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예비적죄명:변호사법위반)

사건번호:

94도474

선고일자:

1994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이 구 변호사법 제78조 소정의 공무원인지 여부

판결요지

자연공원법 제49조의12의 규정 취지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에게 형법이나 자연공원법 등에 의한 벌칙을 적용하는 경우에 이들 임직원을 공무원으로 의제한다는 의미에 불과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있어서도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이 당연히 공무원으로 의제된다거나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한다는 취지는 아니므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은 구 변호사법(1993.3.10. 법률 제45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8조에서 규정하는 공무원이라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자연공원법 제49조의12 , 구 변호사법 제78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76.9.14. 선고 76도1987 판결(공1976,935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 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4.1.14. 선고 93노668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1.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설립근거가 되는 자연공원법이 그 제49조의12에서 "공단의 임원 및 직원은 형법 기타 법률에 위한 벌칙의 적용에 있어서는 이를 공무원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취지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에게 형법이나 자연공원법 등에 의한 벌칙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임·직원을 공무원으로 의제한다는 의미에 불과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있어서도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이 당연히 공무원으로 의제한다거나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한다는 취지는 아니라고 할 것이고 ( 당원 1976.9.14. 선고 76도1987 판결 참조), 따라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임·직원은 변호사법(1993. .10. 법률 제45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8조에서 규정하는 공무원이라고 말할 수 없고, 그들이 취급하는 사건이나 사무가 같은 법조 제1호가 규정하는 공무원이 취급하는 사건 또는 사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2. 원심이 같은 견해 아래, 피고인이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에게 호텔증축허가와 관련된 청탁을 한다는 명목으로 공소외 송윤진으로부터 금품을 교부받았다는 내용의 이 사건 변호사법위반의 공소사실에 대하여, 피고인이 청탁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였다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사장은 공무원의 신분을 보유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피고인이 그와 같이 청탁의 명목으로 금품을 교부받았다 하더라도 같은 법조 제1호 위반죄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조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자연공원법 제49조의12 소정의 공무원 의제규정과 위 변호사법 제78조 제1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배만운(주심) 김주한 정귀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수자원공사 사장, 변호사법 위반으로 처벌될까? - 공무원 의제 범위에 대한 논쟁

정부투자기관 임원이 변호사법상 알선수재죄로 처벌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대법원은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으로 나뉘어 치열한 법리 다툼을 벌였고, 최종적으로 다수의견에 따라 처벌할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쟁점은 정부투자기관 임원이 "법령에 의하여 공무원으로 보는 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사장#변호사법#알선수재죄

형사판례

국민권익위원회 기간제 근로자는 공무원일까요? 공무집행방해죄 성립 여부를 둘러싼 법적 공방!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청사 안전관리 및 민원 안내 업무를 하는 기간제 근로자는 형법상 공무원으로 볼 수 없으므로, 그 직원의 업무를 방해했다고 해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기간제근로자#공무원#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도로교통공단 임직원, 뇌물죄 적용 시 공무원으로 볼 수 있을까? - 공공기관운영법 vs. 도로교통법

도로교통공단 임직원에게 뇌물죄 적용 시 공무원으로 간주하는 법률이 두 개 존재하는데, 이 두 법률은 서로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다른 상황에 적용된다는 판결. 즉, 도로교통공단 임직원의 비리를 처벌할 때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법률에 의해 공무원으로 의제되어 처벌받을 수 있다.

#도로교통공단#임직원#공무원 의제#뇌물죄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관리공단 직원의 근무 관계는 사법관계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관리공단(이하 '공단') 직원의 고용 관계는 국가와의 특수한 관계인 공법(公法) 관계가 아닌, 일반적인 회사와 직원 간의 관계처럼 사법(私法) 관계에 해당한다.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의료보험관리공단#직원#근무관계#사법관계

민사판례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 근로자성 인정 판례 해설

법무법인에 소속된 변호사라도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종속되어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로 인정되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 단순히 '구성원 변호사'라는 직함이나 등기 여부가 아니라 실제 근무 형태를 봐야 한다. 또한, 퇴직금을 미리 나누어 지급하는 약정은 무효이며, 그러한 약정이 실제로 존재했는지 엄격하게 따져봐야 한다.

#변호사 근로자성#퇴직금 청구#퇴직금 분할 약정 무효

상담사례

법무법인 변호사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 근로자성 판단 기준

법무법인 소속 변호사라도 구성원 등기 여부와 관계없이 실질적인 업무 형태, 보수 지급 방식, 법무법인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근로자성을 판단, 퇴직금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

#변호사#퇴직금#근로자성#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