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3다6560

선고일자:

199305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자동차사고로 승객이 사망한 경우 운행자는 자기에게 과실이 없음을 내세워 손해배상책임을 면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나. 부진정연대채무자 중 1인에 대한 채무면제가 다른 채무자에 대하여 효력이 미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자동차사고로 승객이 사망한 경우 운행자는 승객의 사망이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을 주장, 입증하지 않는 한 운전상의 과실 유무를 가릴 것 없이 승객의 사망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으므로 자기에게 과실이 없음을 내세워 손해배상책임을 면할 수 없다. 나. 충돌사고로 승객이 피해를 입은 경우 가해자들이 피해자에 대하여 부담하는 각 손해배상책임은 서로 부진정연대채무관계에 있다고 볼 것이고, 이러한 부진정연대채무자 상호간에 있어서 채권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변제와 같은 사유는 채무자 전원에 대하여 절대적 효력을 발생하지만 그 밖의 사유는 상대적 효력을 발생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채무자 중의 1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에 관한 권리를 포기하거나 채무를 면제하는 의사표시를 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채무자에 대하여 그 효력이 미친다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채무자들 사이의 내부관계에 있어 1인이 피해자로부터 합의에 의하여 손해배상채무의 일부를 면제받고도 사후에 면제받은 채무액을 자신의 출재로 변제한 다른 채무자에 대하여 다시 그 부담부분에 따라 구상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 나. 민법 제419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8.9.12. 선고 78다1191 판결, 1980.9.24. 선고 80다1430 판결(공1980,13285), 1987.6.23. 선고 86다카2863 판결(공1987,1227) / 나. 대법원 1981.6.23. 선고 80다1796 판결(공1981,14083), 1982.4.27. 선고 80다2555 판결(공1982,521), 1989.5.9. 선고 88다카16959 판결(공1989,904)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신진목 외 17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전성철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범아관광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한각 외 2인 【피고보조참가인,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12.17. 선고 92나1246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와 피고보조참가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및 피고보조참가인의 각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서에 기재된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 본다). 1. 자동차사고로 승객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운행자는 승객의 사망이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을 주장, 입증하지 않는 한 운전상의 과실유무를 가릴 것 없이 그 승객의 사망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으므로, 자동차운행자로서는 그 소유의 자동차승객이 사망한 경우라면 자기에게 과실이 없음을 내세워 손해배상책임을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당원 1987.6.23. 선고 86다카2863 판결 참조). 논지는 이유 없다. 2. 또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더라도 원고들이 이 사건 교통사고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하여 공동불법행위책임관계에 있는 일방의 채무자인 피고보조참가인을 대리한 소외 안국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와의 사이에 손해배상금의 명목으로 위 소외 회사로부터 사고로 인한 사망자 1인당 각 금 36,000,000원씩을 지급받으면서 피고보조참가인에 대하여 향후 이에 관한 일체의 권리를 포기하고 민·형사상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기로 한다는 내용의 합의를 하였을 뿐이지, 나아가 다른 손해배상 의무자인 피고에 대하여도 더 이상의 손해배상청구를 하지 아니할 명시적 또는 묵시적 의사표시를 하였다고는 보이지 아니한다. 이와 반대의 견해를 전제로 한 논지도 이유 없다. 3. 또한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이, 소외 조한규가 피고 소유의 버스를 업무로 운전하여 가다가 반대차선에서 도로 중앙선을 침범하여 마주 진행하여 오는 피고보조참가인이 운전하는 그 소유의 승용차에 부딪혀 왼쪽 도로 밖으로 추락함으로써 위 버스에 탑승한 피해자들이 사망한 이 사건에 있어, 피고와 피고보조참가인이 위 각 자동차의 보유자로서 피해자들에 대하여 부담하는 각 손해배상책임은 서로 부진정 연대채무관계에 있다고 볼 것이고, 이러한 부진정 연대채무자 상호간에 있어서 채권의 목적을 달성시키는 변제와 같은 사유는 채무자 전원에 대하여 절대적 효력을 발생하지만 그 밖의 사유는 상대적 효력을 발생하는 데에 그치는 것이므로, 피해자들의 상속인인 원고들이 그 채무자 중의 1인인 피고보조참가인에 대하여 손해배상에 관한 권리를 포기하거나 채무를 면제하는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다른 채무자인 피고에 대하여 그 효력이 미친다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위 채무자들 사이의 내부관계에 있어 피고보조참가인이 원고들로부터 합의에 의하여 손해배상채무의 일부를 면제받고도 사후에 위 면제받은 채무액을 자신의 출재로 변제한 다른 채무자인 피고에 대하여 다시 그 부담부분에 따라 구상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 당원 1980.7.22. 선고 79다1107 판결; 1981.6.23. 선고 80다1796 판결; 1982.4.27. 선고 80다2555 판결; 1989.5.9. 선고 88다카16959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주심)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버스 승객 사고, 누가 책임져야 할까? 보험사간 구상권 행사에 대한 이야기

여러 차량의 과실로 발생한 교통사고에서, 버스 승객이 다쳤을 경우 버스회사 보험사가 피해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면 다른 차량의 보험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이 구상권의 소멸시효는 10년이다.

#버스사고#보험사 구상권#소멸시효 10년

민사판례

버스 안에서 넘어진 승객, 버스 회사는 책임 없을까?

버스 승객이 정차 시 버스 반동으로 넘어져 다친 경우, 승객 본인의 부주의가 있더라도 버스회사는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버스#승객#정차#반동

민사판례

버스에서 내리다 넘어진 경우, 버스 회사의 책임은?

버스가 정류장에 완전히 정차한 후 승객이 하차하다가 넘어져 다친 경우, 버스 운행자에게 자동차손해배상 책임이 없다는 판결.

#버스 하차 사고#운행자 무책임#정차 후 낙상#인과관계 부재

상담사례

버스 하차 중 넘어짐, 버스회사 책임일까요? 🚌🤕

버스 하차 중 넘어진 경우, 버스 운행과 사고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버스회사의 책임이 인정되며, 승객 부주의로 인한 단순 낙상은 버스회사 책임이 아니다.

#버스하차#넘어짐#책임#운행중

상담사례

버스에서 내리다 넘어졌어요! 버스 회사가 책임져야 할까요?

버스가 완전히 정차 후 하차 중 넘어진 사고는 버스 운행 중 사고지만, 판례상 '운행으로 인한' 사고로 보기 어려워 버스 회사의 배상 책임이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버스 하차 사고#운행 중 사고#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배상 책임

상담사례

버스기사 교통사고, 회사가 손해배상 후 나에게 구상금 청구?! 당황하지 마세요!

버스기사가 사고로 피해자에게 배상 후, 회사가 사용자 책임으로 전액 배상했더라도 기사는 이미 배상한 금액만큼 회사에 책임이 줄어든다.

#버스기사#교통사고#사용자 책임#구상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