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금등

사건번호:

94다34630

선고일자:

199511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하천법상의 관리청이 제방을 축조한 경우, 그 제방 부지는 별도의 지정처분 없이 당연히 하천구역으로서 국유로 되는지 여부 [2] 하천법 소정의 하천부속물의 부지가 하천구역이 되어 국유가 된 경우, 명시적인 보상규정이 없더라도 그 소유자가 입은 손실을 보상하여야 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1] 하천법 제2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하천의 제방 부지로서 같은 법 제11조 단서 소정의 관리청이 그 지상에 제방을 축조하였다면, 그 제방의 부지는 관리청에 의한 지정 처분이 없어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연히 하천구역이 되어 국유로 된다. [2] 구 하천법 부칙(1984. 12. 31.) 제2조 제1항의 규정상 하천법 제2조 제1항 제2호 (나)목 소정의 하천부속물의 부지에 관하여는 명시적인 보상규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유수지 및 제외지와 더불어 하천구역이 되어 국유로 된 이상 그로 인하여 소유자가 입은 손실은 보상되어야 하고, 그 보상 방법을 유수지 및 제외지 등에 관한 것과 달리할 아무런 합리적인 이유를 찾아볼 수 없으므로, 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공포된 구 하천법의 시행일인 같은 해 7. 20. 이전에 그 제방을 축조한 관리청은 위 개정된 구 하천법 부칙 제2조 제1항을 유추적용하여 그 제방 부지의 소유자에게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1] 하천법 제2조 제1항 / [2] 구 하천법 부칙(1984. 12. 31.) 제2조 제1항, 하천법 제2조 제1항 제2호 (나)목, 제74조 제2항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4. 6. 28. 선고 93다46827 판결(공1994하, 2086), 대법원 1994. 11. 18. 선고 93다30686 판결(공1995상, 45) / [1] 대법원 1994. 11. 4. 선고 92다40051 판결(공1994하, 3229) / [2]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4카36 판결(공1986, 231), 대법원 1988. 12. 20. 선고 88누1059 판결(공1989, 200), 대법원 1995. 4. 25. 선고 94재다260 전원합의체 판결(공1995상, 1858)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충청남도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병열) 【원심판결】 대전고등법원 1994. 6. 21. 선고 93나557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하천법 제2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하천의 제방 부지로서 같은 법 제11조 단서 소정의 관리청이 그 지상에 제방을 축조하였다면 그 제방의 부지는 관리청에 의한 지정처분이 없어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당연히 하천구역이 되어 국유로 된다 고 할 것인바( 당원 1994. 11. 4. 선고 92다40051 판결 참조), 1984. 12. 31. 법률 제3782호로 개정된 하천법 부칙 제2조 제1항은 "이 법 시행 전에 토지가 제2조 제1항 제2호 (가)목(이하 '유수지'라 한다)에 해당되어 하천구역으로 되었거나, 1971. 1. 19. 공포된 법률 제2292호의 시행으로 제외지 안에 있던 토지(이하 '제외지'라 한다)가 국유로 된 경우에는 관리청이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제2조 제1항 제2호 (나)목 소정의 하천부속물의 부지에 관하여는 명시적인 보상규정이 없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유수지 및 제외지와 더불어 하천구역이 되어 국유로 된 이상 그로 인하여 소유자가 입은 손실은 보상되어야 하고, 그 보상 방법을 유수지 및 제외지 등에 관한 것과 달리할 아무런 합리적인 이유를 찾아볼 수 없으므로, 1971. 1. 19. 법률 제2292호로 공포된 하천법의 시행일인 같은 해 7. 20. 이전에 그 제방을 축조한 관리청은 위 개정된 하천법 부칙 제2조 제1항을 유추적용하여 그 제방 부지의 소유자에게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그 거시 증거에 의하여 원고 소유인 이 사건 토지는 위 법률 제2292호로 공포된 하천법의 시행 전에 피고의 대표자인 도지사가 관리하는 직할하천인 삽교천의 제방 부지인 토지의 구역으로 편입되어 하천구역으로 된 사실을 적법히 인정한 다음, 피고는 위 개정된 하천법 부칙 제2조 제1항의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원고에게 그 손실을 보상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사실오인이나 하천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하천 제방 설치와 토지 소유권에 관한 법률 이야기

국가가 하천 제방을 설치하면 그 땅은 자동으로 국가 소유가 되며, 원래 땅 주인은 토지 가격에 대한 보상만 받을 수 있고, 임대료처럼 사용료를 따로 받을 수는 없습니다.

#하천 제방#국유화#손실보상#토지보상

민사판례

하천 제방은 누구 땅? 국가 땅!

하천 제방은 따로 지정 절차 없이도 법적으로 하천 구역에 속하며, 국가 소유가 된다.

#하천 제방#국가 소유#하천 구역#하천법

일반행정판례

1971년~1984년 사이 하천구역에 포함된 땅, 보상받을 수 있을까?

1971년 7월 20일부터 1984년 12월 31일 사이에 하천 구역에 포함되어 국유가 된 제방 부지와 제외지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보상 규정이 없더라도 정부가 소유자에게 손실을 보상해야 한다.

#하천 구역 편입#제방 부지#제외지#보상

민사판례

내 땅인데 왜 국가 소유가 되었다는 거죠? 하천과 공공용지에 관한 토지 소유권 분쟁 이야기

이 판례는 공공용지 취득 절차를 간소화한 특례법에 따라 이루어진 소유권 이전 등기의 효력과 하천 제방 및 그 주변 땅의 소유권에 대해 다룹니다. 간소화된 절차에 따른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한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하천 제방은 국가 소유라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공공용지 취득#등기 효력#하천 제방#소유권

민사판례

옛날 하천법으로 지정된 제방, 지금도 국가 땅일까?

옛날 하천법으로 하천 구역으로 지정된 땅이라도, 현재 하천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국가 땅이라고 볼 수 없다.

#하천#제외지#국유지#제방

민사판례

하천부지,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토지 취득시효와 하천구역

하천대장에 등재되었다고 무조건 하천구역은 아니며, 하천구역 지정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부동산을 여러 번 거쳐 산 경우, 등기 과정을 생략하려면 모든 관련 당사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하천부지#취득시효#하천구역#하천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