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선변호인선정신청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92모49

선고일자:

19931203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국선변호인 선임청구 기각결정에 대한 불복 가부

판결요지

국선변호인선임청구를 기각한 결정은 판결 전의 소송절차이므로, 그 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를 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 이상 그 결정에 대하여는 재항고도 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3조 , 제40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9.5. 자 86모40 결정(공1986,1417)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부산지방법원 1992.8.27. 자 91재노1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국선변호인제도는 구속적부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판절차에서 피고인의 지위에 있는 자에게만 인정되는 것으로서, 공판절차가 아닌 재심개시결정전의 절차에서 재심청구인이 국선변호인선임청구를 할 수는 없으므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재심청구인의 이 사건 국선변호인선임청구를 기각한 것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없다. 뿐만 아니라 국선변호인선임청구를 기각한 결정은 판결 전의 소송절차이므로, 그 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를 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 이상 그 결정에 대하여는 재항고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당원 1986.9.5. 선고 86모40 결정 참조). 논지는 어느 모로 보나 이유가 없다. 이에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윤영철 박만호(주심) 박준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꼭 필요할 때만 해야 할까?

모든 재판에서 국선변호인을 꼭 선정해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으로 정해진 경우 외에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선정 여부가 결정되며, 항소심에서 국선변호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침해가 없다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국선변호인#선정#항소심#방어권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항소심에서도 보장받아야 할 권리!

법원은 피고인이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도록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야 하는 의무가 있으며, 1심에서 국선변호인이 선정되었다면 항소심에서도 특별한 사정 변경이 없는 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해야 합니다.

#국선변호인#선정의무#항소심#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 재판 전에 해야죠!

가난해서 변호사를 선임할 수 없는 피고인이 국선변호인을 요청했는데, 법원이 이를 무시하고 재판을 진행해서는 안 된다는 판결.

#국선변호인#선정요청#무시#재판진행

생활법률

돈 없어도 변호사 도움 받을 수 있다?! 국선변호인 제도 완벽 정리!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변호사 선임이 어려울 때, 국가가 지원하는 국선변호인 제도를 통해 법률적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적(구속, 미성년자, 장애 등) 또는 임의적(경제적 어려움)으로 신청 가능하다.

#국선변호인#필요적 선정#임의적 선정#선정 취소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임, 꼭 필요한 경우에만!

법원은 모든 형사사건에서 무조건 국선변호인을 선임할 필요는 없고, 피고인의 나이, 지능, 교육 수준 등을 고려해서 정말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선임합니다.

#국선변호인#선임#의무#재량

형사판례

국선변호인 선정은 언제 필요할까?

법에서 정한 특정한 경우가 아니라면, 법원은 피고인의 권리 보호에 필요하다고 판단하지 않는 이상 국선변호인을 선정할 의무가 없다. 설령 국선변호인을 선정하지 않았더라도, 그것이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위법이 아니다.

#국선변호인#선정의무#권리보호#형사소송법 제33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