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5다44153

선고일자:

1996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도로교통법상 안전지대 옆을 통과하는 운전자의 업무상 주의의무

판결요지

도로교통법상 차량의 안전지대 횡단은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안전지대의 표시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안전지대 횡단이 특별히 허용되고 있었던 사정이 인정되지 않는 한 안전지대 옆을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로서는 그 부근을 운전하는 다른 차량이 그 안전지대를 횡단하여 자기 차량의 진로 앞에 달려드는 일이 없으리라고 신뢰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운전자에게 그 안전지대를 횡단하여 오는 차량이 있을 것을 미리 예상하고 운전할 업무상 주의의무를 기대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750조, 도로교통법 제2조 제10호, 제12조 제5항, 제24조 제4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2. 7. 27. 선고 82도1018 판결(공1982, 889)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5. 8. 25. 선고 95나1239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각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도로교통법상 차량의 안전지대 횡단은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안전지대의 표시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안전지대 횡단이 특별히 허용되고 있었던 사정이 인정되지 않는 한 안전지대 옆을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로서는 그 부근을 운전하는 다른 차량이 위 안전지대를 횡단하여 자기 차량의 진로 앞에 달려드는 일이 없으리라고 신뢰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운전자에게 위 안전지대를 횡단하여 오는 차량이 있을 것을 미리 예상하고 운전할 업무상 주의의무를 기대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82. 7. 27. 선고 82도1018 판결 참조).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사고는 망 소외인이 판시 오토바이를 운전하고 안전지대를 침범하여 피고 운전의 판시 승합자동차의 진행 차선으로 진입한 일방적인 과실에 기하여 발생한 것으로서 이 사건 사고 원인이 위 승합자동차의 구조상의 결함 또는 기능의 장애가 없었으므로 피고는 면책된다고 판단하고 있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이러한 인정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경험칙이나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횡단보도 무단횡단 오토바이 사고, 승용차 운전자는 무죄?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무시하고 갑자기 무단횡단하던 오토바이를 친 승용차 운전자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으로 처벌받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녹색 신호에 따라 정상 주행하던 운전자에게는 갑작스러운 무단횡단까지 예상하여 사고를 막아야 할 의무는 없다는 것입니다.

#횡단보도#무단횡단#오토바이#사고

형사판례

횡단보도 교통사고, 과연 운전자는 유죄일까?

횡단보도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유죄로 판단한 원심 판결에 대해 대법원이 증거가 부족하고 심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파기 환송했습니다. 즉, 사고가 횡단보도에서 발생했는지 확실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횡단보도 교통사고#무죄 가능성#증거 부족#파기환송

민사판례

갑자기 차선을 가로지르는 오토바이! 자동차 운전자의 책임은?

편도 4차로에서 1차로를 주행 중이던 자동차와 옆 3차로 도로에서 나온 오토바이가 충돌한 사고에서, 오토바이가 갑자기 4차로를 가로질러 1차로로 진입한 것이 사고의 원인이며, 자동차 운전자에게는 과실이 없다는 판결.

#오토바이#갑작스러운 차선횡단#교통사고#자동차 무과실

형사판례

횡단보도 사고, 운전자의 주의의무는 어디까지일까요?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근처에서 어린이 보행자와 접촉사고를 낸 운전자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운전자의 주의의무 위반을 인정하여 유죄 취지로 환송한 판결. 횡단보도 부근에서는 보행자 존재 가능성을 예상하고 서행해야 하며, 보행자 무단횡단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자 과실이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

#횡단보도#운전자#주의의무#보행자

형사판례

횡단보도 위, 걷지 않으면 보행자 아니다?

횡단보도 위에 엎드려 있는 사람은 도로를 횡단할 의사를 가지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이 아니므로, 운전자에게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의무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횡단보도#보행자#통행#엎드린 사람

형사판례

횡단보도 사고, 운전자는 언제나 보행자를 보호해야 할까요?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에서도 운전자는 보행자보다 먼저 횡단보도에 진입했더라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일시정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횡단보도#운전자#일시정지 의무#보행자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