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종근로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5816

선고일자:

199410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법인소득액 산정시 손금에 산입할 비용에 관하여 납세의무자가 신고한 비용 중 일부 금액이 허위임이 밝혀지거나 스스로 신고금액이 허위임을 시인하면서 같은 금액만큼의 다른 비용에 소요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 그 손금산입비용에 대한 입증책임

판결요지

과세처분의 위법을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처분의 적법성 및 과세요건사실의 존재에 관한 입증책임은 과세관청에 있으므로 법인세의 과세표준인 소득액 확정의 기초가 되는 손금에 산입할 비용액에 대한 입증책임도 원칙적으로 과세관청에 있으나, 납세의무자가 신고한 비용 중의 일부 금액이 실지비용인지의 여부가 다투어져서 그것이 허위임이 밝혀지거나 납세의무자 스스로 신고금액이 허위임을 시인하면서 같은 금액만큼의 다른 비용에 소요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그 다른 비용의 존재와 액수에 대하여는 납세의무자가 이를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26조[입증책임] , 법인세법 제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3.27. 선고 91누12912 판결(공1992,145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풍연물산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종식 【피고, 피상고인】 강남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4.13. 선고 93구224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과세처분의 위법을 이유로 그 취소를 구하는 소송에서 처분의 적법성 및 과세요건사실의 존재에 관한 입증책임은 과세관청에 있으므로 법인세의 과세표준인 소득액 확정의 기초가 되는 손금에 산입할 비용액에 대한 입증책임도 원칙적으로 과세관청에 있으나, 납세의무자가 신고한 비용 중의 일부금액이 실지비용인지의 여부가 다투어져서 그것이 허위임이 밝혀지거나 납세의무자 스스로 신고금액이 허위임을 시인하면서 같은 금액만큼의 다른 비용에 소요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그 다른 비용의 존재와 액수에 대하여는 납세의무자가 이를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당원 1992.3.27. 선고 91누12912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고가 손금으로 기장·신고한 일부 비용(선수금반환)항목이 허위이기는 하나 그와 같은 액수의 다른 비용으로 실지지출이 이루어진 것으로 주장하고 있는 이 사건에서, 원고 주장의 원심 판시 별도 비용의 지출사실에 부합하는 일부증거는 믿을 수 없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결국 피고의 이 사건 과세처분은 정당하다고 한 원심판시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경험칙에 반한 사실인정을 하였다거나 손금의 입증책임에 관한 법리오해와 이유모순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사 비용 인정, 누가 증명해야 할까? - 법인세 분쟁에서의 입증책임

회사가 세금 계산에서 비용으로 인정받으려면 (손금산입) 그 비용을 실제로 썼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데, 이 증명 책임은 기본적으로 세무서에 있지만, 회사가 신고한 비용이 가짜라고 의심할 만한 상황이라면 회사가 증명해야 합니다. 또한, 회사가 매출을 숨긴 경우, 그 매출에 들어간 비용도 회사가 증명해야 세금에서 뺄 수 있습니다.

#법인세#손금#입증책임#비용

세무판례

사업 비용, 세금계산서만 있으면 무조건 인정될까?

사업자가 비용으로 신고한 금액 중 일부에 대한 세금계산서가 허위로 작성된 것이 **상당히 의심될 정도로** 증명된 경우에만, 사업자에게 그 비용을 실제로 지출했는지 증명할 책임이 넘어간다. 단순히 의심스럽다고 해서 바로 사업자에게 증명 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

#세금계산서#비용증명책임#허위#상당한 의심

세무판례

세금계산서가 허위일 때, 누가 증명해야 할까요? 그리고 대표자에게 상여로 처분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회사가 허위 세금계산서를 사용하여 비용을 부풀리고,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노무비(가공 노무비)를 계상하여 세금을 적게 낸 것에 대한 세무서의 과세 처분이 적법한지, 그리고 세금을 적게 낸 책임을 회사 대표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물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허위 세금계산서#가공 노무비#법인세#인정상여

세무판례

유류 공급업체의 법인세 분쟁, 과연 누구의 책임일까?

기업이 허위 세금계산서를 이용하여 부당하게 비용을 처리한 경우, 실제로 비용이 지출되었는지 증명할 책임은 기업에게 있다.

#허위 세금계산서#비용처리#입증책임#납세자

세무판례

숨겨진 수입, 비비용 공제는 내가 증명해야 할까?

세무조사에서 누락수입이 발견되면, 납세자는 그 수입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출했다는 사실을 스스로 입증해야 비용으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입증하지 못하면 누락수입 전체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합니다.

#누락수입#과세#비용공제#입증책임

세무판례

세금계산서가 허위일 때, 비용 증명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그리고 세금 부과처분이 변경되었을 때는 어떻게 불복해야 할까?

* 세금계산서가 허위로 밝혀진 비용에 대해서는 납세자가 실제 지출을 입증해야 합니다. * 세금이 증액되는 경정처분이 있으면, 이전 처분은 효력을 잃고 증액된 최종 처분만 소송 대상이 됩니다.

#세금계산서 허위#비용 증명책임#증액경정처분#소송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