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3누845

선고일자:

1993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수개의 부동산을 일괄거래함으로써 전체의 실지거래가액은 확인되나 각각의 실지거래가액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한 경우의 자산별 실지거래가액 계산방법 나. 양도소득금액 산정에 있어서 실지취득가액의 의미

판결요지

가. 양도소득금액은 양도자산별로 계산하여야 하므로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소득금액을 산정하여야 할 경우 중 토지와 건물 등 수개의 부동산을 일괄거래한 경우에 전체의 실지거래가액은 확인되지만 각각의 실지거래가액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한 때에는 구 소득세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2항에 의하여 양도자산별 기준시가에 비례하여 안분계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실지거래가액을 계산할 수 있고, 그 경우 한쪽의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자산이 있는 경우, 안분된 다른 한쪽의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으로 같은 시행령 제170조 제1항 단서에 의하여 환산할 수 있다. 나. 양도소득금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실지취득가액은 실지의 양도소득금액 계산의 근거가 되는 실지거래가액을 말하는 것이지 취득 당시의 객관적인 교환가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어서 취득시에 근접한 시가감정가액이라 하더라도 이를 실지취득가액으로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 제4항 단서, 제45조 제1항 제1호 단서, 같은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0조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2.12.24. 선고 92누5171 판결(공1993.643), 1993.9.28. 선고 93누11272 판결(동지) / 나. 대법원 1992.5.12. 선고 91누10848 판결(공1992,1913), 1992.7.14. 선고 92누2967 판결(공1992,2453), 1993.7.27. 선고 92누19613 판결(공1993,2453)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부산 동래세무서장 외 2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12.2. 선고 91구332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사실인정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경험칙이나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소득세법(1990.12.31. 법률 제428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 제4항 단서, 제45조 제1항 제1호 단서에 따른 소득세법시행령(1989.8.1. 대통령령 제12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영이라 한다) 제170조 제4항 제2호에 의하면, 국세청장이 지역에 따라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거래 기타 부동산투기의 억제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국세청장이 지정하는 거래에 있어서 양도 또는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준시가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 규정에 터잡아 재산제세조사사무처리규정(국세청 훈령 제980호) 제72조 제3항 제5호는 부동산을 취득하여 1년 이내 양도한 때를 위 예외의 경우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때에는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차익을 산정하여야 하고 투기목적의 유무는 그 요건이 아니라는 것이 당원의 견해이다(당원 1991.6.11. 선고 90누9810 판결; 1992.5.12. 선고 91누10848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한편 양도소득금액은 양도자산별로 계산하여야 하므로 실지거래가액에 의하여 양도소득금액을 산정하여야 할 경우 중 토지와 건물 등 수개의 부동산을 일괄 거래한 경우에 그 전체의 실지거래가액은 확인되지만 각 각의 실지거래가액에 대한 구분이 불가능한 때에는 영 제170조 제2항에 의하여 양도자산별 기준시가에 비례하여 안분 계산하는 방법으로 각 각의 실지거래가액을 계산할 수 있고, 그 경우 한쪽의 실지거래가액이 불분명한 자산이 있는 경우, 안분된 다른 한쪽의 실지거래가액을 기준으로 영 제170조 제1항 단서에 의하여 환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가액을 기초로 양도차익을 산정하여서 한 이 사건 과세처분이 적법하다고 본 원심의 판단도 정당하고, 다만 피고 부산동래세무서장이 원고 1, 원고 2에 대하여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양도차익을 기준시가에 의하여 계산한 잘못이 있으나 기록에 의하면, 그 세액이 위와 같이 안분한 실지양도가액 및 환산한 취득가액에 의하여 계산한 세액의 범위 이내임이 분명한 이상 이를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심판단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나 이유불비 및 이유모순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양도소득금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실지취득가액은 실지의 양도소득금액 계산의 근거가 되는 실지거래가액을 말하는 것이지 취득 당시의 객관적인 교환가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어서 취득시에 근접한 시가감정가액이라 하더라도 이를 실지취득가액으로 볼 수는 없으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최재호 김석수 최종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땅과 건물 같이 팔았을 때 양도세는 어떻게 계산할까?

토지와 건물을 함께 팔았더라도, 양도소득세 계산 시 토지와 건물은 각각 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거래가격을 알 수 없는 경우라도, 세금이 실제 거래가격으로 계산했을 때보다 많아서는 안됩니다.

#양도소득세#토지#건물#분리과세

세무판례

땅과 건물을 함께 팔았는데, 각각 얼마에 판 건지 모르겠어요! 세금은 어떻게 내나요?

토지와 건물을 함께 팔았는데, 각각의 정확한 판매 가격을 알 수 없을 때는 어떻게 양도세를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기준시가를 이용해서 각각의 판매 가격을 추정하고, 그 가격을 바탕으로 양도세를 계산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판매 가격은 알지만 매입 가격을 모르는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매입 가격을 추정하여 양도세를 계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토지#건물#일괄매매#양도세

세무판례

땅과 건물을 함께 팔았는데, 각각 얼마에 판 건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세금을 계산하나요?

토지와 건물을 함께 팔았는데, 각각의 정확한 판매 가격을 알 수 없을 때, 세금 계산을 위해 어떻게 가격을 나눠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전체 판매가격을 토지와 건물의 기준시가 비율대로 나누는 방법이 실질과세원칙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토지#건물#일괄양도#양도가액

세무판례

땅과 건물 같이 팔았을 때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까?

토지와 건물을 함께 팔았을 때, 각각의 정확한 판매가격을 알 수 없다면, 기준시가 비율대로 나눠서 세금을 계산해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그리고 과정상 특별공제를 하지 않아도 위헌이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양도소득세#토지#건물#일괄양도

세무판례

땅과 건물 같이 팔았을 때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까?

토지와 건물을 함께 팔았는데, 각각의 판매 가격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세금 계산을 위해서는 어떻게 가격을 나눠야 할까요? 이 판례는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비례해서 나누는 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토지#건물#일괄매도#매도가액

세무판례

땅을 시청에서 사고 일반인에게 팔았다면,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땅을 사서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팔 때, 그 땅의 양도소득세는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이때, 땅과 함께 건물도 같이 팔았다면, 건물의 양도소득세 역시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단, 땅과 건물을 함께 판 가격에서 땅과 건물의 가격을 각각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땅과 건물의 기준시가 비율대로 나누어서 각각의 실제 거래가격으로 봅니다. 또한, 세금 신고 당시에 실제 거래가격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하지 못했더라도, 나중에 세무조사를 통해 실제 거래가격이 확인되면 그 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합니다.

#양도소득세#토지#건물#실거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