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미수

사건번호:

92도743

선고일자:

1992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실재하지 아니한 자를 상대로 한 제소와 소송사기의 성부(소극)

판결요지

소송사기에 있어서 피기망자인 법원의 재판은 피해자의 처분행위에 갈음하는 내용과 효력이 있는 것이어야 하는바, 실재하고 있지 아니한 자에 대하여 판결이 선고되더라도 그 판결은 피해자의 처분행위에 갈음하는 내용과 효력을 인정할 수 없고, 따라서 착오에 의한 재물의 교부행위를 상정할 수 없는 것이므로 사기죄의 성립을 시인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6.10.28. 선고 84도2386 판결(공1986,3149)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 사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2.2.13. 선고 91노264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이 공소외 합자회사에는 상조회가 구성되어 있지 아니함에도 자동차사고 발생시 사고로 인한 손해를 보상하여 주기로 하는 상조회가 설치되어 있다 하여 위 공소외 회사와 그 회사 상조회에 대하여 연대하여 금 12,100,000원의 지급을 구하는 소장을 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에 제출하여 위 법원을 기망하여 승소판결을 선고받아 위 금액을 편취하려 하였으나 그 소를 취하함으로써 미수에 그쳤다는 것이고, 원심은 이에 대하여 피고인이 원심법정에 이르기까지 일관하여 공소외 회사에 상조회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위 상조회를 상대로 소를 제기하였으나 위 상조회가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소를 취하하였다고 변소하고 있는바, 피고인의 범의를 인정할 증거가 없고, 또한 피고인이 위 상조회를 피고로 한 소송에서 법원을 기망하여 승소하더라도 그 상조회가 존재하지 아니한다면 그 명의의 재산도 없을 것이므로 이러한 승소판결로써 상조회로부터 금원을 편취할 가능성이나 위험성이 없고, 이러한 법리는 공소외 회사가 공동피고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공소사실 기재에 의하면 그 소송의 공동피고로 한 공소외 합자회사로부터 채무명의를 사취하려 하였다는 사실은 공소사실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보인다) 다를 바 없다고 판시하고,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과정에 채증법칙 위배의 잘못이 없다. 소송사기에 있어서 피기망자인 법원의 재판은 피해자의 처분행위에 갈음하는 내용과 효력이 있는 것이어야 하는바(당원 1986.10.28. 선고 84도2386 판결 참조), 이 사건의 경우처럼 실재하고 있지 아니한 위 상조회에 대하여 판결이 선고되더라도 그 판결은 피해자의 처분행위에 갈음하는 내용과 효력을 인정할 수 없고, 따라서 착오에 의한 재물의 교부행위를 상정할 수 없는 것이므로 사기죄의 성립을 시인할 수 없는 것이다. 원심판결에 소송사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상의 이유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돈 받을 권리 없는 사람이 돈 가져가면 사기죄!

빚진 돈을 이미 다 갚았는데도 채권자인 척 법원을 속여 돈을 받아간 사기 사건에서, 진짜 피해자는 법원을 속인 사람과 짜고 친 원래 채권자가 아니라, 그 돈을 받아야 할 다른 채권자라는 대법원 판결.

#허위채권#사기#공탁금#피해자

형사판례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걸면 사기죄일까요?

이미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걸어 승소 판결을 받았더라도 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사망자 소송#사기죄#무죄#법원 기망

형사판례

돈 받을 권리 없는데 압류해도 사기죄?

빚을 받기 위해 채무자의 다른 채권을 압류하는 과정에서, 압류할 채권이 실제로 없다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채권자가 자신의 채권은 진짜라면 소송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

#허위채권#압류#전부명령#소송사기

형사판례

소송 걸었다고 무조건 사기죄? 소송사기죄 성립요건 알아보기

소송을 제기할 때, 주장하는 권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허위 주장과 입증으로 법원을 속일 의도가 있어야 소송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사실 인식이나 법률적 판단을 잘못하여 존재하지 않는 권리를 주장했다면 소송사기죄가 아닙니다.

#소송사기죄#성립요건#사기의 범의#허위주장

형사판례

내 땅이라고 믿고 소송했는데 사기죄라고요? 소송사기죄, 알고 보면 이렇습니다!

소송을 통해 부당 이득을 취하려는 '소송 사기죄'는 단순히 권리가 없는데 소송을 제기한 것만으로는 성립하지 않고, 권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법원을 속이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소송 사기죄#고의#기망행위#권리 없음 인식

형사판례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걸면 사기죄일까?

이미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 판결을 받더라도 소송사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소송사기죄가 성립하려면 법원의 재판이 피해자의 처분행위에 실제로 영향을 미쳐야 하는데, 사망자는 처분행위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소송사기죄#사망자#소송#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