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간미수

사건번호:

93도1851

선고일자:

199310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나. 다음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피해자의 간곡한 부탁에 따라 강간행위의 실행을 중지한 경우를 중지미수로 본 사례

판결요지

가. 범죄의 실행행위에 착수하고 그 범죄가 완수되기 전에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범죄의 실행행위를 중지한 경우 자의에 의한 중지가 일반 사회통념상 장애에 의한 미수라고 보여지는 경우가 아니면 이는 중지미수에 해당한다. 나. 피고인이 피해자를 강간하려다가 피해자의 다음 번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취지의 간곡한 부탁으로 인하여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한 후 피해자를 자신의 차에 태워 집에까지 데려다 주었다면 피고인은 자의로 피해자에 대한 강간행위를 중지한 것이고 피해자의 다음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취지의 간곡한 부탁은 사회통념상 범죄실행에 대한 장애라고 여겨지지는 아니하므로 피고인의 행위는 중지미수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가.나. 형법 제26조 / 나. 제297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5.11.12. 선고 85도2002 판결(공1986,91) / 나. 대법원 1992.7.28. 선고 92도917 판결(공1992,2696), 1993.4.13. 선고 93도347 판결(공1993상,143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용대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3.6.10. 선고 93노18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의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이 제1심판결 범죄사실기재와 같이 피해자를 강간할 마음을 먹고 판시와 같이 폭행한 다음 강간하려 하였으나 피해자가 다음 번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취지의 간곡한 부탁으로 인해 그 이상 강간의 실행행위에 나아가지 아니한 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나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2. 범죄의 실행행위에 착수하고 그 범죄가 완수되기 전에 자기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범죄의 실행행위를 중지한 경우에 그 자의에 의한 중지가 일반사회통념상 장애에 의한 미수라고 보여지는 경우가 아니면 이는 중지미수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85. 11.12. 선고 85도2002 판결 참조). 원심이 유지한 위 제1심 인정사실에 의하면 피고인은 피해자를 강간하려고 하다가 피해자가 다음 번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취지의 간곡한 부탁으로 인하여 그 목적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며, 기록에 의하면 그 후 피고인은 피해자를 자신의 차에 태워 집에까지 데려다 준 사실이 엿보이는바, 위 사실에 의하면 피고인은 자의로 피해자에 대한 강간행위를 중지한 것이고 피해자가 다음에 만나 친해지면 응해 주겠다는 취지의 간곡한 부탁은 사회통념상 범죄실행에 대한 장애라고 여겨지지는 아니하므로 이 사건 피고인의 행위는 중지미수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피고인을 장애미수로 처단한 제1심판결을 정당하다 하여 유지한 것은 중지미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김주한(주심)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딸이 울자, 남편 온다니까… 그만둔 강간, '자의적 중단' 아니다?

강도가 강간을 시도하다가 피해자의 딸이 깨어나 울거나, 피해자가 임신 중이라고 말하자 그만둔 경우, 이는 범죄를 자의로 그만둔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강간미수#자의적 중지#외부적 요인#강도강간

형사판례

친구의 범죄를 막지 않고 나만 발 뺀다고 죄가 없어질까? - 공범과 중지미수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모의했을 때, 한 명만 범행을 그만두더라도 다른 공범의 범행을 막지 않았다면 범행을 중단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공동정범#범행중단#실행의 착수#강간죄

형사판례

술에 취해 흐느적거리며 만졌어도 강간미수?

강간죄가 성립하기 위해 필요한 폭행·협박의 정도는 피해자의 항거를 불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여야 하며, 강간죄의 실행의 착수는 이러한 폭행·협박을 시작한 때로 본다는 판례.

#강간죄#폭행·협박#실행의 착수#항거불능

형사판례

강간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특별법 적용은?

강간을 하려다 미수에 그치고 상해를 입힌 경우, 성폭력특별법상 '강간죄를 범한 자가 상해를 입힌 경우'에 대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강간죄가 *기수*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강간미수#상해#특가법#가중처벌

형사판례

칼에 찔린 피해자, 피 흘리는 모습에 범인이 겁먹고 도망갔다면… 이건 '중지미수'일까?

살인하려 칼로 찔렀지만 피를 보고 겁먹어 멈춘 것은 자수(중지미수)로 인정되지 않고 미수로 처리됩니다. 또한, 확정된 약식명령도 이전에 저지른 범죄와 함께 경합범으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살인미수#자수(중지미수) 불인정#경합범#약식명령

형사판례

둘이서 번갈아가며… 이것도 특수강간?!

두 명이 서로 짜고 번갈아가며 한 여성을 강간한 경우, 직접적인 모의가 없었더라도 암묵적인 합의가 있었다면 특수강간죄로 처벌될 수 있다.

#특수강간#공동강간#암묵적 합의#번갈아 강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