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채무금

사건번호:

95다55504

선고일자:

1996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의경매에 있어서 배당금이 동일 담보권자의 수개의 피담보채권 전부를 소멸시키기에 부족한 경우, 변제충당의 방법

판결요지

담보권의 실행 등을 위한 경매에 있어서 배당금이 동일 담보권자가 가지는 수개의 피담보채권의 전부를 소멸시키기에 부족한 경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변제충당에 관한 합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합의에 의한 변제충당은 허용될 수 없고, 이 경우에는 획일적으로 가장 공평·타당한 충당방법인 민법 제477조의 규정에 의한 법정변제충당의 방법에 따라 충당을 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477조, 민사소송법 제587조, 제73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 5. 26. 선고 86다카2950 판결(공1987, 1071), 대법원 1991. 7. 23. 선고 90다18678 판결(공1991, 2220), 대법원 1991. 12. 10. 선고 91다17092 판결(공1992, 48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주식회사 국민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심훈종 외 6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5. 10. 26. 선고 95나2924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민사소송법 소정의 부동산강제경매 제도의 목적이나 성질 그리고 그 절차에 관한 여러 규정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부동산강제경매절차에 있어서는 변제자가 임의로 변제하는 경우의 변제자와 수령자 사이의 합의에 의한 변제충당의 지정이나 민법 제476조의 규정에 의한 지정변제충당은 허용될 수 없고( 당원 1991. 7. 23. 선고 90다18678 판결), 민사소송법의 개정으로 강제경매에 관한 대부분의 규정들, 특히 배당절차에 관한 모든 규정들이 그대로 준용되고 있는 현행 민사소송법 하에서의 담보권의 실행 등을 위한 경매의 경우에도 이와 달리 볼 아무런 합리적인 이유가 없으므로, 담보권의 실행 등을 위한 경매에 있어서 배당금이 동일 담보권자가 가지는 수개의 피담보채권의 전부를 소멸시키기에 부족한 경우,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변제충당에 관한 합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합의에 의한 변제충당은 허용될 수 없고, 이 경우에는 획일적으로 가장 공평·타당한 충당방법인 민법 제477조의 규정에 의한 법정변제충당의 방법에 따라 충당을 하여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변제충당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고가 내세우는 당원의 판결들은 1990. 1. 13. 법률 제4201호로 폐지되기 전의 경매법에 의한 경매에 관한 것으로서 이 사건에 그대로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경매 배당금, 어떻게 나눠야 할까요? 여러 개의 빚이 있을 때 변제 순서 알아보기

한 사람에게 여러 건의 빚이 있고, 이 빚을 담보로 잡은 재산이 경매되어 나온 돈(배당금)이 모든 빚을 갚기에 부족할 때, 어떤 빚부터 갚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에서는 공평한 변제를 위해 법정변제충당 방식을 따르도록 정하고 있으며, 채무자가 임의로 변제 순서를 정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법정변제충당#배당금부족#변제순서#담보경매

민사판례

경매 배당과 채권, 그리고 보증인의 희비

채권자가 경매에서 실수로 채권액을 적게 신고해서 일부 금액을 배당받지 못했을 경우, 남은 채권은 소멸되지 않으며, 연대보증인은 채권자의 실수로 손해 본 금액만큼 책임을 면제받습니다.

#경매 배당#채권자 착오#연대보증인 책임#채권 소멸

민사판례

경매와 변제충당에 관한 이야기

여러 건의 대출에 대해 순위가 다른 근저당이 설정된 경우, 경매 대금이 부족할 때 어떤 대출금부터 갚아야 하는지, 그리고 채권자와 채무자 간에 변제 순서에 대한 약정이 있을 때 그 효력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경매#변제충당#근저당#변제충당약정

민사판례

돈 갚을 때 순서 정했으면 그대로 따라야지! 그리고 은행 이자는 1년 안에 받아야 하는 돈 아니야!

돈을 빌리고 갚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제충당, 소멸시효 중단, 그리고 은행 대출금 지연손해금의 소멸시효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빌린 돈이 여러 건이고 갚은 돈이 부족할 때,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약정에 따른 변제충당은 유효하며, 경매 신청은 소멸시효를 중단시킨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은행의 대출금 지연손해금은 일반적인 단기소멸시효(1년)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변제충당#소멸시효#지연손해금#경매

민사판례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이 함께 경매될 때 배당은 어떻게 될까요?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이 각각 소유한 부동산에 공동저당이 설정된 경우, 경매 시 채무자 소유 부동산의 경매대금에서 먼저 저당권자에게 배당하고, 부족할 경우에만 물상보증인 소유 부동산의 경매대금에서 배당해야 합니다. 단순 비례배분은 안됩니다.

#공동저당#물상보증인#배당순서#채무자 우선

민사판례

빚 갚는 순서, 함맘대로 바꿀 수 없어요! (배당이의소)

빚진 사람(채무자)은 돈 받을 사람들(채권자)에게 돈을 나눠주는 과정(배당)에서, 채권의 존재 자체나 금액에 대해서는 배당이의소를 제기할 수 없고, 배당 순위에 대해서도 배당에 참여할 자격이 없는 채권자를 이유로 배당이의소를 제기할 수 없다.

#채무자#배당이의소#배당순위#채권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