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건번호:

93도213

선고일자:

1993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장물인 자기앞수표를 현금 대신 교부한 행위의 가벌성

판결요지

금융기관 발행의 자기앞수표는 그 액면금을 즉시 지급받을 수 있는 점에서 현금에 대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장물인 자기앞수표를 취득한 후 이를 현금 대신 교부한 행위는 장물취득에 대한 가벌적 평가에 당연히 포함되는 불가벌적 사후행위로서 별도의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제1항 , 제36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0.1.15. 선고 79도2948 판결, 1982.7.27. 선고 82도822 판결(공1982,887), 1987.1.20. 선고 86도1728 판결(공1987,32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대구지방법원 1992.11.20. 선고 92노165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금융기관 발행의 자기앞수표는 그 액면금을 즉시 지급받을 수 있는 점에서 현금에 대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장물인 자기앞수표를 취득한 후 이를 현금 대신 교부한 행위는 장물취득에 대한 가벌적 평가에 당연히 포함되는 불가벌적 사후행위로서 별도의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할 것이므로 ( 당원 1987.1.20. 선고 86도1728 판결) 원심이 같은 견해 아래 절도범인으로부터 그 정을 알면서 자기앞수표를 교부받아 이를 음식대금으로 지급하고 거스름돈을 환불받은 피고인의 소위를 사기죄가 되지 아니한다고 판단한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가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불가벌적 사후행위 및 사기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안우만(주심) 김용준 안용득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장물 수표 사용했다고 절도범으로 몰 수 있을까? - 유죄 입증 책임에 대한 생각

도난당한 수표를 사용한 피고인에게 절도 혐의가 있다고 의심되더라도, 검사가 합리적인 의심을 배제할 정도로 훔쳤다는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무죄로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절도#수표#증거불충분#무죄

형사판례

훔친 돈을 은행에 넣었다 빼면 깨끗한 돈이 될까? - 장물의 변신은 무죄?

훔친 돈이나 수표를 은행에 예금했다가 다시 현금으로 찾더라도 여전히 장물로 본다는 판결입니다. 돈은 그 자체보다는 금액이 중요하기 때문에, 형태가 바뀌어도 장물의 속성은 유지된다는 논리입니다.

#장물#은행예금#인출#현금

형사판례

장물 소지가 곧 절도죄인가요? - 절도죄 유죄 판결 파기 사례

도난당한 수표를 가지고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절도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피고인의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장물 소지만으로는 절도를 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장물#절도죄#유죄#증거재판주의

형사판례

훔친 카드로 현금서비스, 죄가 될까? 신용카드 부정사용과 절도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훔친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는 행위는 신용카드 부정사용죄일 뿐만 아니라 절도죄에도 해당하며, 이 두 죄는 별도로 처벌받는다.

#절도죄#신용카드 부정사용죄#현금서비스#실체적 경합

형사판례

훔친 통장으로 돈 찾으면 사기죄?!

훔치거나 강탈한 통장을 이용해 은행 직원을 속여 돈을 인출하는 행위는 단순히 훔친 물건을 처분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기죄에 해당한다.

#강취#통장#인출#사기죄

형사판례

훔친 카드로 현금 뽑으면 컴퓨터 사용 사기죄? 아니라고요!

훔친 신용카드로 현금자동지급기에서 돈을 뽑는 행위는 '컴퓨터등사용사기죄'가 아니라 '절도죄'에 해당한다.

#절도죄#컴퓨터등사용사기죄#현금인출#신용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