결(공1988,1245), 1989.3.14. 선고 88도2437 판결(공1989,64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수원지방법원 1992.7.10. 선고 92노13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형법 제355조 제1항에서 정하는 “반환의 거부”라고 함은 보관물에 대하여 소유자의 권리를 배제하는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를 뜻하므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단순히 반환을 거부한 사실만으로는 횡령죄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환거부의 이유 및 주관적인 의사 등을 종합하여 반환거부행위가 횡령행위와 같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이어야만 횡령죄가 성립한다고 할 것이다 ( 당원 1989.3.14. 선고 88도2437 판결 참조). 원심이 확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피고인이 반환을 거부한 이 사건 물건들은 피해자가 피고인으로부터 피고인 소유의 점포 1개를 임차하여 그곳에서 식품대리점을 운영하다가 경영난으로 임차기간이 만료하기 훨씬 전에 위 점포를 제3자에게 세를 놓아 달라고 부탁하고 위 점포를 비우면서 그 곳에 두고 나온 것들을 피고인이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서, 피고인은 피해자가 그때까지 연체한 2개월분의 월세를 지급받기 전까지는 피해자에게 위 점포에 보관중인 이 사건 물건들을 반환할 수 없다고 거부하였다는 것이니, 피고인의 위와 같은 위 물건에 대한 반환거부의 이유 및 그 주관적인 의사 등을 종합하여 볼 때 피고인이 불법영득의 의사를 가지고 그 물건의 반환을 거부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범죄사실에 대한 증명이 없음을 이유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조치는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은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빌려준 아파트, 돌려달라고 했는데 안 돌려줘요! 이거 횡령죄 아닌가요?

남의 물건을 맡아 보관하다가 돌려주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횡령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돌려주지 않는 진짜 이유가 횡령 의도였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횡령죄#반환거부#불성립#횡령의도

형사판례

공동명의 예금과 횡령죄: 돈 돌려달라는데 안 주면 무조건 횡령일까?

특정 목적을 위해 공동명의로 예금된 돈을 마음대로 쓸 수 없는 공동명의자가 다른 채권 확보를 위해 초과 입금된 돈의 반환을 거부한 경우, 횡령죄가 성립하는가? (이 사건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

#공동명의#예금계좌#횡령죄#불법영득의사

형사판례

착오 송금과 횡령죄, 그리고 상계권

착오 송금된 돈을 받은 사람이 돌려주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횡령죄가 되는 것은 아니며, 돌려주지 않는 행위가 횡령과 같다고 볼 정도가 되어야 하고, 돌려주지 않는 데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횡령죄가 아닙니다. 또한 단순히 착오 송금되었다고 해서 송금인이 수취인에게 돈을 돌려받는 것 외 다른 사무처리까지 위임한 것은 아닙니다.

#착오송금#횡령죄#불성립#악의적 의도

형사판례

남의 돈 받아서 안 돌려줬다고 무조건 횡령죄?

다른 사람의 부탁을 받아 돈을 받았더라도, 그 돈이 원래 부탁한 사람의 소유가 아니라면, 그 돈을 돌려주지 않더라도 횡령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횡령죄#위임#타인의 재물#공탁금

형사판례

내 땅인데 왜 돌려주지 않지? 부동산 명의신탁과 횡령죄

타인의 명의로 등기된 부동산을 보관하는 사람이 진정한 소유자가 누구인지 불분명한 상황에서 명의이전을 거부한 경우, 횡령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한 반환 거부만으로는 횡령죄가 성립하지 않고, 불법으로 재물을 자기 소유처럼 사용하려는 의사(불법영득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명의신탁#부동산#횡령죄#불법영득의사

형사판례

맡겨둔 물건, 어디 갔지? 돌려주지 않으면 횡령죄?!

다른 사람의 물건을 맡아서 보관하다가 잃어버렸는데, 어떻게 잃어버렸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면 횡령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맡은 물건을 돌려달라는 요청에도 돌려주지 않고 핑계만 대는 것도 횡령에 해당한다.

#횡령죄#물건보관#반환거부#불법영득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