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거래법위반

사건번호:

92도691

선고일자:

1992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증권회사가 구 증권거래법(1991.12.31. 법률 제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제107조 제1항에 위반하여 일임매매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서면에 의한 약정체결 여부와는 관계없이 같은 법 제208조 제3호에 의하여 처벌대상이 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한국증권거래소의 회원인 증권회사가 일임매매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 증권거래법(1991.12.31. 법률 제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0조의 규정에 의하여 증권거래소가 정하는 수탁계약준칙에 따라 사전에 고객과의 사이에 소정의 서식에 따른 약정을 체결하고 일임매매관리자를 지정하여 하여야하는 것이나, 그와 같은 서면을 작성하지 아니한 경우라고 하여 일임매매계약이 없었다거나 당연무효라고 할 수는 없으므로 증권회사가 같은 법 제107조제1항에 위반하여 일임매매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서면에 의한 약정체결 여부와는 관계없이 같은 법 제208조 제3호에 의하여 처벌대상이 되는 것이고, 만일 서면에 의한 일임매매의 약정을 하지 아니하고 매매거래를 한 것이 그 제2항에 위반되는 경우라면 별도로 같은 법 제107조 제2항에 의하여 과태료의 부과대상이 된다.

참조조문

구 증권거래법(1991.123.1. 법률 제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7조, 제110조, 제208조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2.18. 선고 91노711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피고인의 이 사건 범행 당시 시행하던 개정 전의 증권거래법(1991. 12. 31. 법률 제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7조 제1항에 의하면 한국증권거래소의 회원은 고객으로부터 유가증권의 매매거래에 관한 위탁을 받은 경우 일정한 범위 안에서 일임매매거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그 제2항은 그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유가증권의 매매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110조의 규정에 의한 수탁계약준칙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위 제107조 제1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는 같은 법 제208조 제3호에 의하여 처벌하고, 그 제2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에 대하여는 과태료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증권거래소의 회원인 증권회사가 일임매매거래를 하고자 하는경우에는 같은법 제110조의 규정에 의하여 증권거래소가 정하는 수탁계약준칙에 따라 사전에 고객과의 사이에 소정의 서식에 따른 약정을 체결하고 일임매매관리자를 지정하여 하여야 하는 것이나, 그와 같은 서면을 작성하지 아니한 경우라고 하여 일임매매계약이 없었다거나 당연무효라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증권회사가 같은 법 제107조 제1항에 위반하여 일임매매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서면에 의한 약정체결 여부와는 관계없이 같은 법 제208조 제3호에 의하여 처벌대상이 되는 것이고, 만일 서면에 의한 일임매매의 약정을 하지 아니하고 매매거래를 한 것이 그 제2항에 위반되는 경우라면 별도로 같은 법 제107조 제2항에 의하여 과태료의 부과대상이 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신흥증권주식회사의 직원으로서 판시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법 제107조 제1항에 위배되는 일임매매거래를 한 것이라는 원심의 사실인정을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고, 사실이 그와 같다면 피고인이 한 일임매매거래가 증권거래소의 수탁계약준칙이 정한 서식에 의한 약정을 체결하고서 한 정식의 일임매매가 아니라고 하여 처벌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이회창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임의 매매, 처벌될까?

고객의 위탁이나 일임 없이 증권회사 직원이 임의로 고객 계좌에서 주식을 사고팔았더라도, 고객과 증권회사 간에 매매 위탁이나 일임 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면 증권거래법 위반(제107조 제1항 위반)이 아니다.

#증권거래법#위탁#일임#임의매매

형사판례

내 돈 맡겼는데 마음대로 주식 거래하면 불법일까? (일임매매)

증권회사나 투자자가 고객의 동의 없이 주식 종목, 매수/매도 시점 등을 결정하여 거래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고객이 주식 투자를 맡기더라도 어떤 주식을 언제, 어떻게 사고팔지에 대해서는 고객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불법 주식거래#일임매매 위반#고객 동의#종목 결정

형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불법 주식 거래, 처벌 가능할까?

증권회사 직원이 고객의 허락 없이 주식을 매매하는 행위(일임매매)는 불법이며, 이를 어길 경우 증권회사뿐 아니라 직원 개인도 처벌받을 수 있다.

#일임매매#증권회사 직원#처벌#증권거래법 위반

민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과당매매, 언제 불법일까?

고객이 증권회사 직원에게 주식 투자를 일임했는데, 직원이 과도하게 매매(과당매매)하여 손해를 입힌 경우, 증권회사와 직원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요? 이 판례는 과당매매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과 고객이 이전의 손해배상 청구를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과당매매#손해배상#증권회사#직원 책임

민사판례

증권회사 직원의 임의매매,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금융실명제 하에서 증권회사 직원이 고객의 동의 없이 주식을 매매(임의매매)하여 손해를 입힌 경우, 증권회사는 손해배상 책임을 지며, 손해액은 임의매매 당시 주식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계좌 명의자는 원칙적으로 계약 당사자로 인정되지만, 예외적인 경우 실질적인 계좌 소유자가 따로 있을 수 있다.

#증권회사#임의매매#손해배상#금융실명제

민사판례

주식 투자,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묵시적 일임매매, 그 효력과 위험성

고객이 증권사 직원에게 구체적인 지시 없이 묵시적으로 주식 매매를 맡긴 경우에도 그 약정은 유효하며, 해당 거래가 과당매매인지는 구체적인 상황을 봐야 한다는 판결.

#묵시적 주식 일임매매#효력#과당매매#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