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5다43358

선고일자:

1996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토지의 증여를 부담부증여로 보아 부담의무 불이행에 따른 증여계약의 해제를 인정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2] 민법상 부양의무 있는 친족간이 아닌 당사자 사이에서 부양의무를 조건으로 한 증여계약이 이행된 후 수증자가 부양의무를 게을리한 경우, 그 증여계약을 해제할 수 없는지 여부

판결요지

[1] 토지의 증여를 부담부증여로 보아 부담의무 불이행에 따른 증여계약의 해제를 인정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2] 민법 제556조 제1항 제2호에 규정되어 있는 '부양의무'라 함은 민법 제974조에 규정되어 있는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 또는 생계를 같이 하는 친족간의 부양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친족간이 아닌 당사자 사이의 약정에 의한 부양의무는 이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민법 제556조 제2항이나 민법 제558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1] 민법 제544조 , 제561조 / [2] 민법 제556조 제2항 , 제558조

참조판례

[2] 대법원 1981. 7. 28. 선고 80다2338 판결(공1981, 14251), 대법원 1991. 8. 13. 선고 90다6729 판결(공1991, 232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망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창원지법 1995. 8. 18. 선고 94나625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보충서와 함께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은 슬하에 아들 없이 딸만 두고 있어 향후 자신과 자신의 처인 원고 1의 부양과 선조의 제사봉행의 문제로 고민하다가, 그가 76세이던 1981년경 자신의 조카의 아들인 피고에게 자신이 나이가 더 들어 거동이 불편하거든 위 소외 1 부부를 부양하고 선조의 제사봉행을 해 줄 것을 조건으로, 이 사건 토지를 증여하기로 약정하고, 1982. 9. 11.부터 1983. 3. 23.경까지 사이에 피고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준 사실, 그 후에도 위 소외 1은 이 사건 토지 중 논을 직접 경작하였고 임야를 관리하면서 제세공과금을 납부하여 온 사실, 위 소외 1은 노쇠하여 거동이 불편하게 되었고, 그의 처인 원고 1 역시 노쇠하여 거동이 불편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백내장으로 고생하고 있었는데도, 피고는 위 소외 1 부부를 전혀 돌보지 아니하였고, 선조의 제사봉행도 하지 아니하자, 위 소외 1은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하기 2개월 정도 전인 1993. 11.경 피고를 찾아가 그들을 부양하여 주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 사건 토지를 돌려 달라고 요구한 사실, 위 소외 1의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피고가 여전히 위 소외 1 부부를 돌보지 아니하자, 위 소외 1은 1994. 1. 11. 이 사건 소송을 제기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위 소외 1은 자신 등의 부양과 선조의 제사봉행을 조건으로 피고에게 이 사건 토지를 증여한 것이어서 위 소외 1의 위와 같은 증여행위는 상대 부담 있는 증여로서 부담부증여에 해당한다 할 것이고, 부담부증여에는 민법 제561조에 의하여 쌍무계약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므로, 상대방이 부담의 내용인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부담부증여를 해제할 수 있는바, 피고는 위 인정과 같이 위 소외 1의 이행최고를 받고도 위 증여의 조건이 되는 부담을 이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위 부담부증여계약은 이 사건 소장부본 또는 적어도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 변경신청서의 송달로 적법하게 해제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는 위 증여계약의 해제에 따른 원상회복 의무로 위 소외 1의 상속인들인 원고들에게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경료된 피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 절차를 이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어 판시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부담부증여에 있어서는 쌍무계약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어 부담의무 있는 상대방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할 때에는 비록 증여계약이 이행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계약을 해제할 수 있고, 민법 제556조 제1항 제2호에 규정되어 있는 '부양의무'라 함은 민법 제974조에 규정되어 있는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 또는 생계를 같이하는 친족간의 부양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 사건과 같이 위와 같은 친족간이 아닌 당사자 사이의 약정에 의한 부양의무는 이에 해당하지 아니하여 이 사건 부담부증여에는 민법 제556조 제2항이나 민법 제558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면서 피고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관계 증거를 기록과 대조·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였거나, 부담부증여에 있어 해제에 관한 법리와 친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나, 석명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고, 변론주의의 원칙에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자식처럼 돌봐주던 사람에게 재산을 줬는데, 약속을 안 지켜요!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자식처럼 돌보기로 하고 재산을 증여받았지만 약속을 어기면, 부담부증여에 해당되어 증여계약을 해제하고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다.

#부담부증여#부담#불이행#증여계약 해제

상담사례

부모님 부양 약속하고 집 받았는데, 약속 안 지키면 어떻게 될까요? (부담부 증여 해제)

부모 부양 등 조건(부담)을 이행하지 않으면 부담부 증여는 해제되어 증여받은 재산을 반환해야 한다.

#부담부 증여#해제#부양 의무#증여 취소

민사판례

조건부 증여, 약속 안 지키면 돌려받을 수 있다!

조건을 걸고 재산을 증여했는데 상대방이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증여한 사람은 계약을 해제하고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조건부증여#조건불이행#계약해제#부담부증여

상담사례

농로 포장 약속, 안 지키면 땅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농로 포장을 조건으로 기부채납했는데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조건부 증여로 해석되어 기부채납을 해제하고 땅을 돌려받을 수 있다.

#농로 포장#기부채납#조건부 증여#해제

민사판례

증여받은 부동산 상속세, 누가 내야 할까요?

증여계약 당시 상속세 부담에 대한 명시적 또는 묵시적 합의가 없었다면, 증여받은 사람(수증자)이 상속세를 부담해야 한다는 묵시적 의사합치가 있다고 인정할 수 없다. 단순히 상속세를 수증자가 부담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증여#상속세#수증자 부담#묵시적 합의 부정

민사판례

약속을 어긴 당신, 책임을 져야죠! - 계약 불이행과 사해행위에 대한 이야기

원고가 피고 1에게 명목상 근저당권을 설정해준 토지가 경매로 넘어가자, 피고 1은 원고에게 토지를 다시 매입하여 소유권을 이전해주겠다는 이행각서를 썼습니다. 그러나 피고 1은 이행각서의 효력을 부인하며 자신의 유일한 재산을 다른 사람(피고 2)에게 넘겼습니다. 대법원은 피고 1의 행위가 이행거절에 해당하여 원고가 즉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고, 피고 2에게 재산을 넘긴 행위는 채권자취소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이행각서#채무불이행#손해배상#채권자취소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