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세환급

사건번호:

94다34760

선고일자:

1994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법인세부과처분이 취소된 경우 그에 따른 법인세할 주민세의 부과처분이 당연무효가 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법인세할 주민세는 비록 법인세액을 그 과세표준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는 지방세로서 국세인 법인세와는 그 부과주체, 과세요건, 부과절차 등에 있어 서로 다른 별개의 조세이므로 법인세 부과에 대한 불복과는 별도로 법인세할 주민세에 대하여 불복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법인세부과처분이 취소되었다고 하더라도 그에 따른 법인세할 주민세의 부과처분이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때에 해당하여 당연무효가 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지방세법 제173조 , 행정소송법 제1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6.28. 선고 83누140 판결(공1983,1208), 1986.6.10. 선고 85누678 전원합의체판결(공1986,88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테크니까즈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의재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용락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6.7. 선고 94나538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법인세할 주민세는 비록 법인세액을 그 과세표준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는 지방세로서 국세인 법인세와는 그 부과주체, 과세요건, 부과절차 등에 있어 서로 다른 별개의 조세이므로 법인세 부과에 대한 불복과는 별도로 법인세할 주민세에 대하여 불복할 수 있는 것이고(당원 1983.6.28. 선고 83누140 판결; 1986.6.10. 선고 85누678 판결 등 참조), 따라서 법인세부과처분이 취소되었다고 하더라도 그에 따른 법인세할 주민세의 부과처분이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때에 해당하여 당연무효가 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견해를 달리하여 원심판결을 공격하는 논지는 받아들이기 어렵다. (2)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소론과 같은 주민세 환급관행이 성립되었으므로 신의성실의 원칙상 이 사건 법인세할 주민세를 반환할 의무가 있다는 원고의 주장을 설시와 같은 이유로 배척한 조치도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논지는 이유 없으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법인세와 주민세, 별개로 다툴 수 있을까?

법인세 납부에 대한 이의제기와는 별도로, 법인세 계산 자체가 잘못되었다면 법인세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에 대해서도 따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법인세할 주민세#불복#법인세#별개

세무판례

법인세와 근로소득세, 따로따로 불복해야 할까? 그리고 세금 부과 취소 소송, 얼마나 취소될까?

회사 소득에 대한 법인세와 직원 급여에 대한 소득세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법인세 불복 절차를 거쳤다고 해서 소득세 불복 절차를 생략할 수 없다. 또한, 세금 부과처분이 잘못되었더라도 전체가 아니라 잘못된 부분만 취소해야 한다.

#법인세#소득세#별개 과세처분#불복절차

세무판례

세금 소송, 피고 잘못 지정했다고 바로 각하? 안됩니다! +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 언제 해야 할까요?

세금 관련 소송에서 소송 상대방(피고)을 잘못 지정했더라도 법원은 소송을 바로 기각해서는 안 되고, 원고에게 올바른 피고를 지정하도록 알려줘야 한다. 또한, 법인세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법인세를 기준으로 법인세할 주민세 납부 의무가 새롭게 발생한다.

#세금소송#피고 지정 오류#석명권#법인세할 주민세

민사판례

결손금 소급공제 받았다고 지방세도 돌려받을 수 있을까?

과거의 결손금을 공제받아 법인세를 환급받았더라도, 그와 별개로 납부했던 지방세(법인세할 주민세)는 자동으로 환급되지 않는다.

#결손금 소급공제#법인세 환급#지방세(법인세할 주민세) 환급#별개의 세금

세무판례

소득세와 별도로 소득세할 주민세 불복, 가능할까요?

소득세가 잘못 부과되었다고 생각하면 소득세 취소 소송뿐 아니라, 그 소득세에 따라 부과된 소득세할 주민세의 취소 소송도 따로 제기할 수 있습니다.

#소득세할 주민세#소득세#별도 소송#취소소송

민사판례

회사 법인세 취소소송 승소가 주주 세금 환급에 미치는 영향은?

회사가 낸 법인세가 잘못 부과되어 취소된 경우, 그와 관련된 주주의 소득세 환급 청구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국가가 소멸시효를 주장하는 것이 권리남용인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회사의 법인세 소송과 주주의 소득세 환급 청구는 별개이므로, 주주는 소멸시효 안에 직접 환급을 청구해야 하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경우 국가가 소멸시효를 주장하는 것은 권리남용이 아닙니다.

#법인세 취소소송#주주 소득세 환급#소멸시효#권리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