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산)

사건번호:

94다29461

선고일자:

199410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하도급공사계약에서 하수급인이 발생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기로 약정한 경우 하도급인의 설계 잘못으로 인한 책임까지 면제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하도급공사계약에서 노무하수급인이 공사에 필요한 안전대책을 하여야 하고 발생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기로 약정하였다면, 노무하수급인의 안전관리 소홀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로 인한 손해는 하도급인과 하수급인의 내부관계에 있어서 하도급인에게 책임이 없고 하수급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취지에 불과한 것이지, 하도급인이 설계를 잘못한 과실로 야기된 사고에 대하여서까지 하도급인의 책임을 면하게 하고 하수급인만이 책임을 진다는 취지라고는 볼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05조 , 제750조 , 제75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이상화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광희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에스엠 건영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정서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5.3. 선고 93나4966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사고는 피고와의 노무도급계약에 의하여 이 사건 철골공사를 노무하도급받은 원고 이상화가 무게 약 200kg의 에이치 빔을 철근콘크리트 벽에 부착시키는 데 사용한 세트앙카가 위 철골구조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콘크리트 측면벽에서 뽑히면서 부착되어 있던 에이치 빔이 무너져 내려 위 에이치 빔 위에서 작업을 하고 있던 위 원고가 지상으로 추락하여 일어난 것인데, 피고 회사는 철골공사의 설계를 함에 있어 위 건물벽의 콘크리트 강도가 약하므로 철골구조물의 무게를 더 가벼운 것으로 설계하든가 또는 박히는 깊이가 50-60mm 정도에 불과한 세트앙카를 사용할 것이 아니라 박히는 깊이가 200-250mm 정도 되는 케미칼 앙카를 사용하도록 설계하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문설계사에게 설계를 의뢰하지 아니하고 대표이사인 소외 안오은이 직접 설계를 하면서 깊이 박히지 아니하는 세트앙카로 위와 같이 무거운 철골구조물을 부착하도록 설계하여 위 원고에게 세트앙카만을 재료로서 제공한 결과 위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인정하고, 이 사건 사고는 피고 회사가 철골공사를 설계함에 있어서 저지른 위와 같은 과실로 인하여 발생하였으므로 피고 회사는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원고들이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고, 피고와 위 원고의 계약에서 위 원고가 공사에 필요한 안전대책을 하여야 하고 발생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기로 약정한 것은 노무하수급인인 위 원고의 안전관리 소홀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로 인한 손해는 피고와 위 원고의 내부관계에 있어서 피고에게 책임이 없고 위 원고에게 책임이 있다는 취지에 불과한 것이지, 이 사건 사고와 같이 피고가 설계를 잘못한 과실로 야기된 사고에 대하여서까지 피고의 책임을 면하게 하고 위 원고만이 책임을 진다는 취지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하여 피고에게는 책임이 없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은, 철골기술자인 원고 이상화로서도 철골구조물의 중량이 무거워 세트앙카만으로는 철골을 지탱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이를 피고 회사에게 고지하여 피고 회사로부터 세트앙카 외에 턴버클을 설치하도록 지시를 받았으므로 턴버클이 설치되기 전에는 철골구조물 위에 올라가 작업을 하지 아니하고 비계틀 등을 이용하여 철골작업을 하여야 하고 부득이 철골구조물 위로 올라가 작업을 할 때에는 일시적이나마 지탱력을 보강시키는 조치를 취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 과실이 있다고 하여 이 사건 사고 발생에 대한 원고의 과실비율을 30%로 정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조치 또한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과실상계의 비율 결정에 관한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성택(재판장) 안용득 지창권(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현장 추락사고, 하도급 현장소장의 책임은?

하도급 공사현장에서 안전덮개가 없는 옥상 개구부로 작업자가 추락하여 다친 사고에서, 현장 안전관리 책임자에게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인정된 사례.

#공사현장#안전관리 책임자#업무상 과실치상#안전덮개

형사판례

건설현장 붕괴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 사업주, 하도급, 감리의 안전관리 의무

건설현장 붕괴사고 발생 시, 원수급인은 현장 안전관리 의무를 지지만, 하수급인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조치 의무 주체가 아니라는 판결. 공사감리자는 감리업무 소홀로 사고 발생 시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책임을 진다.

#건설현장 붕괴사고#책임소재#원수급인#하수급인

민사판례

아파트 승강기 사고, 누구 책임일까요? 하도급과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고찰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엘리베이터 설치 업체(원수급인)가 면허 없는 업체(하수급인)에 엘리베이터 옮기는 작업(양중작업)을 맡겼는데, 사고가 나서 사람이 다쳤습니다. 이때 면허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업체에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엘리베이터#양중작업#사고#원수급인

형사판례

건설현장 사고 책임, 누구에게 있을까? 도급과 안전관리 책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추락사고에 대해 원도급인과 하도급인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한 사례. 원도급인은 공사 전체를 하도급 준 경우 안전조치 의무가 없지만, 구체적인 지시·감독을 했다면 의무가 있다. 하도급인은 법령과 안전규칙에 명시된 안전조치를 했는지가 중요하며, 추가적인 조치 미흡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

#건설현장 추락사고#원도급인 안전조치 의무#하도급인 안전조치 의무#지시·감독

민사판례

하도급 공사 중 사망사고, 누구의 책임일까요?

건설현장에서 하도급을 준 경우, 도급인은 수급인(하청업체)의 직원을 자신의 직원처럼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를 지키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면 도급인은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하도급#감전사고#도급인 책임#안전의무

민사판례

하도급 공사 중 사고, 누가 책임질까요? - 산재보험과 구상권

건설 현장처럼 여러 단계의 하도급이 있는 경우, 하도급 업체의 과실로 소속 근로자가 다쳐도, 근로복지공단은 하도급 업체에 보험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도급 업체도 원도급 업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산재보험에 가입된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하도급#산재#구상권#근로복지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