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등

사건번호:

93누5994

선고일자:

1993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원심판결의 법령위반의 점에 관하여 구체적인 이유기재가 없는 상고이유서의 적부

판결요지

상고법원은 상고이유에 의하여 불복신청의 한도에서 조사 판단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고인이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였다 하더라도 상고이유가 원심판결의 어떤 점이 법령에 어떻게 위반되었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확실하게 기재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0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11.22. 선고 82누297 판결(공1984,116), 1991.5.28. 선고 91다9831 판결(공1991,1766), 1993.5.14. 선고 93다3943 판결(공1993,170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외 1인 피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용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15. 선고 91구1039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들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상고법원은 상고이유에 의하여 불복신청의 한도에서 조사 판단할 수 있는 것이므로(민사소송법 제401조), 상고인이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고이유가 원심판결의 어떤 점이 법령에 어떻게 위반되었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확실하게 기재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것으로 취급할 수밖에 없는바, 원고들이 제출한 상고이유서에는 손실보상액이 저렴하여 억울하다는 취지만 기재되어 있을 뿐 원심판결의 어떤 부분이 법령에 어떻게 위반되었는지 등에 관하여는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아니함은 물론 달리 상고이유가 될 만한 사항도 기재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상고이유서가 제출되지 아니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고, 상고장에도 상고이유가 기재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원고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관(재판장) 김주한 김용준(주심)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고이유 제대로 쓰는 법, 알고 계셨나요?

대법원은 상고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거나, 대법원 판례 위반 주장 시 해당 판례를 명시하지 않거나,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이후에 새로운 주장을 하는 경우, 이를 적법한 상고이유로 인정하지 않고 상고를 기각할 수 있습니다.

#상고기각#상고이유 불충분#기간도과#상고이유서

민사판례

상고이유? 제대로 써야 합니다!

대법원 상고를 할 때는 이전 재판에서 주장했던 내용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 아니라, 원심 판결의 어떤 부분이 왜 잘못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상고이유#구체적 기재#원심판결#법률위반

민사판례

"사실 오인, 법리 오해" 만으로는 상고 안돼요!

단순히 '사실 오인'이나 '법리 오해'라고만 주장하는 것은 구체적인 상고 이유가 아니므로, 이러한 상고는 기각된다.

#상고기각#상고이유불명확#사실오인#법리오해

형사판례

대법원, "그냥 '사실오인'이라고만 하면 안 돼요!" 상고이유 제대로 쓰는 법

대법원 상고에서는 단순히 원심 판결에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가 있다고만 주장하는 것은 적법한 상고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사실이 잘못되었고, 어떤 법리를 잘못 적용했는지 명확하게 밝혀야 합니다.

#대법원#상고#사실오인#법리오해

민사판례

대법원, 상고이유 불충분하면 심리 안 해!

대법원은 상고이유를 제대로 쓰지 않으면 상고를 기각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원심 판결의 어떤 부분이 어떻게 잘못되었는지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거나, 기간 내에 제출하지 않은 새로운 주장은 심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상고이유서#기각#심리대상 제외#원심판결

상담사례

상고이유서, 막막하신가요? 핵심만 콕콕 짚어드립니다!

상고이유서는 원심 판결의 어떤 부분이 어떤 법률에 어떻게 위반되었는지 원심 기록에 있는 내용이라도 증거와 법 조항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직접 적시해야 한다.

#상고이유서#구체적#직접#법률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