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락허가결정

사건번호:

93마929

선고일자:

19931110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경매대상 건물이 다른 건물과 합동되어 독립성을 상실한 경우 경매법원의 처리

판결요지

경매대상 건물이 인접한 다른 건물과 합동됨으로 인하여 건물로서의 독립성을 상실하게 되었다면 경매대상 건물만을 독립하여 양도하거나 경매의 대상으로 삼을 수는 없고, 이러한 경우 경매대상 건물에 대한 채권자의 근저당권은 위 합동으로 인하여 생겨난 새로운 건물 중에서 위 경매대상 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에 상응하는 공유지분 위에 존속하게 되므로 근저당권자인 채권자로서는 경매대상 건물 대신 위 공유지분에 관하여 경매신청을 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경매대상 건물에 관하여 생긴 위와 같은 사유는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준용되는 같은 법 제635조 제2항 단서, 제633조 제1호 소정의 경매한 부동산이 양도할 수 없는 것으로서 강제집행을 허가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하게 될 것이므로 경매법원으로서는 직권으로 위 건물에 대한 경락을 허가하지 아니하였어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635조 제2항, 제633조 제1호, 제643조 제3항, 제728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민사지방법원 1993.5.20.자 93라460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민사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1) 원심결정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부동산의 시가가 재항고인의 주장과 같이 고가라고 볼 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록상 이 사건 경매부동산에 대한 최저경매가격의 결정이나 그 저감절차에 아무런 위법사항을 찾아볼 수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 부동산의 경락가격이 시가에 비해 저렴하다는 사유의 주장은 단순히 경매부동산의 경락가격을 다투는 것으로서 이는 적법한 항고이유가 될 수 없다 할 것이고 그 밖에 이 사건 기록을 자세히 살펴보아도 달리 원심결정을 취소할 만한 아무런 사유가 발견되지 않는다 하여 재항고인의 이 사건 항고를 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2) 그러나 이 사건 기록, 특히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감정평가서(기록 제83장 이하)의 기재 등에 의하면 이 사건 경매대상 부동산은 서울 중구 (주소 1 생략) 대 68.7m2 및 그 지상 철근 콘크리트 벽돌조 슬래브지붕 5층 점포 총면적 280.99㎡(1,2층 각 51.57m2, 3,4층 각 58.18㎡, 5층 61.49㎡)의 건물로서 모두 재항고인의 소유인데 위 각 부동산 중 건물은 1989. 4. 27. 이 사건 경매신청 채권자인 주식회사 동방상호신용금고 명의로 근저당권이 설정된 후인 1991년경 대수선으로 인하여 재항고인과 소외 1의 공유인 위 (주소 2 생략) 지상 5층 총면적 154.7㎡의 건물 및 소외 2외 7명의공유인 위 (주소 3 생략) 지상 5층 총면적 221.5㎡의 건물과 결합되어현재에는 총면적 약 894㎡의 6층 건물로 변하였고, 위 새 건물 중에서 종전의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에 해당하는 부분을 특정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이 인접한 다른 건물과 합동(合棟)됨으로 인하여 건물로서의 독립성을 상실하게 되었다면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만을 독립하여 양도하거나 경매의 대상으로 삼을 수는 없다고 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에 대한 채권자의 근저당권은 위 합동으로 인하여 생겨난 새로운 건물 중에서 위 경매대상 건물이 차지하는 비율에 상응하는 재항고인의 공유지분 위에 존속하게 된다고 할 것이므로 근저당권자인 채권자로서는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 대신 위 재항고인의 공유지분에 관하여 경매신청을 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 경매대상 건물에 관하여 생긴 위와 같은 사유는 민사소송법 제728조에 의하여 이 사건 저당권의 실행을 위한 경매에 준용되는 같은 법 제635조 제2항 단서, 제633조 제1호 소정의 경매한 부동산이 양도할 수 없는 것으로서 강제집행을 허가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하게 될 것이므로 경매법원으로서는 직권으로 이 사건 건물에 대한 경락을 허가하지 아니하였어야 할 것 이며, 이처럼 이 사건 경매대상 토지와 그 지상 건물 중 건물에 관하여 경락불허의 사유가 있을 때에는 건물 뿐만 아니라 토지에 관하여도 경락을 불허함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당원 1971.4.20. 자 70마639 결정 참조) 경매법원이 이 사건 경매대상 부동산에 관하여 이 사건 경락을 허가한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위 각 규정은 같은 법 제643조 제3항에 의하여 항고심에도 준용되므로 원심으로서는 재항고인이 항고사유로서 위의 점을 주장하지 아니하였다 할지라도 직권으로 이러한 점을 심리하여 경매법원의 경락허가결정의 당부를 가려 보았어야 할 것이다. (3) 위와 같은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인의 재항고이유 제2점은 이유 있으므로 나머지 재항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배만운 김석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건물에 저당 잡혔는데, 옆 건물이랑 합쳐지면 어떻게 되나요? (경매 이야기)

저당 잡힌 건물이 다른 건물과 합쳐지면 원래 건물은 경매할 수 없지만, 합쳐진 건물에서 원래 건물 가치에 해당하는 지분을 경매할 수 있습니다.

#저당권#건물합병#경매#지분

민사판례

벽 허물고 하나된 건물, 경매는 어떻게?

여러 개의 구분 건물이 벽 등이 허물어져 하나의 건물처럼 사용되는 경우, 원래의 각 구분 건물에 대한 경매는 불가능하고, 합쳐진 전체 건물에서 원래의 구분 건물이 차지하는 비율만큼의 지분에 대해 경매를 진행해야 합니다. 다만, 합쳐지기 전 모든 구분 건물에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고 경매로 저당권이 모두 소멸되는 경우에는 일괄 매각이 가능합니다.

#구분건물#경매#독립성 상실#공유지분

민사판례

땅과 건물, 함께 경매해야 할까? 따로 경매해야 할까? 부동산 경매의 핵심 정리!

땅과 건물을 함께 경매하는 일괄경매의 정당성, 해외 거주자에 대한 공시송달의 적법성, 경매 시작 전 필수적인 절차 고지 의무, 감정평가의 중요성, 공유물 분할 시 경매 절차에 대한 판결.

#일괄경매#공시송달#경매개시결정#감정평가

민사판례

남의 건물을 경매로 샀다고 내 것이 될까요? 부합물과 경매에 대한 이야기

경매로 땅과 그 위에 있는 건물을 샀더라도, 같은 땅 위에 있지만 다른 사람 소유의 건물은 경매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다.

#경매#토지#건물#소유권

민사판례

벽 허물고 하나된 상가, 경매는 어떻게?

여러 개의 상가가 벽을 허물어 하나의 큰 상가로 합쳐진 경우, 원래 각각의 상가에 설정된 저당권을 근거로 합쳐지기 전의 개별 상가만 따로 경매에 넘길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가##경매#저당권

상담사례

땅 주인 바뀌었다고 경매 못한다고? 🙅‍♀️ 일괄경매, 이럴 땐 가능합니다!

저당권 설정 후 제3자가 지은 건물의 소유권이 토지 소유자에게 넘어간 경우에도 토지와 건물의 일괄경매가 가능하다.

#일괄경매#저당권#토지#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