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11463

선고일자:

199308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득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것과 별도로 소득세할 주민세 부과처분의취소를 구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지방세법 제172조 제2호·제3호, 제173조 제2항 등의 규정에 의하면 소득세할이라 함은 소득세법의 규정에 의하여 부과된 소득세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주민세로서 소득세의 납세의무 있는 개인에게만 부과하는 것이지만, 소득세법의 규정에 의하여 부과된 소득세액은 소득세할 주민세의 과세표준이 됨에 지나지 아니하는 것이므로, 납세의무자는 그 소득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청구하는 것과는 별도로 소득세할의 과세표준인 소득세액의 결정이 위법함을 주장하여 소득세할 주민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

참조조문

지방세법 제172조 제2호·3호제17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4.3.27. 선고 81누99판결(공1984,821), 1986.6.10. 선고 85누678전원합의체판결(공1986,88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송파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4.20. 선고 92구3095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소송수행자들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지방세법 제172조 제2호·제3호,제173조 제2항 등의 규정에 의하면 소득세할이라 함은 소득세법의 규정에 의하여 부과된 소득세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주민세로서, 소득세의 납세의무가 있는 개인에게만 부과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소득세법의 규정에 의하여 부과된 소득세액은 소득세할 주민세의 과세표준이 됨에 지나지 아니하는 것이므로, 납세의무자는 그 소득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청구하는 것과는 별도로 소득세할의 과세표준인 소득세액의 결정이 위법함을 주장하여 소득세할 주민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 당원의 판례가 취하고 있는 견해이다(1984.3.27. 선고 81누99 판결; 1986.6.10. 선고 85누678 전원합의체 판결 등). 이와 상반되는 견해에서 원심판결에 소득세할 주민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김주한 김용준(주심)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을 때, 처음 세금까지 다툴 수 있을까? 소득세 불복하면 주민세도 같이 불복되는 걸까?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증액경정' 처분을 받으면, 처음 세금 부과 처분은 효력을 잃고 증액경정 처분만 다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득세에 대한 불복 절차를 제대로 거쳤다면, 소득세와 함께 부과되는 소득세할 주민세는 따로 불복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소득세#증액경정#소득세할 주민세#불복

세무판례

법인세와 주민세, 별개로 다툴 수 있을까?

법인세 납부에 대한 이의제기와는 별도로, 법인세 계산 자체가 잘못되었다면 법인세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에 대해서도 따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법인세할 주민세#불복#법인세#별개

세무판례

법인세와 근로소득세, 따로따로 불복해야 할까? 그리고 세금 부과 취소 소송, 얼마나 취소될까?

회사 소득에 대한 법인세와 직원 급여에 대한 소득세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법인세 불복 절차를 거쳤다고 해서 소득세 불복 절차를 생략할 수 없다. 또한, 세금 부과처분이 잘못되었더라도 전체가 아니라 잘못된 부분만 취소해야 한다.

#법인세#소득세#별개 과세처분#불복절차

민사판례

법인세 취소되면 법인세할 주민세도 자동으로 취소될까?

법인세 납부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는 법인세와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법인세 부과가 취소되더라도 법인세할 주민세 부과는 유효하다. 단, 법인세할 주민세 부과 자체에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경우는 예외다.

#법인세#법인세할 주민세#취소#별개 세금

세무판례

소득세할 주민세, 언제부터 세금 부과할 수 있을까?

소득세할 주민세(*소득세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주민세*)의 부과 제척기간(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기간)은 소득세 납세 의무가 확정된 날부터 시작됩니다. 즉, 소득세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주민세를 부과할 수 없으며, 소득세 확정 후 5년이 지나면 부과할 수 없습니다.

#소득세할 주민세#부과 제척기간#기산일#소득세 확정일

세무판례

양도소득세에 가산세까지 포함해서 주민세 내야 하나요?

토지나 건물을 양도하고 내는 양도소득세에 부과되는 주민세를 계산할 때, 세금을 늦게 내거나 신고를 잘못해서 발생하는 가산세도 포함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주민세#가산세#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