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보건법위반

사건번호:

95도230

선고일자:

199505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양벌규정인 산업안전보건법 제71조에 의하여 사업자가 아닌 행위자도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는지 여부

판결요지

산업안전보건법 제67조 제1호, 제23조 제1항, 제69조 제4호, 제42조 제1항 소정의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은 사업자임이 그 규정 자체에 의하여 명백하나, 한편 같은 법 제71조는 법인의 대표자 또는 법인이나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관리감독자를 포함한다), 기타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67조 내지 제70조의 위반행위를 한 때에는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각 본조의 벌칙규정을 적용하도록 양벌규정을 두고있고, 이 규정의 취지는 같은 법 제67조 내지 제70조의 위반행위를 사업자인 법인이나 개인이 직접 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행위자와 사업자 쌍방을 모두처벌하려는 데에 있으므로, 이 양벌규정에 의하여 사업자가 아닌 행위자도 사업자에 대한 각 같은 법 제67조 제1호, 제69조 제4호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이된다.

참조조문

산업안전보건법 제67조 제1호 , 제69조 제4호 , 제7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12.27. 선고 82도2840 판결(공1984,278),1991.2.26. 선고 90도2597 판결(공1991,1121),1991.11.12. 선고 91도801 판결(공1992,15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수원지방법원 1994.12.15. 선고 94노134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산업안전보건법 제67조 제1호제23조 제1항 , , 제69조 제4호, 제42조 제1항 소정의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은 사업자임이 그 규정 자체에 의하여 명백하나, 한편 같은 법 제71조는 법인의 대표자 또는 법인이나 개인의 대리인, 사용인(관리감독자를 포함한다) 기타 종업원이 그 법인 또는 개인의 업무에 관하여 제67조 내지 제70조의 위반행위를 한 때에는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각 본조의 벌칙규정을 적용하도록 양벌규정을 두고 있고, 이 규정의 취지는 각 본조의 위반행위를 사업자인 법인이나 개인이 직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행위자와 사업자 쌍방을 모두 처벌하려는 데에 있으므로, 이 양벌규정에 의하여 사업자가 아닌 행위자도 사업자에 대한 각 본조의 벌칙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것이다(당원 1991.11.12. 선고 91도801 판결 참조). 원심이 위와 같은 입장에서, 피고인 1이 상피고인 주식회사 의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모든 책임을 지고 있는 대표이사로서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방호조치 등을 이행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피고인에 대하여 같은 법 제71조에 의하여 같은 법 제67조 제1호, 제69조 제4호의 벌칙규정을 적용, 처단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양벌규정에 관한 법리오해,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및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직원의 교통법규 위반, 회사도 처벌받을까?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직원이 법을 어겼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이 있는데, 이 판례는 회사가 직원의 위법행위를 막기 위해 충분히 노력했는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단순히 직원의 잘못만으로 회사를 처벌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양벌규정#회사 책임#직원 위법행위#관리감독 의무

형사판례

회사 대표가 잘못하면 회사도 벌 받나요?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대표 등이 회사 업무와 관련하여 불법 행위를 저지르면, 해당 행위자는 물론 회사도 처벌받습니다. 회사 대표가 처벌받지 않더라도 회사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양벌규정#회사 처벌#대표 불법행위#정보통신망법 위반

형사판례

회사 직원 아니어도 회사 처벌될 수 있다? - 양벌규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사 직원이 아닌 보조자라도 회사의 통제·감독 아래서 일한다면, 그 보조자의 불법 행위에 대해 회사도 책임을 져야 한다.

#법인#종업원#범위 확대#보조자

형사판례

건축법 위반, 누구를 처벌할 수 있을까? - 양벌규정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

회사 등의 대표나 직원이 건축법을 위반했을 때, 회사뿐만 아니라 실제 위반 행위를 한 직원 개인도 처벌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이전에는 건축법 위반에 대한 처벌 대상이 회사 등의 업무주(업무의 책임자)로 한정되었으나, 이 판결로 실제 행위자도 처벌 대상이 됨을 명확히 했습니다.

#건축법 위반#양벌규정#실제 행위자 처벌#판례 변경

형사판례

회사 직원 잘못, 사장님도 처벌받나요? (양벌규정과 공소사실 기재)

회사 종업원이 법을 어겼을 때, 회사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을 적용하려면, 검사가 회사의 관리 감독 소홀을 구체적으로 적시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그럴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양벌규정#공소사실 기재#관리감독 소홀#아동복지법 위반

형사판례

회사의 안전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이 판례는 산업재해 발생 시 사업주와 직원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에 대한 책임 범위를 다룹니다. 사업주는 단순히 사고 발생 사실만으로 처벌되는 것이 아니라, 안전조치 미이행을 지시·방치했는 등 적극적인 위반행위가 있어야 처벌됩니다. 또한, 법인의 경우 직원의 위반행위에 대해 양벌규정이 적용되지만, 법인이 충분한 주의와 감독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가 고려되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사업주 책임#직원 책임#양벌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