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인도등

사건번호:

93다38284

선고일자:

1993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토석의 굴취 또는 절개로 인하여 토지가 훼손된 경우의 통상손해

판결요지

토석의 굴취 또는 절개 등으로 토지가 훼손됨으로써 토지 소유자가 입게 되는 통상의 손해는 훼손된 부분을 원상회복시키는 데 소요되는 비용 상당액이라고 할 것이고, 그 비용이 과다하거나 원상회복이 사실상 불가능한 때에는 훼손으로 인하여 토지 자체의 교환가치가 감소된 부분이 통상의 손해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제39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6.27. 선고 88다카25861 판결(공1989,115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6.18. 선고 93나3041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피고 산하 국방부 예하 육군 제7163부대장이 1991.3.초경 피고 소유 토지상에 마을 진입로를 만들면서 인접한 원고 소유의 이 사건 토지를 침범하여 그 지표를 비스듬히 깎아 내려 위 도로변의 경사면으로 만들어 버려 그 이래 현재까지 원고의 위 토지에 대한 사용수익을 방해하여 왔다고 인정한 다음 피고는 원고에게 이 사건 토지의 훼손으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사용료 상당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토석의 굴취 또는 절개 등으로 토지가 훼손됨으로써 토지 소유자가 입게 되는 통상의 손해는 훼손된 부분을 원상회복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상당액이라고 할 것이고, 그 비용이 과다하거나 원상회복이 사실상 불가능한 때에는 훼손으로 인하여 토지 자체의 교환가치가 감소된 부분이 통상의 손해라고 할 것이므로.( 당원 1989.6.27. 선고 88다카25861 판결 참조), 피고가 이 사건 토지의 지표를 비스듬히 깎아 내려 도로의 경사면으로 만들어 버려 이를 훼손함으로써 원고가 입은 통상의 손해는 원상회복이 가능한 한 원상회복에 소요되는 비용 상당액이라고 보아야 할 것인데도, 원심은 이로 인하여 원고가 입은 손해를 이 사건 토지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입은 사용료 상당액으로 보고, 원고가 구하는 기간동안의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사용료 상당의 금액을 그 손해로 인정하였으므로, 원심에는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를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김상원 박만호 박준서(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훼손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할까요?

누군가의 불법행위로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은 돈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수리비는 사고 당시(불법행위 시점)의 건설 물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사고 이후 물가가 올라 수리비가 더 많이 나오더라도, 가해자가 그 물가 상승을 예측할 수 있었던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추가 배상 책임은 없습니다.

#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불법행위시점

민사판례

건물 훼손 손해배상, 제대로 알고 받자!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액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수리 가능 여부, 수리비와 건물 가치의 관계, 응급조치 비용, 그리고 건물 부지의 도시계획 저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손해배상액을 정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건물가치

민사판례

건물 훼손에 따른 손해배상과 위자료, 어떻게 계산될까?

누군가의 불법행위로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은 수리 가능하면 수리비, 수리 불가능하면 건물의 시가로 계산합니다.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는 재산적 손해 배상만으로 회복되지 않는 특별한 경우, 가해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만 인정됩니다.

#불법행위#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

일반행정판례

쪼개진 땅,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 일단의 토지와 잔여지 보상

하나의 필지에서 일부만 수용될 때, 남은 땅(잔여지)에 대한 손실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받을 수 있다면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수용 전 토지의 전체적인 이용 상태를 봐서 '일단의 토지'로 인정되면, 수용된 부분이 더 좋은 땅이었더라도 잔여지에 대한 손실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보상액은 '전체 토지가 수용되었다면 받았을 금액'에서 '수용 후 남은 잔여지의 가치'를 뺀 금액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잔여지#손실보상#일단의 토지#보상액 산정

민사판례

나라가 내 땅 돌려주는 걸 깜빡했다면? 환매권과 손해배상

국가가 공익사업을 위해 땅을 수용한 후, 그 땅이 더 이상 필요 없어졌을 때 원래 주인에게 돌려줄 의무(환매권 통지 의무)가 있는데, 이를 어겨 원래 주인이 땅을 돌려받을 기회를 놓쳤다면 국가는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손해배상액은 땅의 현재 가치에서 원래 주인이 돌려받을 때 지불해야 할 금액을 뺀 금액이다.

#환매권#통지의무#손해배상#환매가격

일반행정판례

토지보상금, 어떻게 계산될까요? 땅값 계산의 핵심 A to Z

토지수용 시 보상액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질까요? 이 판례는 새로운 공시지가가 나오면 그걸 기준으로 해야 하고, 주변 개발이익이 반영된 공시지가라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토지의 현재 이용 상태를 기준으로 비슷한 토지의 가격을 비교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합니다.

#토지수용#보상액#공시지가#개발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