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부정수표단속법위반

사건번호:

93도1341

선고일자:

199307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순차 공모하여 재산상 이익을 편취한 경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소정의 이득액 산정방법 나. 발행명의인이나 직접 발행자가 아닌 자가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의 죄의 공동정범이 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다른 공범들과 순차 공모하여 상습으로 당좌수표와 어음 등을 유통시키고 이를 결제하지 아니하여 재산상 이익을 편취한 경우의 이득액은 공범 중 1인이 실제로 취한 이익만을 합산하여 산정할 것이 아니라 순차 공모의 최종공범이 피해자로부터 편취한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의 가액을 합산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나. 발행명의인이나 직접 발행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공모에 의하여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 소정 범죄의 공동정범이 될 수 있다.

참조조문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 형법 제3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10.8. 선고 91도1911 판결(공1991,275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4.21. 선고 93노9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중 35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 및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1.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볼 때 원심이 검사의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이 사건 공소 범죄사실 인정의 증거로 채용한 조처는 정당하고 이를 소론과 같은 사유로 증거능력이 없는 서류를 증거로 채용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2.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채용증거들을 기록에 의하여 살펴볼 때 피고인이 다른 공범들과 순차 공모하여 상습으로 이 사건 당좌수표와 어음 등을 유통시키고 이를 결제하지 아니하여 재산상 이익을 편취한 상습사기의 범행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으며, 이러한 경우 이득액은 피고인이 실제로 취한 이익만을 합산하여 산정할 것이 아니라 순차 공모의 최종공범이 피해자로부터 편취한 재물 또는 재산상의 이익의 가액을 합산하여 산정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원심이 그 이득액이 12억원이 넘는다 하여 피고인에 대하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제2호를 적용하여 처단한 조처도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 법률 조항 소정의 이득액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3. 발행명의인이나 직접 발행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공모에 의하여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 소정 범죄의 공동정범이 될 수 있는 것 이므로 원심이 피고인에 대하여 다른 공범들과 공모하여 이 사건 당좌수표들을 발행하여 무거래 등의 사유로 각 지급되지 아니하게 하였다는 사실을 확정하고 이에 대하여 위 법조항을 적용하여 처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중 35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윤관 김주한(주심)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잘못했을 때, 배상 책임은 어떻게 될까요?

여러 명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질러 피해가 발생했을 때, 책임이 적은 사람이 먼저 배상하면 책임이 큰 사람의 배상액이 줄어들지만, 책임이 큰 사람이 먼저 배상하면 책임이 적은 사람의 배상액은 그 비율만큼만 줄어듭니다.

#공동불법행위#변제#책임범위#과실비율

형사판례

사기죄의 죄수, 부정수표와 사기죄의 관계, 이중담보와 배임죄

동일 피해자에게 여러 번 사기를 쳐도 범행 동기나 수법이 다르면 각각 따로 처벌한다. 사기 치려고 발행한 수표가 부도나면 사기죄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로 각각 처벌한다. 이미 다른 사람에게 양도담보로 맡긴 물건을 또 다른 사람에게 다시 양도담보로 설정하고 처분했더라도 두 번째 채권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항소심에서 여러 죄를 하나로 묶어 유죄 판결했는데, 그중 하나라도 무죄라면 대법원은 항소심 판결 전체를 다시 하라고 돌려보내야 한다.

#사기죄#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배임죄#이중양도담보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수취 금액 모두 합산해서 처벌한다!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받았을 때,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허위 세금계산서#가중처벌#발급액#수취액

형사판례

백지수표와 사기죄, 그리고 허위신고 vs. 무고

이 판례는 백지수표에 적힌 금액이 허락 없이 고쳐 쓰여졌을 때, 수표를 발행한 사람에게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를 물을 수 있는지, 그리고 허위 신고와 관련된 부정수표 단속법상의 죄와 무고죄가 어떤 관계인지를 다룹니다. 또한 사기죄 유죄 판결을 위해 필요한 증거의 증명력에 대한 법리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백지수표#부당보충#부정수표단속법#허위신고죄

형사판례

사기 범죄, 함께 꾸몄다면 모두 처벌될 수 있다! 공모의 의미와 입증 방법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마음먹은 경우, 명시적인 합의가 없더라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했다면 공모로 인정될 수 있다. 또한, 범행에 직접 가담했지만 공모 사실과 고의를 부인하는 경우, 정황 증거를 통해 유죄를 입증할 수 있다.

#공모공동정범#공모#암묵적 합의#정황 증거

형사판례

수표 잃어버렸다고 거짓말하면 사기죄?!

자기가 발행한 수표를 누군가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돈을 갚지 않기 위해 수표를 잃어버렸다고 거짓말을 해서 법원으로부터 수표를 무효화하는 판결(제권판결)을 받았다면 사기죄가 성립한다.

#수표 분실 허위신고#사기죄#제권판결#채무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