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위반

사건번호:

92도569

선고일자:

1992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편집물이 편집저작물로서 보호받기 위한 요건 나. 논문 저작자가 자신의 논문 1편만을 게재하여 만든 이른바 별쇄본 형식의 논문집 표지에 다른 저작자를 표시하여 공표한 행위가 저작권법 제99조 제1호 소정의 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편집물이 편집저작물로서 보호를 받으려면 일정한 방침 혹은 목적을 가지고 소재를 수집, 분류, 선택하고 배열하여 편집물을 작성하는 행위에 창작성이 있어야 한다. 나. 피고인이 낸 논문집은 피고인 자신의 1편의 논문만이 단순하게 게재된 이른바 별쇄본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표지에 “A”라는 표시와 “B대학교 부설 C연구소”라는 표시가 있어 마치 B대학교 부설 C연구소가 언론에 관한 학술논문을 선별, 게재하여 부정기적으로 발행하여 온 학술논문집에 피고인의 논문이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선별되어 게재된 것으로 보이는 외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고인이 편집한 위 논문집은 소재의 선택에 있어 창작성이 있어 편집저작물이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그 표지에 피고인이 아닌 B대학교 부설 C연구소라고 표시하여 공표한 행위는 저작권법 제99조 제1호 소정의 죄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가.나. 저작권법 제6조 제1항 / 나. 같은 법 제99조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2.11. 선고 91노438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보충상고이유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 본다). (1) 이 사건 공소와 원심판결은 그 문언상 이 사건 논문집에 실린 피고인 자신의 “F”라는 제목의 1편의 논문 자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이 사건 논문집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 사건 논문집이 위 논문과는 별도의 편집저작물이라고 하는 전제하에서 이 사건 논문집의 저작자는 피고인임에도 불구하고 저작자표시를 B대학교 부설 C연구소로 하였으니 저작권법 제99조 제1호 위반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 사건 공소와 원심판결이 피고인의 위 논문 자체에 저작자표시를 피고인이 아닌 B대학교 부설 C연구소로 한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라고 오해하여 펼치고 있는 상고논지는 이유 없다. (2) 편집물이 편집저작물로서 보호를 받으려면 일정한 방침 혹은 목적을 가지고 소재를 수집, 분류, 선택하고 배열하여 편집물을 작성하는 행위에 창작성이 있어야 함은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이 낸 이 사건 논문집은 피고인 자신의 위 1편의 논문만이 단순하게 게재된 이른바 별쇄본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그 표지에 “동서언로부정기간행집”라는 표시와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라는 표시가 있어 마치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언론에 관한 학술논문을 선별, 게재하여 부정기적으로 발행하여 온 학술논문집에 피고인의 논문이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선별되어 게재된 것으로 보이는 외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고인이 편집한 이 사건 논문집은 소재의 선택에 있어 창작성이 있어 편집저작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사건 논문집의 표지에 피고인이 아닌 한국외국어대학교 부설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라고 표시하여 공표한 행위는 저작권법 제99조 제1호 소정의 죄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 넣으면 안 되는 이유, 법적으로 알아보기

다른 사람의 저작물에 자기 이름을 올리거나, 자기 저작물에 다른 사람 이름을 올리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습니다. 심지어 실제 저작자와 이름을 빌려준 사람이 서로 동의했더라도, 사회 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처벌받습니다. 또한, 이미 공개된 저작물이더라도 저작자를 허위로 표시하면 처벌 대상입니다.

#저작권법 위반#저작자 허위 표시#처벌#동의 무관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을 올리면 안 되는 이유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작물에 자신의 이름이나 가명을 저작자로 표시해서 공개하면, 그 저작물이 이미 공개되었더라도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저작권법 위반#저작자 허위표시#공표#저작인격권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 붙이면 저작권 침해? 당연하죠!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작물에 자기 이름이나 가명을 저작자로 표시해서 공개하면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실제 저작자가 동의했더라도, 이미 공개된 저작물이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저작자가 이런 행위에 가담하면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위반#허위 저작자 표시#공범 처벌#저작인격권

민사판례

내 논문, 내가 쓴 글도 표절이 될까? 자기표절과 연구윤리 이야기

이 판례는 국책연구기관 연구원의 박사학위 논문 표절이 해고 사유가 되는지, 그리고 그 해고가 정당한지 여부를 다룹니다. 법원은 논문에 타인의 저작물이나 자신의 석사학위 논문을 출처표시 없이 인용한 것은 표절 또는 자기표절로 해고 사유에 해당하며, 해당 연구원을 해고한 것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박사학위 논문#표절#자기표절#해고

형사판례

학원 홍보책자, 다른 학원 교재 일부 인용해도 되나요? 저작권 침해 논란 정리!

타인의 저작물을 인용할 때 저작자의 실명이나 이명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저작물의 이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방법으로 출처를 밝히면 된다는 판결.

#출처명시#저작권법#학원홍보#무죄

형사판례

책을 썼다고 사칭해도 되나요? 저작권법 위반과 '발행'의 의미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으려면 저작물을 '공표'해야 하는데, '공표'의 한 유형인 '발행'은 단순히 복제만 한 게 아니라 복제하고 배포까지 해야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저작권법#발행#복제#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