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과실치상

사건번호:

92도3283

선고일자:

1994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마취환자의 마취회복업무를 담당한 의사의 주의의무 나. 간호사가 감시업무를 인계받지 않은 회복실 내의 모든 환자에 대하여 주시, 점검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마취환자의 마취회복업무를 담당한 의사로서는 마취환자가 수술 도중특별한 이상이 있었는지를 확인하여 특별한 이상이 있었던 경우에는 보통 환자보다 더욱 감시를 철저히 하고, 또한 마취환자가 의식이 회복되기 전에는 호흡이 정지될 가능성이 적지 않으므로 피해자의 의식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주위에서 관찰하거나 적어도 환자를 떠날 때는 피해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를 특정하여 그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를 계속 주시하도록 하여 만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의무가 있다. 나. 피해자를 감시하도록 업무를 인계받지 않은 간호사가 자기 환자의 회복처치에 전념하고 있었다면 회복실에 다른 간호사가 남아있지 않은 경우에도 다른 환자의 이상증세가 인식될 수 있는 상황에서라야 이에 대한 조치를 할 의무가 있다고 보일 뿐 회복실 내의 모든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 계속적으로 주시, 점검을 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26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심훈종 외 3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11.18. 선고 92노694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증거에 의하여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피해자는 1990. 8. 27. 판시 병원의 수술실에서 마취된 상태에서 판시와 같은 수술을 받고 그 날 10:25경 피고인 1에게서 마취회복을 위한 처치를 받고 회복실로 이송되었는데 10:55경 마취담당의사인 공소외 1에 의하여 호흡중단의 생리장애가 발견되어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그 해 10. 22. 무산소성 또는 저산소증으로 인한 뇌손상으로 사망하였다는 것이다. 2. 피고인 1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윈심판결이유를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볼 때 원심이 그 채용증거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마취환자의 마취회복업무를 담당하던 피고인 장진호로서는 마취환자가 수술 도중 특별한 이상이 있었는지를 확인하여 특별한 이상이 있었던 경우에는 보통 환자보다 더욱 감시를 철저히 하고 또한 마취환자가 의식이 회복되기 전에는 호흡이 정지될 가능성이 적지 않으므로 피해자의 의식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주위에서 관찰하거나 적어도 환자를 떠날 때는 피해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를 특정하여 그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를 계속 주시하도록 하여 만일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의무가 있다 고 할 것이라고 전제하고서, 위 피고인이 피해자가 어떤 이상증세가 일어났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여 회복처치에 참고하지도 않았으며 피해자에게 자발호흡이 있는 것만 확인하고는 의식이 회복되었는지 분명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특정 간호사에게 확실한 인계조치나 구체적인 지시도 하지 않은 채 환자를 떠난 점을 마취의사로서의 업무상 주의의무를 해태한 것으로 판단한 것이나, 피고인이 위와 같은 주의의무를 다하였다면 다른 간호사가 함부로 심전도기를 탈착하지 못하였을 것이니 다른 간호사가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부착한 심전도기를 탈착하였다고 하여 피고인의 주의의무 해태와 피해자간의 사망간에 인과관계가 중단되었다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모두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주의의무나 인과관계에 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이, 피고인 2는 원래 회복실을 담당하던 간호사도 아니고 피해자를 감시하도록 업무를 인계받지도 않았으므로 피해자를 감시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고 또한 위 피고인은 자기 환자의 회복처치에 전념하고 있던 중으로서 피해자의 호흡이 중단된 것을 알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으므로 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 어떤 주의의무를 해태하였다고 할 수 없으며, 회복실에 다른 간호사가 남아있지 않은 이 사건과 같은 경우에도 자기의 고유업무에 전념하고 있었다면 다른 환자의 이상증세가 인식될 수 있는 상황에서라야 이에 대한 조치를 할 의무가있다고 보일 뿐 회복실 내의 모든 환자에 대하여 적극적,계속적으로 주시, 점검을 할 의무는 있다고 할 수 없다고 하여 위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은 범죄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라고 인정 판단한 것은 그 채용증거들을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볼 때 수긍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과실범의 공동정범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을 수도 없다. 논지도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배만운 김주한(주심)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마취 중 사망, 의사의 책임은 어디까지?

환자가 수술 전 마취 도중 사망한 사건에서, 집도의와 마취의가 응급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아 사망에 이르게 한 과실이 인정되어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마취사고#손해배상#의사책임#응급조치

형사판례

마취 의사의 수술실 이탈, 과실은 인정되지만… 사망과의 인과관계는?

마취 의사가 수술실을 비운 사이 환자가 사망한 사건에서, 의사의 과실과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증명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업무상과실치사죄를 인정하지 않은 판례. 의사의 과실은 인정되지만, 그 과실이 환자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판단.

#마취의사#환자사망#업무상과실치사#인과관계

형사판례

치과 수면마취 중 발생한 사고, 의사의 책임은 어디까지?

어린이 환자의 치과 수면마취 중 사망 사건에서 의사의 약물 투여, 응급처치, 설명의무 관련 과실을 모두 인정하지 않고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대법원이 확정했습니다.

#치과#수면마취#사망#의사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의료사고로 사망, 누구 책임일까?

교통사고로 다쳐 병원 치료 중 의료사고로 사망한 경우, 교통사고 가해자와 병원 모두에게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

#교통사고#의료사고#공동불법행위#손해배상

민사판례

전신마취 중 의료사고, 병원의 책임은 어디까지?

발목 수술을 위해 전신마취를 받던 환자가 기관지 경련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법원은 마취 전 의사의 환자 상태 확인 의무와 기관지 경련 예방 조치에 대한 심리가 미흡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전신마취#사망#의료과실#주의의무

형사판례

간호사의 투약 실수, 과실치상죄로 처벌될 수 있을까?

수술 후 회복 중인 환자에게 수술실에서 쓰는 근이완제를 처방하는 의사의 실수가 있었고, 간호사는 그 약의 위험성을 확인하지 않고 투약하여 환자가 의식불명에 빠졌습니다. 대법원은 간호사에게도 투약 전 약품의 효능과 부작용을 확인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여 업무상과실치상죄를 인정했습니다.

#간호사#투약#약품확인의무#업무상과실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