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5308

선고일자:

199603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업자가 공공용 매립지조성공사를 하고 그 일부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인 용역의 공급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다른 공동사업자와 함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선착장, 어민복지시설, 위락시설부지 및 택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해운항만청장으로부터 공유수면매립법에 의한 면허를 받아 위 법인이 그 비용을 전담하여 매립지조성공사를 시행한 끝에 그 준공인가를 얻은 후 관련 법령 및 당사자 사이의 약정에 따라 위 매립으로 인하여 조성된 토지 56,646㎡ 중 19,677.64㎡는 위 법인이 그 소유권을 취득하고 제방 1,742㎡는 국가에, 도로용지 17,018㎡는 부산직할시에, 나머지 18,208.36㎡는 다른 공동사업자에게 각 그 소유권이 귀속되었다면, 위 법인은 국가와 부산직할시 등에 위와 같은 토지매립공사의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매립지 중 일부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서 위 법인의 용역 제공과 매립토지 일부의 소유권 취득과의 사이에는 경제적·실질적 대가관계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매립지조성공사는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부가가치세법 제1조, 제7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1. 3. 12. 선고 90누6972 판결(공1991, 1196), 대법원 1991. 3. 12. 선고 90누7227 판결(공1991, 1199), 대법원 1991. 8. 27. 선고 90누9247 판결(공1991, 2459),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누2400 판결, 대법원 1993. 5. 25. 선고 93누4809 판결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대창기업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동진 외 2인) 【피고,피상고인】 남대문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10. 4. 선고 95구320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인 원고회사가 1985. 4. 3. 소외 김무성 등과 함께 그 판시의 공유수면을 매립하여 선착장, 어민복지시설, 위락시설부지 및 택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해운항만청장으로부터 공유수면매립법에 의한 면허를 받아 원고가 그 비용을 전담하여 매립지조성공사를 시행한 끝에 1989. 6. 9. 그 준공인가를 얻은 후 관련 법령 및 당사자 사이의 약정에 따라 위 매립으로 인하여 조성된 토지 56,646㎡ 중 19,677.64㎡는 원고가 그 소유권을 취득하고 제방 1,742㎡는 국가에, 도로용지 17,018㎡는 부산직할시에, 나머지 18,208.36㎡는 위 김무성 등 공동사업자에게 각 그 소유권이 귀속된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사실관계가 위와 같다면 원고는 국가와 부산직할시 등에 위와 같은 토지매립공사의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매립지 중 일부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서 원고의 이 사건 용역 제공과 매립토지 일부의 소유권 취득과의 사이에는 경제적·실질적 대가관계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 사건 매립지조성공사는 부가가치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용역의 공급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92. 9. 25. 선고 92누2400 판결, 1993. 5. 25. 선고 93누4809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여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용역의 공급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소론은 원고가 자기 사업으로 매립사업을 시행하고 그 결과 관련 법령에 의하여 일부 매립지의 소유권을 취득한 것에 불과하여 용역의 공급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나, 이는 이 사건 매립조성공사의 성격을 앞서 본 당원의 견해와 달리 해석하는 것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바다를 땅으로 만드는 매립공사, 부가가치세 내야 할까?

바다를 매립해서 만든 땅의 일부를 매립 사업자가 소유권으로 받는 경우, 이는 국가에 용역을 제공하고 그 대가를 받은 것으로 보아 부가가치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부가가치세는 매립된 땅값이 아니라 총 공사비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공유수면매립#토지취득#부가가치세#공사비

세무판례

바다를 메워 땅을 만들면 세금을 내야 할까? 매립지와 부가가치세

바다를 매립해서 땅을 만들고 그 땅의 소유권을 얻으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설령 과거에 세금을 안 냈더라도, 명확한 비과세 관행이 없었다면 세금을 내야 하고, 이를 입증할 책임은 납세자에게 있다.

#공유수면매립#토지소유권#부가가치세#과세대상

세무판례

바닷가 땅 매립하고 돈 벌면 세금 내야 할까? 사업소득과 세금에 대한 이야기

공유수면 매립공사로 얻은 수익은 사업소득에 해당하며, 동업계약에 따른 이익 분배금 역시 사업소득으로 과세 대상입니다. 단순 토지 양도에 대한 비과세 규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공유수면 매립#사업소득#과세#동업계약

세무판례

바닷가 땅 매립해서 팔았는데… 이것도 회사 업무라고요? (비업무용 토지 판단)

회사가 바다를 매립해서 얻은 땅을 4년 안에 팔았다면, 그 땅은 회사 업무에 사용한 것으로 보고 세금을 매길 때 업무용 토지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바다 매립#업무용 토지#세금#대창건설

세무판례

바다를 땅으로 만들었을 때 내야 하는 세금은? (종합토지세)

바다를 매립해서 새로 생긴 땅도 종합토지세 과세 대상이며, 사용 허가를 받은 날부터 세금 납부 의무가 생깁니다. 또한, 정부가 정한 토지 가격 기준표는 특정 목적에만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종합토지세#매립지#과세대상#납세의무

민사판례

허가 없이 바다 매립하면 국가 땅! 공사비 보상은 없다?

허가 없이 매립한 땅을 국가가 국유화했을 때, 국가가 매립 비용만큼 부당이득을 얻은 것은 아니다.

#무허가 매립#국유화#부당이득 반환 청구#원상복구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