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5다1187

선고일자:

199507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통사고로 좌측경골골절 등의 상해를 입고 입원치료 중 의사의 지시에 따라 목발보행을 하다가 넘어져 추가상해를 입은 경우, 추가상해에 관한 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교통사고로 왼쪽 다리뼈가 부서지고 골수염이 생기는 상해를 입은 피해자가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던 중 다리가 약해지는 현상이 생겨 담당의사의 지시에 따라 목발보행을 하다가 넘어지면서 추가상해를 입게 된 경우, 그 추가상해는 교통사고로 입은 상해가 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치료의 한 방법으로 다리의 근육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담당의사의 지시에 따라 목발보행을 하다가 넘어져 입은 것이라는 이유로, 교통사고와의 사이에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5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5.23. 선고 87다카2723 판결(공1989,974), 1993.1.26. 선고 92다4871 판결(공1993상,849), 1994.11.25. 선고 94다35671 판결(공1995상,9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4.11.23. 선고 94나18804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원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그 판시와 같은 자동차 추돌사고로 원고에게 좌측 경골 간부 개방성분쇄골절 등의 상해를 입힌 사실과 원고가 위 사고로 인하여 입원치료를 받던 중인 1992.5.18. 입원병원인 소외 한강성심병원 복도에서 넘어져 좌측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상해(이하 추가상해라 한다)를 입은 사실을 각 확정한 다음, 위 추가상해에 대하여는 피고에게 책임이 있다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하여 원고의 위 추가상해로 인한 후유장애로 발생한 일실소득과 기왕의 치료비 및 향후치료비 청구를 모두 배척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이 배척하지 아니한 제1심 증인 소외 1, 소외 2의 각 증언에 의하면, 원고는 이 사건 교통사고로 왼쪽 다리뼈가 부서지고 골수염이 생기는 상해를 입고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위 한강성심병원에 입원한 사실, 원고는 위 병원에서 위 사고로 3개월간 병상에 누워서 치료를 받아 왔는데 그로 인하여 다리가 약해지는 현상이 생겨 위 병원 담당의사 정형외과 과장인 소외 3의 지시에 따라 1992.2.중순부터 목발보행을 시작한 사실, 원고는 같은 해 5.18. 아침식사 후 혼자서 목발보행을 하며 화장실을 가다가 병실 앞 복도에 넘어지면서 위 추가상해를 입게 된 사실 등을 엿볼 수 있는바, 원고가 위 추가상해를 입게 된 경위가 위와 같다면 그 추가상해는 이 사건 교통사고로 입은 상해가 완치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치료의 한 방법으로 다리의 근육을 튼튼히 하기 위하여 담당의사의 지시에 따라 목발보행을 하다가 넘어져 입은 것으로 이 사건 교통사고와의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보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원고가 위 추가상해를 입게 된 경위를 자세히 심리·판단하지도 아니한 채 만연히 피고에게 책임지을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이 부분에 관한 원고의 청구를 배척한 것은 필경 불법행위에 있어서 인과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을 저질렀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의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과 2차 사고로 인한 사망,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교통사고로 다친 사람이 그 사고 후유증 때문에 다른 사고로 사망했을 경우, 첫 번째 교통사고 가해자는 사망과 관계없이 피해자가 정상적으로 일할 수 있는 나이까지의 수입 손실을 배상해야 한다.

#교통사고#후유증#2차사고#사망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손해배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로 다친 피해자의 손해배상액을 정할 때, 사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더라도 피해자의 기존 질병이나 체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배상액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다리 여러 부위를 다쳤을 경우, 각 부위의 장해율을 합한 것이 다리를 절단했을 때보다 높더라도 그대로 인정할 수 있다.

#교통사고#손해배상#기존질병#하지장해율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 입원 치료 중 발생한 의료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의사의 부주의로 인해 심근염, 뇌경색 등의 추가적인 질병을 얻게 된 경우, 초기 교통사고를 야기한 보험사와 의료사고를 일으킨 의사 모두 배상 책임이 있다는 판결.

#교통사고#의료사고#심근염#뇌경색

상담사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자살, 가해자 책임 물을 수 있을까요?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인한 자살은 가해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지만, 피해자 본인의 책임도 고려되어 배상액이 감액될 수 있다.

#교통사고#후유증#자살#상당인과관계

상담사례

교통사고 치료비, 나중에 돌려줘야 할 수도 있다?!

교통사고 피해자라도 과실이 있다면, 이미 보험사에서 받은 치료비 중 본인 과실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손해배상 소송에서 돌려줘야 할 수 있다.

#교통사고#치료비#과실비율#손해배상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아니면 별개의 사고? 손해배상 책임은 어디까지?

첫 번째 교통사고 피해자가 치료 중 두 번째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 첫 번째 사고 가해자는 두 번째 사고와 인과관계가 없다면 두 번째 사고 사망 시점까지의 손해만 배상하면 됩니다.

#교통사고#후유증#사망#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