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선거법위반

사건번호:

93도2126

선고일자:

19941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대통령후보자나 후보예상자와 관계가 있는 회사 임원의 영업활동이 구 대통령선거법 제162조 제1항 제1호, 제34조 소정의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여부 나. 대통령후보 출마예상자가 창업한 회사의 임원들이 판촉활동을 빙자하여 사전선거운동을 한 것이라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비록 대통령후보자나 후보로 출마가 예상되는 자와 관계가 있는 회사의임원이라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행하는 상품판매촉진을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은 기업의 통상적인 영업활동으로서 구 대통령선거법(1992.11.11. 법률 제44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994.3.16.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의 시행으로 폐지) 제162조 제1항 제1호에 의하여 처벌되는 같은 법 제34조, 제33조 소정의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나. 대통령선거를 앞둔 시기에 대통령후보로 출마할 것이 확실시되는 자가 창업하여 사장 등을 역임한 자동차회사의 임원들이 예년의 판촉활동 대상인원보다 훨씬 다수의 회사직원 가족 및 고객을 상대로 상당한 금액이 소요되는 숙식, 교통편 및 기념품을 제공하고 후보예상자가 창업한 공장 등을 관광시키면서 판매상품인 자동차의 품질에 대한 선전보다는 후보예상자 개인의 업적과 능력을 선전하는 데 주력한 행위는 같은 법에 의하여 금지되는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구 대통령선거법(1992.11.11. 법률 제44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994.3.16. 법률 제4739호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의 시행으로 폐지) 제34조 , 제162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94.9.13. 선고 93도3168 판결(공1994하,2694) / 나. 대법원 1994.4.12. 선고 93도2712 판결(공1994상,154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효종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7.2. 선고 93노47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들고 있는 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에 대한 그 판시 각 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비록 대통령후보자나 후보로 출마가 예상되는 자와 관계가 있는 회사의 임원이라고 하더라도 정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행하는 상품판매촉진을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이 기업의 통상적인 영업활동으로서 구 대통령선거법(1992.11.11. 법률 제449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994.3.16.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의 시행으로 폐지됨) 제162조 제1항 제1호에 의하여 처벌되는 같은 법 제34조, 제33조 소정의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음 은 소론과 같으나, 이 사건과 같이 대통령선거를 앞둔 시기에 대통령후보로 출마할 것이 확실시되는 자가 창업하여 사장 등을 역임한 자동차회사의 임원들이 예년의 판촉활동 대상인원보다 훨씬 다수의 회사직원 가족 및 고객을 상대로 상당한 금액이 소요되는 숙식, 교통편 및 기념품을 제공하고 후보예상자가 창업한 공장 등을 관광시키면서 판매상품인 자동차의 품질에 대한 선전보다는 후보예상자 개인의 업적과 능력을 선전하는데 주력한 행위는 위 법에 의하여 금지되는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인의 각 행위에 대하여 같은 법을 적용하여 처단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구 대통령선거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는 이유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구 대통령선거법 제162조 제1항 제1호, 제34조는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 당원 1994.9.13. 선고 93도1840 판결 및 같은 날 선고 93도3168 판결 등 참조)이므로, 이와 반대되는 상고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운동,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된 피고인들의 상고가 기각되어 원심(대전고등법원)의 유죄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법원은 단합대회와 자택 모임에서의 행위가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전선거운동#유죄 확정#단합대회#자택 모임

형사판례

설문조사, 사전선거운동이 될 수 있다?

선거 전에 실시한 설문조사가 사전선거운동으로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 단순한 여론조사가 아닌,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를 유도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

#사전선거운동#설문조사#유죄#공직선거법

형사판례

당원 연수교육, 사전선거운동일까? 아닐까?

정당이 당원들을 대상으로 연수교육을 실시하면서 교통편의와 식사를 제공하고, 자기 당 후보의 업적을 홍보한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정당의 통상적인 활동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여 사전선거운동으로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정당#당원 연수교육#사전선거운동#교통편의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어디까지가 문제일까요?

이 판례는 선거운동 기간 전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기부행위가 위법한지, 선거인 매수죄의 대상이 누구인지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전선거운동#기부행위#선거인 매수#선거인

형사판례

선거운동, 어디까지 허용될까? - 유사기관 설립과 사전선거운동 논란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포럼 활동은 선거운동으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검사만 상고했더라도 피고인에게 유리한 판결이라면 대법원이 직권으로 무죄 취지 판결 가능.

#선거운동#유사기관#사전선거운동#포럼

형사판례

선거 컨설팅, 언제부터 선거운동일까?

선거운동 기간 전에 이루어진 선거 컨설팅, 선거사무소 개소식 준비 등은 선거운동 준비행위로, 선거비용으로 볼 수 없다.

#선거 컨설팅#선거비용#선거운동#선거운동 준비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