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방해,변호사법위반

사건번호:

94도2142

선고일자:

199411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동업자 사이의 무모한 출혈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질적으로 단독입찰을 하면서 경쟁입찰인 것같이 가장하였다면 입찰방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입찰방해죄는 위태범으로서 결과의 불공정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요하는 것이 아니며, 그 행위에는 가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뿐 아니라 적법하고 공정한 경쟁방법을 해하는 행위도 포함되므로, 그 행위가 설사 동업자 사이의 무모한 출혈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여 입찰가격에 있어 입찰실시자의 이익을 해하거나 입찰자에게 부당한 이익을 얻게 하는 것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는 단독입찰을 하면서 경쟁입찰인 것같이 가장하였다면 그 입찰가격으로서 낙찰하게 한 점에서 경쟁입찰의 방법을 해한 것이 되어 입찰의 공정을 해한 것으로 되었다 할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31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6.7.13. 선고 74도717 판결(공1976,9301), 1988.3.8. 선고 87도2646 판결(공1988,725), 1991.10.22. 선고 91도1961 판결(공1991,287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국홍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4.6.29. 선고 94노126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입찰방해죄는 위태범으로서 결과의 불공정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요하는 것이 아니며, 그 행위에는 가격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뿐 아니라 적법하고 공정한 경쟁방법을 해하는 행위도 포함되므로, 그 행위가 설사 동업자 사이의 무모한 출혈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여 입찰가격에 있어 입찰실시자의 이익을 해하거나 입찰자에게 부당한 이익을 얻게 하는 것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는 단독입찰을 하면서 경쟁입찰인 것같이 가장하였다면 그 입찰가격으로서 낙찰하게 한 점에서 경쟁입찰의 방법을 해한 것이 되어 입찰의 공정을 해한 것으로 되었다 할 것인바( 당원 1988.3.8. 선고 87도2646 판결 참조),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제1심이 적법하게 조사 채택한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인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입찰방해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또한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용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피고인의 이 사건 변호사법위반의 범죄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점 논지 역시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담합으로 낙찰? 입찰방해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여러 업체가 서로 짜고 경쟁 입찰인 것처럼 가장하여 실질적으로 한 업체만 낙찰받도록 조작한 경우, 비록 입찰 주최 측에 금전적 손해를 끼치지 않았더라도 입찰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담합#실질적 단독입찰#입찰방해죄#형법 제315조

형사판례

담합 후 배신, 낙찰받았다고 무죄? - 입찰방해죄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업체가 입찰에서 특정 업체가 낙찰받도록 담합했는데, 담합에 참여한 업체 중 하나가 담합 약속을 어기고 더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여 낙찰받았다면 이는 입찰방해죄에 해당한다.

#입찰방해죄#담합#배신#위태범

형사판례

입찰 담합, 낙찰 결과와 상관없이 처벌될 수 있다!

입찰 담합은 실제로 입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도 입찰의 공정성을 해칠 위험이 있으면 처벌된다.

#입찰 담합#처벌#위태범#공정성

일반행정판례

담합? 그게 뭔데? 입찰 담합, 걸리면 큰일나요!

입찰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서로 경쟁하지 않고 입찰 분야를 나눠 먹기로 했다면, 설사 각 기업의 낙찰 가능성이 낮았더라도 이는 불법적인 담합 행위에 해당한다.

#입찰 담합#경쟁 제한#낙찰 가능성#공정거래

형사판례

입찰 담합과 자본금 가장납입에 대한 법원의 판단

다른 업체와 담합하여 허위 입찰로 입찰 경쟁을 방해하고, 회사 설립 시 자본금을 가장납입한 행위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린 사례.

#위장입찰#가장납입#입찰방해죄#납입가장죄

형사판례

고속도로 휴게소 운영권 입찰 담합, 과연 괜찮을까?

여러 회사가 입찰에서 담합하여 낙찰 확률을 높이고, 담당 직원에게 뇌물을 제공한 사건. 법원은 일부 회사 간의 담합만으로도 입찰방해죄가 성립하고, 뇌물을 다른 사람(처제) 명의로 받더라도 배임수재죄가 성립할 수 있다고 판단.

#고속도로 휴게소#운영권 입찰#담합#입찰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