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어음금

사건번호:

93다16390

선고일자:

199311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무의 지급확보를 위하여 발행된 약속어음의 원인채무가 시효소멸한 경우 어음금청구권의 존부

판결요지

상사채무인 약속어음의 원인채무가 5년의 상사시효기간이 지나서 시효소멸하였다면, 원인채무의 지급확보를 위하여 발행된 약속어음의 발행인은 위 사유를 들어 약속어음의 수취인에 대하여 약속어음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참조조문

어음법 제17조(제7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2.2.선고 92나663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의 상고이유 제2점을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는 1982.8.경부터 1983. 6.경까지 소외 주식회사 대성(이하 소외 회사라 한다)에게 낙화생을 공급하여 주는 거래를 하다가 낙화생대금을 선급받고서도 낙화생을 공급하여 주지 못하고 낙화생가공시 생기는 부산물인 유태를 외상으로 구입하였다가 외상대금을 지급하지 못하여 소외 회사에 대하여 합계 금 69,944,264원의 선급금 등 반환채무를 부담하게 되었는데, 소외 회사는 1985.1.6.경 위 선급금 등 반환채권을 원고에게 양도하고, 피고는 1985.1.10.경 위 채권액을 인정함과 동시에 위 선급금 등 반환채무를 직접 원고에게 변제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소외 회사와 원고 사이의 위 채권양도를 승낙한 사실, 이에 따라 원고가 1985.1.14. 피고와의 사이에 피고는 위 양수채권 금 69,944,264원 중 금 1,944,264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 68,000,000원을 직접 원고에게 변제하기로 하고 위 양수채무의 지급확보를 위하여 원고에게 위 금원을 액면금으로 하는 이 사건 약속어음을 발행한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원심이 채용한 증거들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정당하다고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사실관계가 위와 같다면 피고가 소외 회사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던 위 선급금 등 반환채무는 상사채무이고 소외 회사가 피고에 대한 위의 채권을 원고에게 양도함으로써 그 채권은 동일성을 잃지 않고서 양수인인 원고에게 이전되었고, 이 사건 약속어음은 피고가 소외 회사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던 위 선급금 등 반환채무 중 금 68,000,000원을 그 채권을 양수한 원고에게 변제하기로 하고 그 지급확보를 위하여 발행한 것이므로 위 약속어음의 원인채무 역시 상사채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니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의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1점을 본다. 원심이 적법하게 인정한 바와 같이 상사채무인 이 사건 약속어음의 원인채무가 5년의 상사시효기간이 지나서 시효소멸하였다면, 피고는 위 사유를 들어 이 사건 약속어음의 수취인인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약속어음금의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고 볼 것이므로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득상환청구권이 시효로 인하여 소멸되지 않았다는 주장은 원고가 피고에 대하여 이득상환청구를 하고 있지 않은 이 사건에 있어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논지도 모두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김용준 천경송(주심) 안용득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빌려준 돈, 약속어음 공증 받았는데 3년 지났다면? 😰

약속어음 공증 후 3년이 지나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더라도, 원래 빌려준 돈(원인채권)에 대한 10년의 소멸시효가 남아있다면 대여금 반환청구소송을 통해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약속어음#공증#소멸시효#원인채권

상담사례

친구에게 빌려준 돈, 약속어음 시효 지났다고 못 받나요? 😥

약속어음 시효(3년)가 지났더라도 원래 빌려준 돈(대여금)에 대한 채권은 10년간 유효하므로 소송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약속어음#시효#원인채권#대여금

상담사례

10년 전 승소했는데, 지금 와서 어음이 없다고? 괜찮을까요? (약속어음과 소멸시효)

10년 전 약속어음 소송에서 승소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어음 분실 여부와 관계없이 소멸시효 완성 전 재소송을 통해 시효 중단이 가능하고, 채무자의 어음 부재 주장은 효력이 없다.

#약속어음#소멸시효#확정판결#기판력

민사판례

돈 빌려주고 받은 어음, 시효 지나면 어떻게 될까?

시효가 지난 어음으로 돈을 받으려고 채무자 재산을 압류해도 원래 빌려준 돈(원인채권)에 대한 시효는 중단되지 않는다. 다만, 시효가 지난 어음으로 강제집행을 해서 돈을 일부라도 받았다면 채무자가 시효 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원인채권의 시효도 다시 시작된다. 하지만 이를 인정하려면 실제로 채무자 재산에서 돈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어음시효#원인채권#시효중단#시효이익포기

상담사례

돈 빌려줬는데 약속어음 시효 끝났어요! 이제 돈 못 받나요? 😰

약속어음 공증 후 시효(3년)는 지났지만, 원금(대여금) 반환 청구 소송(시효 10년)을 통해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있다.

#약속어음 시효#대여금 시효#압류#소송

상담사례

약속어음 보증 섰는데 돈 못 받는다고요? 잠깐! 소멸시효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장래 구상채권 담보 약속어음의 소멸시효는 발행일이 아닌 구상채권 발생일(실제 돈을 갚은 날)로부터 3년이므로, 돈을 못 받았다고 포기하기 전에 소멸시효를 확인해야 한다.

#약속어음#보증#소멸시효#구상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