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공문서작성,허위공문서작성행사

사건번호:

95도491

선고일자:

199506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준공검사관이 매몰 부분 공사의 미완성을 알면서도 공사감독관의 감독조서를 근거로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한 경우, 허위공문서작성죄의 성립 여부

판결요지

준공검사관이 준공검사를 함에 있어 수중, 지하 또는 구조물의 내부 등 시공 후 매몰된 부분의 검사는 공사감독관의 감독조서를 근거로 하여 검사를 행하면 되고, 이를 실제로 검사하지 아니한 채 준공조서를 작성하였다 하더라도 허위준공검사조서작성죄의 죄책을 지지 아니하나, 매몰된 부분의 공사가 완성되지 아니하였다는 것을 알면서도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한 경우에는 위 죄책을 면하지 못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22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류지한(피고인들 모두를 위하여) 변호사 한광세(피고인 2를 위하여) 【원심판결】 춘천지방법원 1995.1.26. 선고 94노244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들의 변호인들의 상고이유(피고인 2의 변호사 한광세의 상고이유보충서 기재의 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들 및 관계 법리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피고인들의 이 사건 허위준공검사조서작성 및 동행사죄와 피고인 2의 허위공사감독관준공감독조서작성 및 동행사죄를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논하는 바와 같이 허위공문서작성죄의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없다. 준공검사관이 준공검사를 함에 있어 수중, 지하 또는 구조물의 내부 등 시공 후 매몰된 부분의 검사는 공사감독관의 감독조서에 근거로 하여 검사를 행하면 되고, 이를 실제로 검사하지 아니한 채 준공조서를 작성하였다 하더라도 허위준공검사조서작성죄의 죄책을 지지 아니한다 할 것이나, 준공검사관이 매몰된 부분의 공사가 완성되지 아니하였다는 것을 알면서도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한 경우에는 위 죄책을 면하지 못한다 할 것인데, 위에서 든 증거들에 의하면, 준공검사관인 피고인 1은는 석축공사 중 원심판시의 뒤채움콘크리트 및 채움콘크리트 타설공사가 미시공되었음을 알고서도 준공검사조서를 작성한 사실을 알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이 위 공사부분에 대하여도 허위공문서작성죄가 성립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할 것이고, 이를 헐뜯는 위 피고인의 변호인의 논지는 이유가 없다. 피고인 2의 변호인은 위 피고인이 준공검사조서의 작성 권한이 없음을 들어 허위준공검사조서작성죄의 범죄주체가 될 수 없다는 취지로 주장하나, 공문서의 작성권한이 없는 자라 할지라도 그 작성권한이 있는 자와 공동하여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경우에는 형법 제33조 본문에 의해 처벌할 수 있음은 명백하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파트 준공검사, 제대로 확인 안 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

담당 공무원이 건물 준공 검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적합' 판정을 내린 허위 보고서는 허위공문서작성죄에 해당한다.

#부실 준공검사#허위공문서작성죄#형법 제227조

생활법률

건설공사 준공검사, 문제 발생 시 어떤 조치를 받을까요? 🚧

건설공사 준공검사에서 부적합 사항 발생 시 시정조치가 요구되며, 지체상금 부과 및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부실시공 정도에 비례하여 시정명령, 영업정지, 과징금, 등록말소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고, 필요시 공사가 일시정지될 수 있다.

#준공검사#시정조치#지체상금#부실시공

민사판례

건물 준공검사 전, 잔금 지급 거절할 수 있을까?

건물 공사에서 준공검사 완료와 동시에 잔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다면, 준공검사를 받지 못한 경우 도급인(건물주)은 잔금 전체를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준공검사#잔금지급#동시이행#시공사책임

민사판례

이주비 대출과 준공검사, 꼭 확인해야 할 함정!

건설회사로부터 이주비를 빌리고 약속어음을 발행했는데, 공사가 중단되어 준공검사를 받지 못한 경우, 이주비를 갚아야 할까요? 이 판례는 준공검사를 받지 못했다면 이주비 반환 의무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주비#반환의무#준공검사#약속어음

민사판례

공사 미완성 vs. 하자 있는 완성: 그 미묘한 차이

공사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는지(미완성), 아니면 일단 완료되었지만 하자가 있는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통념상 공사가 완성되었는지' 여부입니다. 단, 계약서에 준공검사를 완료 조건으로 명시하고, 이를 어길 시 지체상금을 부과하는 특별한 약정이 있다면 그 약정을 따라야 합니다.

#공사 미완성#하자 있는 완성#사회통념#준공검사

민사판례

공사 끝났는데 왜 내 책임이야? 준공검사 후 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공사업체가 발주처의 요구대로 공사를 마치고 준공검사까지 받아서 발주처에 넘겨준 뒤에 발생한 사고는, 비록 공사 마무리가 완벽하지 않았더라도 공사업체가 아니라 발주처의 책임이다.

#준공검사#공사마무리 미비#사고책임#발주처